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108배/노주석 논설위원
사람의 눈, 코, 귀, 혀, 몸, 마음 등 6관(六官)을 통해 일어나는 번뇌가 좋고(好), 나쁘고(惡), 좋지도 나쁘지도 않은(平等) 3가지 작용을 거치면 18가지의 번뇌가 된다. 탐(貪)과 불탐(不貪) 2가지가 있기에 36가지가 되고 이것을 전생과 금생, 내생 등 3가지 세상에서 겪게 되므로 모두 108가지가 된다고 한다. 불교에서 108배를 올리는 까닭은 이 같은 108가지 번뇌를 씻기 위함이다.
108배를 하는 모임이 있다. 불교신자는 아니지만 절집 분위기를 좋아하는 터라 의기투합했다. 점심시간을 이용해 조계사나 법련사, 봉원사, 부암동 불국사 같은 시내 사찰을 찾는다. 필자는 염불보다 잿밥에 관심이 많은 터라 108배가 끝난 뒤 부근 맛집에서 갖는 점심시간을 더 기다리는 편이다.
절하는 숫자에 얽매이지 않는다.100번을 하기도 하고 30번만 하기도 한다. 절하는 자세도 오체투지(五體投地)는 하되 체조하듯 한다. 종교의식이 아니라 온몸운동으로 생각한다. 절은 마음 비우기다. 몸과 마음을 낮추고, 굽히고, 엎드리는 자체가 좋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