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無 비자/노주석 논설위원
1990년대 중반 미국에 갈 일이 생겼다. 출입처에서 미국의 지하철운행 실태를 살펴보는 취재였다. 그때 미국비자를 처음 받았는데 취재용도라서 인터뷰없이 10년짜리를 받았다. 친구들이 무척 부러워했다.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사시사철 서울 주한미대사관 앞에 비자를 받기 위해 길게 늘어선 줄은 비뚤어진 한·미관계의 상징이었다.
우리와 외모가 비슷한 중국, 몽골 등 일부 국가에서 한국여권이 최고의 인기품목이 된 지 오래다. 아시아권에서는 미국비자가 면제된 일본, 싱가포르 다음으로 미국비자를 받기 쉽고 유럽 대부분을 무비자로 입국할 수 있기 때문이다. 분실 혹은 절도당한 한국여권은 보통 3000~5000달러에 밀거래됐다. 여기에 미국비자가 찍혀 있으면 1만달러를 호가하는 게 현실이다.
미국 부시대통령은 한국 등 7개국을 미국 비자면제프로그램 신규 가입국으로 공식발표했다. 늦어도 내년부터는 무비자로 미국에 90일 동안 머물 수 있게 됐다. 유학이나 취업 목적이 아니라면 전자여권을 만든 뒤 전자여행 허가사이트(http:///esta.cbp.dha.gov)에 접속해서 성명과 생년월일, 여권번호 등 17가지 필수정보와 주소 등 4가지 선택항목을 입력하면 곧바로 입국가능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입국이 불허되는 경우는 극히 제한적이라고 한다. 누이 좋고 매부 좋은 일이다. 한국은 연간 1000억원 이상의 비용절감 효과를 누린다. 관광이나 상용 비자를 신청하는 연간 36만명이 1인당 33만원씩의 비자 및 인터뷰수수료를 아낄 수 있다. 미국은 연간 100만명선인 한국인 방문객수가 3년 이내에 2배 이상 가파르게 늘어나 38억달러의 추가수익을 챙길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혹시 슬로베니아, 리히텐슈타인, 브루나이, 아이슬란드, 포르투갈, 뉴질랜드, 모나코와 한국, 라트비아, 에스토니아, 체코, 리투아니아, 헝가리, 슬로바키아의 차이점을 아는가. 앞은 기존 비자면제 27개국 중 7개 나라이고 한국 등 뒤의 7개국은 이번에 신규로 비자가 면제된 나라의 이름이다. 세계 13위의 경제대국 한국은 그동안 ‘비자거부율이 높다’는 이유로 미국으로부터 불평등의 대상이 돼왔다. 자존심 상하는 일이었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