쉼터서 문화 콘텐츠로… 인천 공원의 진화
인천 송도국제도시에 자리 잡은 공원들이 단순히 쉼터라는 개념을 넘어서 문화, 레저와 생태교육을 아우르는 종합 문화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다.
센트럴파크(41만 1324㎡)는 송도 중심부에 있는 우리나라 최초의 해수 공원으로 바닷물이 폭 30~100m의 수로에 흐르는데 길이가 1.8㎞에 달해 강이라고 해도 어색하지 않을 정도다. 공원에서 4㎞ 떨어진 해수처리장에서 바닷물을 취수해 3단계의 정화 과정을 거친 뒤 1급수를 공급하며 숭어, 우럭, 망둑어 등의 바다 어종이 서식한다. 공원 동쪽에 있는 이스트보트하우스에서는 카누와 카약, 전기보트, 파티보트, 스탠드업 패들보트(SUP) 등을 즐길 수 있다. 웨스트보트하우스에서는 수로를 순회하는 수상택시를 접할 수 있다. 아시아 최초의 국제기구 본사 유치로 화제가 된 녹색기후기금(GCF)은 센트럴파크 내부에 있다.
공원 내 송도한옥마을은 한옥 호텔·식당, 문화체험시설, 컨벤션 등을 갖춰 이달 개장한다. 토끼섬은 공원 중앙 해수로에 있는 인공 섬인데 다소 거리가 멀어 보트나 카약 등을 통해 접근하면 토끼를 가까이서 볼 수 있다.
새아침공원은 생태교육지도사가 진행하는 맞춤형 생태교육 프로그램으로 유명하다.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운영하는 생태교육관은 3월부터 11월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무료로 진행한다. 지난달에는 세시 풍속 놀이를 하고 공원 내 만개한 각종 봄꽃을 관찰했다. 이달에는 조류 탐방 등 봄을 주제로 하는 5개의 프로그램이 구성돼 있다. 자세한 프로그램은 인천경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추홀공원에 있는 갯벌문화관과 다례원은 저렴한 비용의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갯벌문화관은 꽃을 이용한 플라워 아트, 전통 한지 공예, 원예 치료, 공원 다이어트, 야외 영어회화 등 다양한 수업을 하고 있다. 다례원은 국악, 서예, 도예, 한국화, 규방 공예 등 우리나라 전통문화를 배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김학준 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