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 기자가 본 종교 ‘萬華鏡’] 감사원의 우담발라
세계 곳곳에는 인류와 종족을 멸망시켰다는 대홍수에 얽힌 이야기들이 전해진다.바빌로니아의 홍수,구약시대의 홍수,그리스 신화의 홍수….문헌으로 기록된 가장 오래된 전설인 바빌로니아 수메르족의 멸망은 ‘길가메시 서사시’에 전하는대로 엿새동안의 비로 말미암았고 구약성서 창세기 ‘노아의 방주’편에선 40일간의 폭우로 종말을 맞았음을 보여준다.
그런데 이 홍수 신화·전설들을 들여다 보면 공통적인 구조를 갖춰 흥미롭다.신들이 인구증가와 문명발달로 교만해진 인간들을 벌하기로 작정했고,그방법이 폭우와 홍수이며 특정인(종족)에겐 미리 재앙을 귀띔해 살아남게 해준다는 줄거리다.혼탁하고 타락한 인간들에 대한 응징이지만 결국 구원의 메시지를 강하게 풍긴다.
최근 들어 이 이야기들을 뒷받침하는 역사학자들의 조사와 연구가 이어지면서 단순한 신화와 전설이 아닌,역사적 사실로 밝혀지는 예들이 많다.이 가운데 ‘노아의 방주’는 여전히 논란이 있지만 거의 역사적 사실로 귀착되는 흐름이다.일부 과학자들이 북해 주변에 고대 이집트나메소포타미아보다 앞선 인류 공동체가 7600년 전 노아의 대홍수로 물 속에 잠겼다는 학설을 주장하면서 ‘노아의 방주’잔해를 찾는 탐사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한다.
또 불가리아의 한 역사학자는 이 배를 복원해 불가리아 수도 소피아에서 동쪽으로 약 400㎞ 떨어진 서니 비치 휴양지 인근의 북해 연안에 설치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3000년에 한번 석가여래나 지혜의 왕 금륜명왕(金輪明王)과 함께 나타난다는 우담발라도,따지고 보면 혼탁한 사회를 밝히는 상징의 성격이 강하다.‘우담발화’라고도 불리는 이 상상의 꽃은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실 때에 비로소 핀다.”는 불교대사전의 정의대로 타락한 사회에서 부각되는 희망의 뜻을 담고 있다.‘풀잠자리 알’이니 뭐니 논란이 많지만,종교적 의미를 떠나 의미있는 현상으로 여겨지는 게 보편적이다.
며칠전 서울 삼청동 감사원 민원실에 우담발라가 활짝 피었다고 한다.거듭되는 총리 인준 부결,앞길이 안 보이는 정치권의 혼탁한 치고받기로 어수선한 분위기에서 눈길을 끈다.불교계 해석대로 상서로운 조짐일지는 모르겠으나,요즘 혼탁상이 가셔지는 계기가 됐으면 하는 바람은 누구라도 가지고 있을 것이다.
김성호기자ki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