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고구마 다이어트/노주석 논설위원
식물학적으로 고구마는 메꽃과, 감자는 가짓과에 속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마나 감자를 ‘서(薯)’라고 하는데 생김새가 마와 비슷하다고 하여 붙여졌다. 제주도에서는 고구마를 감자라고 부르기도 한다. 고구마가 감자보다 60년이나 빨리 들어왔지만 감자가 이름을 선점하는 이상한 현상이 빚어진 셈이다. 둘을 통틀어 ‘감저(甘藷)’라고 호칭한 데서 생긴 혼란탓으로 보인다.
고구마는 조선 영조 때인 1763년 일본에서 들어왔지만 감자는 순조 때인 1824년 간도에서 두만강을 건너왔다. 고구마는 남쪽에서 왔다 하여 ‘남저’, 조선통신사 조엄(趙?·1719~1777)이 가져왔다고 하여 ‘조저’라고 불렀다. 북쪽에서 온 감자는 ‘북서’라고 불렀다. 고구마라는 이름은 일본 쓰시마지방의 고구마 발음인 ‘고코이마(孝行藷)’가 변했다는 설도 있다.
유래나 작명이야 어찌됐든 고구마는 요즘 외래작물로 이 땅에 들어온 이후 최대의 각광을 받고 있다. 굶주림을 채워주는 구황식품에서 건강을 챙겨주는 웰빙 다이어트 식품으로 자리매김한 것이다. 그뿐만 아니다. 과자 같은 식용가공품을 만드는 녹말로 쓰이거나, 소주용 주정원료로 쓰이던 고구마가 미래 대체에너지로 떠오르기 일보 직전이다.
환경과 기후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재배가 쉽고, 단위면적당 생산량이 많은 고구마가 연료용 바이오에탄올을 생산하는 작물로 개발중이다. 고구마는 현재 산업용 에탄올로 만들어지는 옥수수나 사탕수수의 지역적 재배한계를 훌쩍 뛰어넘었다. 일본 도요타자동차가 고구마 바이오에탄올 연구를 주도하고 있음은 다 아는 사실. 국내에서도 고구마를 이용한 연료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는 소식이 나왔다.
사과, 김치, 바나나, 감자, 우유, 계란, 물, 미역, 포도, 옥수수, 청국장, 수박, 토마토, 파인애플, 두부, 곤약 등 숱한 ‘원푸드 다이어트’가 명멸했다. 나라 이름을 딴 덴마크·프랑스 다이어트가 유행했고, 한 때 황제다이어트가 주름잡기도 했다. 지금은 고구마가 다이어트 시장을 장악하고 있다고 한다. 다이어트의 세계는 주 소비계층인 여성의 마음만큼이나 다양하고 변화가 무쌍한 듯하다.
노주석 논설위원 jo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