[씨줄날줄] 자연장/노주석 논설위원
총 2000만개, 국토의 1%, 매년 서울 여의도 크기…. 우리나라의 ‘분묘(墳墓)’관련 수치이다.26일부터 자연장(自然葬)이 허용된다 해서 찾아본 통계다. 화장한 분골을 나무나 잔디 아래 뿌리거나 묻는 생소한 장묘문화가 이 땅에 첫 걸음을 하는 것이다. 나무 아래에 묻으면 수목장이고, 잔디 아래면 잔디장, 화단처럼 만들면 화단장이요 텃밭으로 가꾸면 텃밭장이다. 이름 붙이기 나름이다. 평소 좋아했던 나무, 꽃이 망자의 상징이 된다. 혐오시설의 대명사격이던 화장장과 분묘가 생활속으로 성큼 다가온 것이다.
선진국에서는 이미 보편화됐다. 최초로 수목장을 시작한 스위스에서는 숲속 나무 아래 분골함 없이 묻는다. 추모목의 위치를 나타내는 직경 5㎝의 하얀색 동그라미 표시가 전부다. 독일에서는 추모목을 구입해 묻고 사망일이 적힌 알루미늄 표지를 붙인다. 영국에서는 장미 아래에 분골을 묻고 작은 동판을 꽂는 정원 방식을 선호한다. 일본은 수목장 구역을 허가제로 운영하고 있다. 방식은 다르지만 친환경적이라는 점에서는 큰 차이가 없다.
개정된 장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화장한 분골은 수목이나 화초, 잔디 등의 지면으로부터 30㎝이상 깊이에 묻어야 한다. 용기에 담아 묻거나 흙과 섞어서 묻는 것도 가능하다. 분골함은 자연 분해되는 소재로 가로세로 30㎝미만이어야 한다. 봉분을 쌓거나 비석을 세울 욕심은 품지 말아야 한다. 개인 땅일 경우 관할 자치단체장에게 신고하는 것으로 절차는 끝난다. 문중이나 종교단체는 허가를 받아야 한다. 파주 용미리, 수원 연화장, 용인 시립장례문화센터, 인천 가족공원, 제주 어승생공원묘지, 춘천 군자공설묘지, 남해 추모누리 등에서 자연장지조성 작업이 진행중이다. 산림청소유 양평 국유림 등에도 대규모 수목장지가 조성되고 있다.
우리 국민의 60%가 매장보다 화장을 선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자연장은 산골(散骨)이 갖는 2%의 허무와 부족함을 메워줄 대안이다. 동·식물이 죽어 거름이 되듯, 인간의 육신도 흙으로 돌아간다. 자연회귀이다. 이제 생각을 정리하자. 공동묘지에 묻힐 것인가. 아니면 햇볕 따사한 동산에 서 있는 굽은 소나무 아래를 택할 것인가.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