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 새해 설계] 안상수 인천시장
“올해는 인천시가 그동안 지향해온 동북아 물류·비즈니스 중심도시 건설이 확실한 비전을 보이게 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경제자유구역과 세계적 규모의 인천국제공항, 인천항 등이 이 과제를 견인하는 ‘스리 톱’이 될 것이라고 18일 밝혔다.
안 시장은 특히 경제자유구역은 송도국제컨벤션센터와 인천대교(제2연륙교)착공, 포스코건설 서울사옥 송도 이전 등을 계기로 성장동력을 얻었다고 강조했다.
“우리나라 최초의 유엔기구인 아시아·태평양경제사회이사회(ESCAP) 정보통신기술개발센터(APCICT)의 송도 유치도 외자유치를 가속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입니다.”
안 시장은 그러나 중앙정부가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을 특별지자체로 전환시키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과 관련,“특별지차제 전환은 본궤도에 오른 사업에 중대한 차질을 초래할 것”이라며 우려를 표명했다. 나아가 정부가 특별지자체화를 강행하려 한다면 시민들의 힘을 모아 반대해나갈 것임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인천경제청의 효율적 조직 운영을 위해 청장에게 인사권을 일임하고, 수당 인상과 각종 인센티브를 부여해 인천시 최고의 엘리트가 근무하는 곳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안 시장은 나아가 올해도 북한과의 문화·체육 교류를 통해 민족간의 화해를 도모하는 데 일정한 역할을 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는 지난해 5월 지자체 단체장 최초로 북한의 공식초청을 받아 평양을 다녀왔다.
안 시장은 “지난해 방북을 놓고 일부에서 ‘퍼주기’라는 비판을 제기하는 등 방북을 폄하하는 모습이 안타까웠다.”면서 “하지만 북측이 인천에서 열린 아시아육상대회에 참가하고 인천-개성공단 개발논의 등 남북교류를 위한 물꼬를 트는 역할을 했다고 자부한다.”고 말했다.
안 시장은 재선에 대한 의욕도 밝혔다. 그는 “시민들이 내 자신에 대해 큰 허물이 없었다고 인정해 주신다면, 재임하면서 벌여 놓은 각종 대단위 사업을 마무리짓는 것도 시장의 책무이자 시민에 대한 도리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말미에 ‘기회는 준비된 두뇌를 편애한다.’는 아인슈타인의 말을 인용, 자신이 ‘준비된 시장’임을 은근히 강조했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
■ 인천 올해의 과제는
인천시의 올해 최대 현안은 제17회 아시안게임 유치다. 올해 시정 구호를 ‘2014년 아시안게임 유치의 해’로 정했을 정도다.
아시안게임을 유치할 경우 약 7조원의 부가가치를 창출하게 돼 시가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이 마련된다. 시장부터 직원들까지 팔을 걷고 나서 총력전을 펴는 이유다.
아시안게임 개최지는 오는 12월 카타르 도하에서 열리는 제25차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총회에서 OCA 소속 45개국의 투표로 결정된다. 당초 한국(인천)과 인도(델리) 외에도 베트남과 요르단이 유치의향서를 제출했으나 중도포기, 현재는 우리나라와 인도만 남은 상태다.
시가 아시안게임 유치를 위해 필승 카드로 내세운 것은 인천·평양 공동유치. 아시안게임이 ‘아시아의 평화’를 지향하는 만큼 남북한 공동개최 카드로 계속 이슈를 만들어 유리한 득표환경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안상수 인천시장은 지난해 5월30일 북한행을 전격적으로 단행, 북측과 문서상으로 공동개최를 합의했다.
문화관광부도 당초 대회 유치에 소극적이던 입장을 바꿔 인천시와 공동으로 유치활동을 벌이기로 했다.
이 차원에서 국제대회 유치 및 운영 경험이 풍부한 대한올림픽위원회(KOC) 직원 2명을 인천시에 조직된 ‘아시아경기유치위원회’에 파견하기로 했다.
시는 지난해 열린 OCA 총회, 동아시아대회, 서아시아대회 등 5회에 걸친 국제모임에 유치홍보단을 파견, 국가별 올림픽위원회(NOC)위원을 개별 접촉해 스킨십을 펼치는 등 분위기를 잡았다.
인천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