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손잡이는 본래 열성일까
△ 왼손과 오른손(주강현 지음/시공사 펴냄). ‘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의 차이점은?” 주변에서 적지않이 보게 되는 왼손잡이.점차 인식이 바뀌어 가곤 있지만 왼손잡이는 여전히 오른손잡이와 구별되는,아니 ‘차별’의 대상이 돼있는 게 사실이다.
운전을 할 때나 컴퓨터 마우스를 다룰 때, 정작 왼손잡이본인들은 불편함을 느끼지 못하지만 주변인들이 보는 눈은다르다. 그렇다면 왼손잡이는 태초부터 타고난 열성일까? ‘왼손과 오른손’은 자칫 단순하게 지나칠 수도 있는 왼손과 오른손의 차별을 사회사적으로 파헤친 흥미있는 보고서다.저자는 인류가 왼손 오른손의 차이를 인식하게 된 것은 단순히 각자의 편의에 따라 갈라진 좌우에 국한되지 않는,억압과 금기의 총체적인 작용 탓으로 규정하고 있다.
저자에 따르면 원래 왼손과 오른손,즉 좌우는 인간이 직립보행을 하고부터 생긴 앞뒤 개념과 같이 왼쪽과 오른쪽의 방위개념에 불과했다.그러나 인류의 인지가 발달하면서동서양 모두에서 정치 사회 문화적으로 오른쪽 위주로 살도록 강요하는 오른쪽 우위의 헤게모니가 생겨났다는 것이다.
서구 산업혁명의 산물인 자동화도 철저하게 오른손에 맞도록 짜여진 시스템이고 시계 역시 철저하게 오른쪽의 철학이다.“서구사회에서 왼손잡이 편견을 빚어낸 최대의 공적은 기독교 문화”라고 저자는 밝힌다. 예를 들어 선악과를 따는 이브의 ‘악한 손’은 왼손이다. 성화(聖畵)의 대부분이 오른손에 힘을 주며 왼손은 악마 취급을 당한다.
‘오른손의 절대권력화’를 파헤치기 위한 책 속의 궤적은 끝이 없다.고고민속학,역사민속학,도상학,지리학,아동교육학,건축학,유전학,언어학,종교학,철학,한의학,정치학등 인문학의 거의 모든 분야가 섭렵된다.저자는 “동양의연구 집적이 초라한 만큼 어쩔 수 없이 서구의 성과에 기댈 수 밖에 없었다”고 한계를 밝히고 있지만 실제 분석에사용된 자료량과 천착의 정도는 이런 한계를 상쇄하고도남는다.
왼손ㆍ왼쪽으로 대표되는 억압과 금기의 상징은 이단이나마이너리티,금기, 소외,비정상이라는 ‘다름’으로 구석구석 스며들었고 우리 사회에서도 여전히 어릴적부터 왼손잡이의 ‘오른손' 방향선회를 부추기는 방식으로 엄존한다.
결국 저자는 “왼손잡이 오른손잡이의 문제는 약자에 대한 지속적 차별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이뤄져왔는지를 보여주는 극단적인 예”라면서 “오른손 무한권력의 시대에 왼손의 연대를 촉구하는 것은 문화적 열성,마이너리티에 보내는 경의의 표시이며 양극단을 뛰어넘어 문화다원주의 실현을 희구하는 염원에 다름아니다”고 강조한다.1만2000원.
김성호기자 ki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