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천주교회 성직자 독선·권위주의 큰 문제”
한국의 천주교 성직자들은 사회정의 실천을 위한 노력이 부족할 뿐 아니라 독선·권위주의에 빠진 게 가장 큰 문제로 지적됐다. 또 천주교 신자들은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과 맞물려 한국 천주교가 무엇보다 ‘가난한 이들을 위한 가난한 교회’와 ‘복음의 기쁨을 사는 교회’에 치중해야 한다고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사실은 주교회의 한국가톨릭사목연구소가 추계 정기총회에 앞서 지난 1~13일 성직자와 수도자, 평신도 6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30일 공개한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이후 과제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밝혀졌다.
주교들이 개선해야 할 점에 대해 응답자들은 ‘사회정의 실천 노력 부족’(56.1%)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으로 ‘대화와 소통 부족’(51.6%), ‘독선과 권위주의’(42.2%), ‘부유하고 안락한 생활’(33.7%)순으로 들었다. 가난한 이들에 대한 배려 부족, 가진 이들 위주의 사목, 사치스러운 취미활동에 대한 지적도 있었다. 조사에 따르면 신부들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아 독선과 권위주의(47.5%), 부유하고 안락한 생활(35.3%), 대화와 소통 부족(34.2%), 가진 이들 위주의 사목(33.5%) 등이 문제점으로 꼽혔다. 이와 관련해 교회의 쇄신과 복음적 성장을 위해선 ‘가난한 이들을 위한 사목적 분위기 조성’과 ‘사회정의와 평화 실현을 위한 참여 확대’가 가장 시급하다는 응답이 많았다.
지난 8월 프란치스코 교황 방한 중 가장 인상적이거나 감동적인 장면으로는 세월호 유가족 위로(47.2%), 사람들에게 격의 없이 다가감(41.0%), 세월호 추모 노란 리본 부착(27.6%), 사회적 갈등 지역·약자 방문(27.5%) 등을 꼽았다. 교황 연설, 강론 중 감동적이었던 내용을 묻는 질문에선 ‘고통 앞에 중립은 없다’ ‘부유하게 사는 수도자들의 삶이 교회에 상처를 입힌다’ ‘가난한 교회’를 든 응답자가 많았다. 이번 설문조사는 주요 사목 직무자와 전국 7개 대신학교 교수, 남녀 수도회 장상, 주교회의 전국위원회 위원, 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 임원 등 천주교 내 오피니언 리더 218명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홈페이지를 통한 자유 참여자 460여명을 구분한 중복 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
천주교 주교회의 측은 “이 설문조사 결과는 한국 천주교 교회의 새로운 변화를 위한 중심 주제들로 인정해야 한다”며 “우선 주교들의 총의를 모아 개선 방안을 찾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호 선임기자 kim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