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바이러스 클레이드란
고병원성 AI 바이러스는 1997년 홍콩에서 처음 발생해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유전자 변이를 거쳐 10여개의 종류로 다양하게 변종됐다.
세계보건기구(WHO)는 AI 바이러스를 구분하기 위해 클레이드 개념을 썼다. 클레이드는 공통의 선조에서 진화한 생물군을 뜻하는 것으로 서브클레이드는 클레이드의 ‘아들’ 개념으로 볼 수 있다. 현재 클레이드 0부터 9까지 분류돼 있다. 이 중 ‘클레이드 2’가 전 세계적으로 인체 감염과 사망 사례가 잇따르고 있어 주목받고 있다. 클레이드 2는 서브클레이드인 2.1∼2.5로 나뉘고, 이 중 2.3은 다시 2.3.1∼2.3.4로 구분된다.
WHO의 AI감염 최종확인 환자 기준을 마련한 과학자들이 ‘뉴잉글랜드 저널 오브 메디신’ 2008년 1월호에 게재한 ‘AI 바이러스가 인체 감염에 끼치는 영향’ 논문에는 인체감염 및 사망을 유발하는 AI 바이러스가 크게 홍콩형, 베트남형, 인도네시아형, 중국 칭하이형과 안후이형으로 구분돼 있다.
시조인 홍콩형 클레이드 0은 감염자 16명 중 7명이 사망했다. 클레이드 1(베트남형)은 2004년 베트남에서 나타난 뒤 태국, 캄보디아 등지로 번지면서 123명이 감염돼 66명이 숨졌다. 클레이드 2.1(인도네시아형)은 2006년 인도네시아에서 발생해 감염자 96명 중 76명이 사망했다. 클레이드 2.2(중국 칭하이형)는 중국 칭하이 호수에서 생긴 뒤 유럽, 이집트, 이라크, 나이지리아 등지로 퍼지면서 59명이 감염됐고, 그 중 26명이 사망했다.
김승훈기자 hunnam@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