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 바뀐 ‘삼성고시’… 수험생 진땀
“문제 형식이 너무 바뀌어서 당황했어요.” “지문이 길어서 시간이 부족했어요.”
13일 오전 삼성직무적성검사(SSAT)장인 서울 강남구 단국대부속고등학교 고사장을 빠져나오는 수험생들은 이런 반응을 보였다. 삼성은 이날 오전 이날 서울과 대전, 대구, 부산, 광주 등 국내 5개 지역과 미국 뉴욕, 로스앤젤레스, 캐나다 토론토 등 해외 3개 지역에서 SSAT를 실시했다고 밝혔다.
SSAT는 삼성그룹에 입사하기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관문이다. 이날 SSAT에는 10만명(대졸, 인턴 포함) 정도가 지원했고, 응시자는 7만~8만명인 것으로 삼성 측은 전했다. SSAT 관리를 위해서만 1만명의 임직원이 동원됐다.
이날 SSAT는 기존 언어와 수리·추리·상식 영역에 공간지각능력 측정 영역이 추가돼 5개 영역(500점 만점)으로 이뤄졌다. 인문학적 소양을 평가하기 위해 역사 관련 문항이 새로 생기고, 문항 수가 175개에서 160개로 줄어든 것도 올해 SSAT의 변화였다.
수험생들은 적잖게 당황했다. 언어영역은 암기력보다는 독해 능력을 평가하는 문제가 많이 늘어났다는 반응이다. 수리영역은 통계 문제의 비중이 눈에 띄게 높아졌다는 반응이 많았다. 새로 추가된 공간지각능력 측정 영역과 역사 관련 문항은 수험생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했다. 공간지각능력 측정 영역은 문항이 도형을 통해 제시돼 이해하기 어려웠다는 반응이 일반적이었다.
역사 문항 역시 암기식보다는 종합적인 이해판단 능력을 발휘해야 하는 출제 방식이 수험생들을 당혹스럽게 했다는 반응이 나왔다. 영화 어벤져스 시리즈에 나오는 토르와 아이언맨, 수퍼맨과 액스맨 시리즈의 울버린 등을 열거하고 ‘성격이 다른 영웅은 무엇’이냐는 문제가 나온 것이 대표적이다. 각각의 캐릭터를 잘 알아야 풀 수 있는 문제다. 또 정보의 비대칭 문제나 로널드 레이건 미국 전 대통령이 시행한 정책, 시장의 실패 등에 대해 각각 질문을 하고, 정답의 첫 글자를 따서 피아노 음계명을 만들어 답을 고르게 하는 등 독특한 문제들이 많이 출제됐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