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의 제사상 엎은 자… 제사 중인데 욕한 자… 사당 문 잠가놓은 자 ‘유죄’
남의 제사를 막거나 제사상 앞에서 소란을 피우고 떠들면 제사방해죄로 처벌받을 수 있다. 최대 형량도 범인은닉죄나 주거침입죄와 같은 징역 3년(또는 벌금 500만원)이다. 헌법이 보장한 종교의 자유만큼이나 조상을 모시는 제사도 존중돼야 한다는 것이 법 취지다.
대법원 1부(주심 김용덕 대법관)는 13일 타인의 제사를 방해한 혐의(제사방해)로 재판에 넘겨진 김모(57)씨에 대한 상고심에서 벌금 50만원을 선고한 원심 판결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김씨는 자신의 조상이자 단종 복위를 꾀하다 처형당한 백촌 김문기(1399~1456)가 사육신(이개, 하위지, 유성원, 성삼문, 유응부, 박팽년)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하는 ‘현창회’ 회원이다. 그와 현창회 회원들은 2011년 서울 노량진 사육신묘 공원에서 사육신 후손 모임인 ‘선양회’ 회원들이 제사를 지내기 위해 묘역 내 의절사로 들어가려 하자 이를 몸으로 막으며 제사를 방해한 혐의로 지난해 기소됐다.
김씨는 또 선양회 회원들이 의절사 앞마당에 제사상을 차리고 제물을 올려놓으려 하자 현창회 회원들과 함께 제사상을 들어 엎은 혐의도 받고 있다. 1, 2심은 “현창회 이사인 김씨가 선양회 제사에 참석한 경위 등을 감안할 때 제사를 방해했음을 인정할 수 있다”며 벌금 50만원을 선고했다. 장례식·제사·예배·설교를 방해한 자를 처벌하도록 한 형법(158조)에 따른 것이다.
김씨 외에도 제사방해죄로 처벌된 사례는 많다. 2014년 양모(51)씨는 사설경비원 100여명을 고용해 경기 김포에 있는 문중 사당을 가로막아 종친들의 제사를 방해한 혐의로 기소돼 올 3월 벌금 50만원을 선고받았다.
제사 때 고함을 질러 재판에 넘겨진 사례도 있다. 광주에 사는 김모(72)씨는 종친회에서 9년간 총무로 일하던 중 2011년 제명됐다. 김씨는 이에 불만을 품고 2012년 10월 제사 진행 중에 대종회장에게 “이 ××, 죽여 버린다. 이리 나와. 회장 그만둬라”라고 고함을 질러 제사를 방해했다. 재판부는 유죄를 인정하면서도 김씨가 초범인 데다 잘못을 뉘우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선고를 유예했다.
2011년엔 문중 사당 관리인이 제사를 막기 위해 사당 출입문을 자물쇠로 잠갔다가 벌금 30만원을 선고받았고, 2010년엔 충북의 한 사찰에서 “왜 남의 절에서 제사를 하느냐”며 다른 사람이 천도제를 지내는 것을 방해한 60대가 벌금 50만원에 처해지기도 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