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과근무 관행개선 7억 절감
‘퇴근 후 잠시 들어와 지문입력하기, 휴일 일도 없는데 출근하기, 같은 부서 직원끼리 비밀번호를 공유해 근무시간 늘리기….’ 실제보다 많은 시간을 일한 것처럼 부풀려 초과근무수당을 챙기는 공무원들의 수법이다. 경기 광명시가 일부 공무원의 고질적인 병폐로 지적돼온 초과근무수당 문제를 획기적으로 개선했다. 11일 경기 광명시에 따르면 2006년 7월부터 초과근무수당 편법수령 개선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 매년 2억원 이상을 절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 2005년 7월부터 1년간 시지급한 초과근무수당은 15억 5900만원이었으나 2006년 7월부터 1년간은 12억 9400만원,2007년 7월부터 1년간은 11억 300만원으로 2년간 모두 7억 2110만원을 절감했다. 이같은 현상은 불필요한 시간외 근무를 통제하기 위해 공휴일 초과근무 명령권자를 과장에서 국장, 부시장으로 상향조정하고 모든 초과근무 예정자는 당일 오전 반드시 사전결재를 받도록 했다. 또 월 50시간 이상 시간외 근무자에 대한 업무를 철저히 분석, 불필요한 업무는 하지 못하게 하는 등 초과근무를 최대한 억제한 것도 주효했다. 시는 아울러 퇴근 이후 시간을 자기계발을 위한 시간으로 활용하도록 독려하고, 대학이나 대학원에 진학할 경우 학비를 50% 지원하는 등 재교육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대학원 9명, 대학 7명에 그쳤던 위탁교육생이 올해는 대학원 22명, 대학 7명,2년제 대학 15명 등 모두 44명으로 늘었다.이효선 광명시장은 “시간외 근무수당이 공무원들 사이에 편법으로 받을 수 있는 보수의 일부분으로 인식돼온 것부터 근본적으로 고쳐야 한다.”고 말했다.광명 김학준기자 kimhj@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