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미술관진흥법」개정 공청회/유원적 목포대박물관장 주제발표
◎중앙박물관·현대미술관 위상 높여야/문화공간 건립·운영 기업에 세제혜택을
지난 91년 개정 공포된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에는 박물관의 핵심이랄수 있는 국립중앙박물관과 대학박물관,그리고 미술관의 핵심인 국립현대미술관이 완전히 배제돼 있다.따라서 모든 박물관과 미술관을 중심으로 민족문화를 진흥하겠다는 이 법은 입법취지가 크게 빗나간채 일종의 사립박물관 규제법으로 전락했다는 지적이 만만치 않다.유원적 목포대 박물관장은 16일 하오2시 국회 의원회관 1층 소회의실에서 열리는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개정청원 공청회에서 이 법의 전면개정 필요성을 강조하고 나선다.다음은 법 개정의 필요성과 개정방향을 담은 유관장의 발제요지다.
현재 박물관과 미술관 당사자뿐 아니라 관련 행정부서에서도 이 법의 전면개정 필요성을 절감하나 아직 뚜렷한 입장은 없는 상태이다.또 국민소득이 높아지고 생활문화 공간을 다양하게 요구하는 추세에 따라 박물관과 미술관 못지않게 기능하는 각종 문화시설이 많이 들어서고 있는데도 이를수용하는 법령이 마련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이들도 넓은 의미의 박물관 또는 미술관으로서 동법에 수용돼야 한다.동시에 이들 문화시설을 진흥하기 위해 문화체육부장관 산하에 박물관및 미술관 진흥위원회를 설치,박물관과 미술관의 ▲기본계획 수립 ▲진흥책 수립 ▲설치 및 운영 ▲기금 운용 ▲예산의 기본계획 등을 심의토록 해야한다.또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을 국가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위상을 높여 이들 기관에서 모든 박물관과 미술관의 일반행정을 담당토록 해야 한다.
차제에 박물관과 미술관을 분리,「박물관 진흥법」과 「미술관 진흥법」으로 입법해야 한다는 주장도 있다.그러나 대중을 위한 문화시설 공간이 갖춰지고 여기에 수장할 자료가 있고 이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전문직원이 있다면 이는 모두 박물관 및 미술관 시설에 준한 문화공간이기 때문에 한 법령에 규정돼야 한다.별개로 규정한다면 이는 국가 법령체계의 낭비에 지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박물관및 미술관 진흥법」의 개정방향은 첫째 「도서관및독서진흥법」의 체계에 준해 총칙 국립박물관 및 국립미술관,공립박물관 및 공립미술관,사립박물관 및 사립미술관,대학박물관,설립과 등록,관리운영,지도감독,심의·자문·협력기구 등 9개의 장으로 구성해 필요한 사항을 일목요연하게 체계화할 필요가 있다.둘째 현재의 「박물관및 미술관 진흥법」에 박물관의 핵심을 이루는 국립중앙박물관과 대학박물관 그리고 미술관의 핵심인 국립현대미술관이 빠져있다.이 기관들이 모든 박물관과 미술관을 수용하기 위해선 설립·운영주체에 따라 국립박물관 및 국립미술관,공립박물관 및 공립미술관,사립박물관 및 사립미술관,대학박물 관 등으로 항목을 분장해 설립취지를 구현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셋째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박물관과 미술관으로 위상이 명문화돼야 한다.현재 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은 법이나 시행령에 모두 설립근거가 마련돼있지 않고 「문화체육부 직제」의 한 모퉁이에 규정돼 있다.따라서 이 법에 의한 「국립박물관및 국립미술관 설치령」이 마련돼국립중앙박물관과 국립현대미술관 등 모든 박물관과 미술관이 이 설치령에 수용돼야 한다.또 대학박물관이 설립목적을 다하기 위해서는 「박물관및 미술관 진흥법」에 대학박물관이 규정되고 구체적인 사항은 교육관계 법령에 정하도록 위임입법이 마련돼야 한다.마지막으로 박물관및 미술관의 설립운용에 필요한 기금을 기부하거나 유물을 기증한 사람에게 사회·문화적 보상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다양한 정보자료 문화공간을 건립·운영하는 법인과 기업에 세금감면의 혜택을 주는 등 이 법이 규제법이 아닌 진흥법이 되도록 구체적인 진흥책이 마련돼야 한다.〈정리=김성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