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령·대청도 국가지질공원 추진
인천 옹진군 백령도, 대청도 일부 지역을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24일 시에 따르면 내년부터 인천녹색환경지원센터를 통해 2016년까지 2년간 백령도, 대청도 지역을 국가지질공원으로 지정하기 위한 기초학술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는 이 조사를 통해 현황과 지질 자원, 자원 보호 및 관리, 공원 기본·실행 계획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할 방침이다.
대상은 백령도 100㎢, 대청도 40㎢, 소청도 15㎢ 등으로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진행된 연구 용역을 통해 국가지질공원에 선정될 수 있는 여건을 갖춘 지역으로 판단된 곳이다. 이들 지역에는 22곳에 이르는 지질 명소가 자리 잡고 있다. 두무진, 조약돌마당, 남포리 습곡, 옥죽동 해안사구와 같은 지질 명소는 선캄브리아기나 중생대 등 오래전에 생성됐다. 역사적 의미가 담긴 비지질 유산도 중화동교회, 심청각 등 15곳에 달한다. 환경부는 지질적 의미가 큰 지역을 보전하고 생태 관광에 활용하기 위해 국가지질공원을 지정하고 있다.
시는 조사와 함께 옹진군민과의 공감대 형성에도 주력할 예정이다. 각종 홍보 프로그램과 지역 상품을 함께 개발하는 방안이 제시되고 있다.
청도에 들어설 국가철새연구센터를 통해 철새를 관찰하기 위한 관광객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질공원과 연계된 생태 관광 사업이 추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지질공원 운영을 위한 해설사 양성교육비, 안내문 제작비, 홍보물 및 지역 특산품 개발비, 지질공원위원회 운영비 등의 사업예산 확보도 추진된다.
인천시 관계자는 “백령도, 대청도 주민들과의 충분한 대화를 통해 공원 지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