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성호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388
  • ‘언론사 과징금 취소 결정’ 시민단체 국민감사 청구

    언론인권센터·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전국언론노동조합·한국기자협회·경실련·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한국여성민우회 등 16개 언론·시민단체 회원 541명은 16일 감사원을 방문해 공정거래위원회의 ‘언론사 과징금 취소 결정’에 대해 국민감사를 청구했다. 김성호기자 kimus@
  • 조계종 正大총무원장 사퇴

    조계종 정대(正大·사진) 총무원장이 15일 총무원장직을 공식 사퇴했다. 정대 총무원장은 서울 견지동 총무원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 연말 동국학원 이사장에 선출돼 조만간 취임을 앞둔 만큼,종단의 주요 소임 겸직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해 온 데다 겸직을 제한하는 종헌을 지키고자 물러나기로 했다.”고 밝혔다.이에 따라 조계종은 다음주 초 중앙선관위를 소집,선거일을 공고할 예정이다. 김성호기자 kimus@
  • 교회쇄신 천주교 ‘시노드’ 열린다

    천주교 서울대교구(교구장 정진석 대주교)는 교회의 쇄신과 발전 차원에서 당면 과제를 해결하고자,전 교구민이 모여 의안을 토론하고 결정하는 ‘시노드’(Synod)본회의를 오는 26일부터 8개월 일정으로 서울 명동성당에서 개최한다. 3년 준비 끝에 열리는 이번 시노드는 비록 서울대교구의 행사이지만 한국교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서울대교구는 이번 시노드의 정신을,교회 울타리를 넘어 세상과의 대면을 강조한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년)와 연결할 만큼 교회 쇄신을 절박한 과제로 인식하고 있다. 서울대교구의 시노드는 정 대주교가 2000년 1월 교회의 변화와 쇄신을 강조하면서,성직자뿐 아니라 수도자와 평신도 등 교구의 모든 구성원이 참여하는 토의를 열자고 선언한 데서 비롯됐다.그해 5월 시노드 사무국이 출범해 준비에 들어갔으며 이듬해 초 준비위원회를 발족해 의제선정 과정을 거친 뒤 현재 의안 초안을 떴ジ??놓은 상태다. 준비위는 그동안 성직자와 수도자,일반신자 대표들을 포함한 전 교구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토론회·의견청취 모임을 갖고 엄청난 양의 쇄신 방안과 의견을 수렴했다.이를 통해 선정한 의안은 ▲평신도▲수도자▲성직자▲청소년·청년▲선교·교육▲교회운영▲사회복음화 등 일곱 부문으로,각 의안은 서울대교구의 현실,교회의 가르침,개선방안 등 세가지 구성원칙에 따라 작성됐다. 교구장 주교를 의장으로 하는 시노드 본회의에 참석하는 대의원은 모두 793명.평신도 331명,수도자 124명,성직자 338명으로 구성되며 여성도 200명이나 된다.이 대의원들은 세차례 전체회의는 물론 총 131명으로 구성된 전문위원들과 함께 7가지 의안별 분과회의에 배속돼 의안별 분과회의를 진행한다. 전체 교구민을 대표하는 대의원과 전문위원들은 9월21일 폐막까지 전체 회의와 의안별 분과회의를 통해 새로운 시대가 요청하는 참된 교회의 모습으로 다시 태어나는 방안을 토의하게 된다. 한편 서울대교구는 개막을 앞두고 시노드의 성공적인 진행을 기원하는 뜻에서 17일부터 25일까지 9일 기도를 바친다.모든 미사 전에 묵주기도와 시노드 기도문을 바치는 9일 기도를 통해모든 대의원들에게 하느님의 은총과 지혜를 청원한다. 이달 시작되는 본회의에서 건의안을 건네받게 될 정 대주교는 교구 성직자등과 안을 검토한 뒤 선언의 형태로 각 교회의 운영·사목 지침이 될 최종문헌을 확정 발표하면서 시노드는 폐막한다.교구장에게 제출되는 건의안에 대한 응답이라고 할 수 있는 ‘최종 문헌’은 8월까지 작성되고 교구장의 최종적인 검토를 거쳐 폐막식에서 문헌에 서명,반포한다. ●김성호기자 kimus@kdaily.com ★시노드란 천주교회 주요의제 결정 주교와 성직자들의 회의 교구나 관구의 주교와 성직자들이 여는 일종의 교회회의로,주교가 관할하는 교리·규율·전례 등을 토론을 거쳐 결정하는 천주교회 고유의 민주적 성찰의 자리이다.크게 교구장 주교를 보좌하는 교구 시노드와 교황을 보좌하는 주교 시노드로 나뉜다. 중세 초기에는 교구 성직자와 수도자는 물론 평신도 대표까지 참여해 교회의 주요 의제를 논의했으나 이후 평신도는 제외됐으며,평신도가 교구 시노드에 다시 참여한 것은 천주교회 개방의 계기로 여겨지는 제2차 바티칸공의회(1962~1965년)이후다. 오는 26일 개막하는 서울대교구의 시노드는 ‘교구공동체의 쇄신을 위해 교구장 주교에게 도움을 제공하는 개별교회의 선발 사제와 수도자,신자들의 회합’으로 정의된다. 시노드는 참여한 대표들이 토론과 투표로 의안을 확정,교구장이 서명 인준함으로써 산하 교회의 운영·사목 지침이 된다.국내에서는 1857년 제1차 조선대목구 시노드,1868년 제2차 조선대목구 시노드,1922년 서울대목구 시노드가 열린 바 있다.오는 26일 열리는 서울대교구 시노드는 4차 교구 시노드이지만 현대에 열리기는 처음이다.
  • 오마이뉴스 ‘촛불시위 기사’ 사과

    김기보씨 기사게재 중단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www.ohmynews.com)는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김기보씨의 촛불시위 기사에 대해 ‘자작극’ 논란이 거센 것과 관련,9일 사과문을 발표했다. 오마이뉴스는 오연호 대표기자와 성낙선 뉴스게릴라본부장(시민기자 담당) 명의의 사과문에서 “김기보 시민기자가 지난해 11월29일자에 ‘네티즌,광화문의 촛불시위를 제안하다’란 제목의 기사를 쓰면서 제안자가 자신임을 밝히지 않고 ‘한겨레 자유토론방에서 나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쓴 것은 분명히 잘못된 일이고 또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밝혔다. 오마이뉴스는 “이번 일을 거울삼아 앞으로 더욱 철저하게 상근기자와 시민기자들이 올린 기사를 검증하겠다.”고 약속했다. 아울러 ‘촛불시위’ 기사와 관련해 김씨에게 ‘엄중 경고’조치를 취했으며,김씨는 앞으로 1년간 오마이뉴스에 기사를 쓰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성호기자 kimus@
  • 김성호 복지부장관 “치료목적 배아복제 허용”

    김성호(金成豪) 보건복지부장관은 8일 인간복제금지법 입법방향과 관련,“난치병 치료를 위한 배아복제 및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허용하되 이것이 인간복제로 이어지지 못하도록 하는 장치가 무엇인지 찾고 있다.”고 말했다. 김 장관은 이날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체세포 핵이식은 난치병 치료를 위한 배아복제의 한 방법인 반면 인간복제의 전단계이기 때문에 선별적으로 허용할 수밖에 없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복지부는 그동안 “치료 목적의 배아복제기술을 허용할 경우 배아관리의 투명성이 확보되어 있지 않은 우리나라의 관리체계에서는 쉽게 ‘생식 목적'의 복제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며 우선 모든 형태의 체세포 복제연구를 금지한 후 국가생명윤리자문위원회가 허용 여부를 추후결정하자는 입장이었다.김 장관은 “늦어도 2월중에는 관련 법안을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정경기자 olive@
  • 브라질 좌파 룰라정권 출범

    |멕시코시티 연합|루이스 이나시오 룰라 다 실바 브라질 대통령 당선자가 1일(현지시간) 임기 4년의 새 대통령에 취임했다. 룰라 신임 대통령은 취임연설에서 “브라질 경제가 어려움에 처해 있지만 경제회복을 확신한다.”며 “공약대로 임기중 빈부격차 해소와 고용 창출에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취임식이 열린 브라질 수도 브라질리아의 국회의사당 주변에는 수만명의 환영인파가 몰려 ‘룰라’를 연호하며 노동자 출신 룰라 대통령의 취임을 축하했다. 브라질 국회의원들도 룰라 대통령과 조제 알렌카르 부통령의 취임선서가 끝나자 격려를 뜻하는 ‘올레 룰라’ 등의 구호와 함께 박수로 룰라 대통령을 따뜻하게 맞이했다. 취임식에는 피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과 우고 차베스 베네수엘라 대통령을 비롯해 9개국의 국가원수와 3개국의 총리,로버트 죌릭 미무역대표 등이 경축사절로 참가했으며,한국에서는 김성호 보건복지부장관이 대통령 특사자격으로 참석했다.브라질 노동당(PT) 소속 룰라 대통령은 지난해 10월27일 실시된 대통령선거 선투표에서 집권 브라질 사회민주당(PSDB)의 조제 세하 후보에 압승을 거두고 대통령에 당선했다.
  • 고즈넉한 사찰서 맞는 아주 특별한 새해첫날

    해마다 이맘때면 한해를 마무리하고 새해를 맞을 이런저런 명소를 떠올린다.이번에는 제야와 신년맞이를 전통 사찰에서 해 보는 것은 어떨까.비단 불교신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에게도 전통사찰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거기에 담긴정신적인 체험은 ‘정리’와 ‘각오’의 의미 찾기에 손색이 없을 것이다.전국 유명사찰도 이런 의미 있는 시간 만들기를 염두에 둬 타종식·철야정진·해맞이 법회 등 다양한 행사를 마련했다.제야와 원단에 걸쳐 찾아 볼만한 주요 사찰행사들을 소개한다. ◆경주 불국사 평소 관람객이 가장 많이 몰리는 사찰이지만 1년중 단 하루 축제 분위기 속에서 사찰에 안길 수 있는 기회다.31일 오후 9시30분부터 ‘제야의 종 타종식’행사가 진행된다.석굴암 주차장 통일대종 앞 무대에서 펼치는 축하공연을 시작으로 법요식과 타종이 차례로 이어진다.타종식 직후 불꽃놀이로 새해의 시작을 축하하며 공식행사 뒤에는 관람객이 직접 타종하는 기회도 준다.(054)746-9913. ◆양양 낙산사 흔히 일반인들에게 동해안에서 가장 장엄한 일출을 만끽할수 있는 명소로꼽히는 사찰이다.낙산사는 해마다 ‘해맞이 축제’를 열어와 올해도 어김없이 산중축제를 마련한다.자정에 산중 승려들이 모두 모인 가운데 타종식을갖고 경내에 ‘소원성취등’을 일제히 밝힌다. 축제에 참가하는 관광객·상인이 한꺼번에 몰리므로 사찰 아랫마을(사하촌)에 차를 두고 일찌감치 절에 올라가는 게 낫다.해돋이를 보기 좋은 곳은 의상대·홍련암·해수관음상 부근 등지로 이 가운데 홍련암에서는 새해맞이 철야기도가 가능하다.(033)672-2448. ◆여수 향일암 여수시와 함께 ‘향일암 일출제’를 봉행한다.자정에 열리는 타종식과 새벽 3시30분 일반인들과 함께하는 ‘해맞이법회’가 하이라이트.일출제와 맞물려 향일암 아래 임포마을에서는 전날 오후 7시30분부터 길놀이,일출가요제,불꽃놀이,가족영화 상영,공연 등을 한다.국립공원 주차장∼향일암 아랫마을행사장 구간 셔틀버스도 운행한다.(061)644-4742. ◆정동진 등명낙가사 국내에서 가장 처음 새해 첫 일출을 볼 수 있는 곳으로 널리 알려졌다.다른 사찰과 마찬가지로 자정 타종식을 가진 뒤 철야기도에 들어가며 새벽 3시30분부터는 낙가사 뒷산 괘방산에 함께 올라 일출을 보면서 촛불 기원법회를연다.(033)644-5337. ◆공주 갑사 31일 오후 6시30분부터 포살법회를 여는 데 이어 통기타 가수 콘서트와 전통무용 등 문화공연을 준비했다.자정 무렵 시작하는 해맞이 법회는 길놀이와 탑돌이,타종식,새해 발원,소지공양 순으로 진행된다.(042)483-8214. ◆기타 이밖에 부산 해동용궁사(051-722-7744)는 31일 오후 9시부터 대웅전에서 해맞이 철야법회를 봉행하며,옥천 약사사(043-731-2261)는 31일 오후 10시 철야기도를 시작한 뒤 일출 시간에 맞춰 일제히 산에 올라 오전 10시까지 기도를 계속한다. 김성호기자 kimus@
  • 복제인간 첫 탄생 각계 반응 “넘지 말아야 할 線 넘었다”

    ‘인류를 위해 결코 넘어서는 안될 선을 넘었다.’ ‘몇몇 생명과학자들의과욕이 부른 중대한 실수다.’ 27일 인류역사상 첫 복제 인간 탄생에 대해 종교계는 물론 의료·과학계,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의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심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인간의 난치병 치료 등에 제한적으로 쓰여져야 할 복제기술이 실제 복제인간의 탄생으로 이어지면서 엄청난 파장과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복제양 ‘돌리’가 조로증 등 각종 부작용이 나타나고 있는 것처럼복제인간도 어떠한 부작용에 직면할지 모른다는 견해가 많다.불과 수년에 불과한 복제동물 성공의 역사만으로는 복제된 생명이 향후 어떤 문제를 일으킬지 알 수 없고,미리 대책을 세울 수도 없기 때문이다. ◆종교계 생명경시 심화 등의 부작용을 우려하며 일제히 비난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CCK)는 인간복제에 반대하는 입장을 분명히 밝히고 교계는 물론 시민·여성단체와 연대해 국내에서의 복제인간 탄생을 저지하는운동을 벌이기로 했다.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도 인간복제는 생명 존엄성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라는 입장을 거듭 천명하고 교단별 총회를 열어 인간복제 국내 확산을 막을 방안을 마련할 방침이다. CCK 사무차장인 이창영 신부는 “이번 복제아기 탄생은 생명과학의 주도권을 잡으려는 일부 생명과학자들의 과욕에서 나온 중대한 실수”라면서 “생명은 부여받는 것이지 인간이 인위적으로 조절할 사안이 아닌 만큼 국내 생명과학자들도 종교적인 입장과 상관없이 생명의 존엄성을 심각하게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영률 한기총 총무는 “양이나 소·돼지의 복제에 따른 생명 연장 또는 부작용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복제 아기가 탄생한 것은 기독교계가 우려했던 대로 창조주에 대한 결정적인 도전이 현실로 나타난 것”이라며 “이로인해 생기는 재앙이나 후유증에 대한 책임은 전적으로 복제 아기를 탄생시킨 생명과학자들이 져야 한다.”고 비난했다. 법산(동국대 정각원장) 스님은 “과학의 발달이 인간의 도덕적인 측면을 무시한 채 또 다른 차원의 살인 행위를 낳았다.”면서 “비록 의학적인 측면의 활용이라지만 인위적으로 생명을 조작하고 창출함은 분명 인간모독이고 자연법에 대한 역행”이라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의료·과학계 송명세 연세대의대 예방의학과 교수도 “윤리적으로 결코 용납될 수 없는행위”라며 “의료법 윤리문제를 다루는 한국의료법윤리학회에서 곧 전문가들을 소집해 대처방안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첫 복제인간의 이상 유무와 관련,차병원 세포유전자치료연구소 정형민 소장은 “동물복제 때와 달리 인간은 임신 순간부터 기형이나 유전병 등에 대한철저한 검사가 이루어졌을 게 분명한 만큼 정상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정 소장은 그러나 “정상 복제인간을 탄생시키기 위해 자궁 안에서 이상이있는 수십개의 생명을 희생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황우석 서울대 교수는 “가장 우려했던 상황이 현실화됐다.”며 “국내 기술 수준으로도 인간 복제가 가능하지만 기형 출산율이 30%에 육박하기 때문에 인간복제 금지를 명시한 생명공학법 제정은 물론 국내 과학자들이나 생명공학 전공자들에게윤리의식을 갖추도록 제도화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로 인한 부정적인 사회적 분위기 때문에 과학계의 생명연구 의지가 약해지고 위축되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시민단체 및 사회학자 시민단체 관계자 및 사회학자들은 복제인간 탄생이 곧 남성과 여성이 만나아기를 낳는 가족개념을 엉망으로 만들 뿐만 아니라,심각한 인간의 정체성문제를 야기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참여연대는 이와 관련한 논평을 발표,“가능한 것이면 뭐든지 시도할 수 있다는 과학기술의 맹신과 오만 앞에 인간의 존엄성은 한낱 휴지 조각이 돼 버렸다.”고 개탄했다. 참여연대는 “국내에서도 1997년부터 인간복제를 금지하기 위한 법제정이논의됐지만 인간복제가 현실이 돼 버린 지금까지도 아무런 성과가 없다.”면서 “지금이라도 국회에 제출된 ‘생명윤리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정부와 정치권은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진교훈 서울대 윤리교육학과 교수는 “정말 인간 복제가 이뤄졌다면 이는인간의 존엄성과 유일성을 파괴하고사회질서를 무너뜨리는 엄청난 사건”이라며 “무슨 일이 있어도 인간복제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함혜리 김성호 임창용 이세영기자 kimus@
  • 조계종 법전종정 신년 법어

    조계종 법전(法傳) 종정은 24일 신년법어를 발표,“천지가 열리기 이전 신령스럽고 찬란한 빛이 있어 만물의 아름다운 덕성과 차별없는 지혜를 빚어내어 새아침 시방세계를 장엄하니 모든 마왕은 호법의 선신이 되고 대지는 변화하여 진불의 국토를 이루니 처처가 화엄세계요 두두물물이 진리의 몸을 이룬다.”고 말했다. 법전 종정은 “높고 낮은 산하는 함께 법륜을 굴리고 용상(龍象)이 무생(無生)의 길을 열고 지나가니 장악(障嶽)은 무너지고 전도(顚倒)는 그쳐서 가는 곳마다 풍월이 가득하고 곳곳에 안락이 이루어져 크고 작은 생명이 환희에넘쳐 태평가를 부른다.”고 덕담했다. 법어는 “곧은 말은 쇠망치를 맞는 것이요 진실로 듣는 것은 귀로 듣는 것이 아니구나.”라는 말로 마무리됐다. 김성호기자 kimus@
  • 올해의 바람직한 복지공무원 오대규국장등 5명 선정

    보건복지부 공무원직장협의회가 선정한 ‘2002년 바람직한 보건복지인’의국장급 공무원에 오대규 건강증진국장,김태섭 보건정책국장이 각각 뽑혔다. 또 과장급에서는 진행근 보건자원과장,노길상 건강정책과장,노연홍 총무과장 등 3명이 각각 선정됐다. 평가에는 복지부 본부에서 근무하는 무보직 서기관 이하 공무원 319명(총 364명중 87%)이 참가했다. 평가는 민주성,업무추진력,책임의식,조직운영자로서의 자질과 능력 등 모두 9개 항목에 대해 항목별 10점씩 90점을 만점으로 대상자별 평가조사표를 작성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국장 10명,과장 37명 등 모두 47명에 대해 평가했다. 직장협은 선정된 간부공무원 5명에게 복지부 직원 전체의 이름으로 상패와부상을 전달하고 인사상 인센티브를 주도록 김성호 장관에게 건의했다. 오양섭 직장협의회장은 “선정된 간부에게는 공직생활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직원에게는 본보기로 삼을 수 있는 공직자상을 갖도록 하는 계기가 될것”이라고 말했다. 노주석기자 joo@
  • ‘黨개혁안’ 계파별 반응 - 개혁파 “실망”… 동교계 “안도”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가 23일 밝힌 ‘당 개혁구상’에 대해 민주당 각 계파 의원들은 서로 다른 시각을 표출했다.전날 개혁성향 의원 23명의성명으로 촉발된 당내 개혁 논란이 새 정부 출범과 맞물려 권력투쟁의 양상을 띠고 있는 만큼 세력마다 이해득실을 달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당의 발전적 해체’와 ‘인적청산’을 주장했던 개혁성향 의원들은 다소 실망하는 눈치다.이날 ‘지도부 총사퇴’를 주장하며 최고위원직에서 물러난 신기남(辛基南) 의원은 “우리는 우리 할 일을 하는 것”이라며 “노 당선자도 당 개혁과 관련,당·정 분리를 얘기하지 않았느냐.”며 시큰둥한 반응을 보였다.김성호(金成鎬) 의원은 “민주당의 발전적 해체는 당·정 분리를 원칙으로 하는 것이기 때문에 노 당선자가 간섭하면 안된다.”고 말했다.이어 “당의 새로운 건설을 위한 기구를 당 공식기구로 할 수 있지만 그 방향은 민주당 해체와 새로운 정당의 건설이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노 당선자의 핵심측근이면서 전날 성명발표에는 참여하지 않은 이상수(李相洙) 선대위 총무본부장은 “노 당선자가 방향을 잡아준 것”이라며 노당선자의 발언에 공감했다. 개혁파들이 주장한 ‘인적청산’의 대상이었던 후단협 및 동교동계 의원들은 노 당선자의 구상을 대체로 환영했다.특히 특정인사 배제보다는 화합을 통한 자율적 개혁을 강조했다는 점에 애써 기대를 거는 모습이었다.후단협소속 박종우(朴宗雨) 의원은 “노 당선자가 국민의 마음을 잘 읽고 한 발언”이라고 높게 평가했다.이어 “변화를 이루기 위해 구성원 간에 이전투구하는 모습을 국민들은 바라지 않는다.”면서 “하루 아침에 바꾸는 것은 혁명”이라고 개혁파 의원들을 비판했다. 동교동계 핵심인 김옥두(金玉斗) 의원은 “변화가 필요하다는 데 대해선 동의한다.”면서 “노 당선자에게 힘을 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설훈(薛勳) 의원은 “어제 일부 의원들이 성명을 내면서 당내 분란을 일으키는 상황이 왔었는데 노 당선자가 적절하게 제어했다.”면서 “(노 당선자가)잘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홍원상 이두걸기자 wshong@
  • 동국학원이사장 정대 총무원장

    학교법인 동국학원은 23일 이사회를 열어 임기 4년의 제20대 이사장으로 정대(正大) 조계종 총무원장을 선임했다. 이날 이사회에는 13명의 이사 가운데 이사장직을 사퇴한 녹원(綠園) 스님등 10명이 참석,만장일치로 가결했다. 정대 후임 이사장의 공식 임기는 내년 1월24일 시작되며 그 전까지는 직무대행을 맡기로 했다. 정대 총무원장은 다음달 취임 전 총무원장직을 내놓을것으로 보인다.이에 따라 조계종은 2월 초쯤 총무원장 선거를 치를 예정이다. 김성호기자 kimus@
  • 민주쇄신파 ‘黨해체론’속내/동교계·후단협 청산 ‘정면돌파’

    노무현(盧武鉉) 대통령 당선자가 16대 대선 운동기간에 밝혔던 민주당의 전면적 쇄신이 조기에 공론화되고 있다.올해 초 국민참여 경선 도입,당·정 분리 등을 이끈 쇄신파동에 이어 만만치 않은 세기의 2차 민주당 개혁이 시작되는 셈이다. 22일 ‘민주당의 발전적 해체’를 주장한 조순형(趙舜衡) 상임고문 등 의원 23명은 대부분 후보단일화 이전부터 노무현 대선 후보를 적극 도왔던 인사들이다.이들 개혁성향의 의원들이 당의 대개혁을 부르짖는 배경에는 노 후보의 당선 성공으로 노 후보에게 비협조적이었던 동교동계 및 후단협 의원들에 대한 인적 청산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는 분석이다.이들은 성명을 통해 “김대중 정권의 부패와 실정에 책임이 있는 세력과 함께 ‘원칙을 부정했던기회주의적 구태정치 행태’도 단호하게 심판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강래(李康來) 의원은 “개인적으로 인적 청산은 불가피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고,김성호(金成鎬) 의원도 “당을 해체한 뒤 역할 교체를 통해 해당자들의 역할을 후퇴시키면 자연스럽게 (정당개혁이) 해결된다.”고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했다. 다만 발표에 앞서 가진 준비모임에서는 인적 청산 대상이 구체적으로 거론되는 등 강경론이 거세게 대두됐으나 온건개혁성향 의원들의 만류로 수위가다소 낮아졌다는 후문이다.아울러 개혁성향 의원들이 대수술을 서두르는 것은 새 정부가 들어선 뒤 정치권 개혁을 주도하기 위해선 민주당이 대선에서패배한 한나라당보다 한발 앞서 국민적 요구에 맞는 정치 변혁을 선점하겠다는 의식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개혁파의 핵심 관계자는 “당장은 화합과포용론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있지만 그렇게 되면 시기를 놓치게 된다.”면서 “시대의 흐름에 따라 우리가 먼저 확실히 변한 모습을 국민에게 보여주면자연스럽게 한나라당도 따라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들은 23일 예정된 최고위원 회의에서 이같은 의견을 적극 개진하고 ‘지도부 교체’,‘조기 전당대회 소집’ 등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총대는 신기남(辛基南)·추미애(秋美愛) 최고위원이 메고,스스로 최고위원직을 사퇴할 생각이다.일부 최고위원의 동조를 받기로 했으나 박상천(朴相千) 최고위원,정균환(鄭均桓) 총무 등 범동교동계 의원들의 반발이 심할 것으로 보이는 데다 개혁파측의 정대철(鄭大哲) 선대위원장도 다소 미온적이라 결행의 성공여부는 점치기 힘들다. 하지만 당선자의 측근 진영인 개혁세력이 당선 직후부터 인적 청산 등을 요구하는 것은 자칫 당내 ‘권력투쟁’ 또는 ‘제2의 내분’으로 비쳐질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특히 당내 분란 등으로 번질 경우 노 당선자 취임 이후 국정운영에 차질을 가져올 수도 있다는 지적이다. 홍원상기자 wshong@
  • 鄭지지철회 파문 “女대통령 꿈꾸는 추미애의원도 있고 흔들릴때 도와준 정동영의원도 있다”

    16대 대선을 하루 앞두고 18일 국민통합21 정몽준 대표가 민주당 노무현 후보에 대한 지지를 철회함에 따라 대선에 큰 파문이 예상된다.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와 박빙의 승부를 펼치고 있는 노 후보로서는 정 대표의 지지 철회가 적지 않은 타격이 아닐 수 없다. 노 후보가 이 후보를 제치고 지지율 선두를 차지할 수 있었던 동력이 지난달 말 전격적으로 이뤄진 노·정 후보단일화였기 때문이다. 정 후보의 지지 철회는 이날 서울 명동유세에서의 노 후보 발언이 발단인것으로 보이지만 보다 근본적으로는 두 사람간의 불신이라고 볼 수 있다.민주당과 통합21이 17일간 지루한 정책조율작업을 벌인 것도 사실상 이같은 불신감을 좁히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할 수 있다.특히 국정협력에 있어서 노 후보는 정 대표에게 확실한 약속을 보장하지 않았고,이에 정 대표는 노 후보에 대한 불신감을 키워왔다. 지난 13일 노 후보와 정 대표가 극적으로 국정협력과 선거공조에 합의했지만 이같은 정 대표의 불신감은 쉽게 지워지지 않았고,결국 18일 노 후보의“대선후보가되려면 추미애,정동영 등과 경쟁해야 한다.”는 요지의 ‘우발적 실언’에 ‘자존심’이 크게 상한 정 대표가 결별을 선언하기에 이른 것이다. 정 대표의 지지 철회로 노 후보와 이회창 후보의 승부는 한층 예측불허의상황으로 내닫게 됐다.‘정몽준 충격’이 어느 정도 득표에 영향을 미칠지는 가늠하기 어렵지만 유세기간 정 대표에 대한 지지세가 적지 않았다는 점에서 자칫 노 후보로서는 결정적 타격이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특히 잇따른돌출발언으로 한나라당으로부터 그동안 불안정하다는 공격을 받아온 노 후보로서는 선거 직전 또다시 이같은 ‘상황’에 직면했다는 점에서 유권자들에게 부정적 인식을 심어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진경호기자 jade@ ◆지지철회 전말 민주당 노무현 후보에 대한 국민통합21 정몽준 대표의 지지철회 발단은 18일 저녁 서울 종로에서 열린 노·정 공동유세였다. 노 후보의 연설 도중 한 청중이 ‘다음 대통령후보는 정몽준 대표’라는 피켓을 들었다.이에 노 후보는 “국민통합21에서 온 분 같은데 속도위반하지마십시오.”라고 말한 뒤 “여기에 여성 대통령을 꿈꾸는 추미애 의원도 있고 내가 흔들릴 때마다 도와주던 정동영 의원도 있는데,이런 사람들과 경쟁을 해야 된다.”고 말했다.그는 이어 “후보는 그냥 주는 게 아니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노 후보의 발언이 나왔을 당시 정 대표는 특별한 반응을 보이지 않았으나유세가 끝난 뒤 통합21측 당직자 40여명과 함께 인근의 한 음식점으로 옮겨가면서 상황은 돌변했다.1시간 남짓 진행된 회의에서 정 대표는 노 후보 발언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토로했고,참석자들도 잇따라 노 후보를 강력 성토하고 나섰다. 한 관계자는 “우리측 비서진이 명동 유세 후 발언에 대해 불만을 제기했으나 묵살했다.”면서 “노 후보가 종로 유세에서 의도적으로 발언 수위를 더높였다.”고 비난했다.또 다른 관계자는 “노 후보가 대통령이 다 된 줄 알고 서너 시간을 참지 못해 속마음이 나온 것일 뿐 아니라 이용 다 해먹었으니 어쩌진 못할 것이라고 얕잡아본 것”이라며 배신감을 토로했다. 정광철 공보특보는 “회의 모두에정 대표가 명동유세에서의 노 후보 발언을 언급하면서 ‘이래서는 정책공조가 어렵지 않겠느냐.’고 했다.”고 전했다.이어 정 대표는 참석자들의 의견을 들은 뒤 “양당간 정책차이가 드러났는데 이를 그대로 안고 가면 국민을 속이는 게 아니냐.”며 사실상 노 후보에 대한 지지 철회의사를 밝혔다고 전했다.종로 유세에 앞서 가진 명동 유세에서 노 후보는 “미국과 북한이 싸우면 우리가 말리겠다.”는 등의 요지로 언급했다. 상황이 긴박하게 돌아가자,노 후보는 서울 평창동 정 대표 자택을 찾아갔으나 ‘문전박대’당했다.앞서 한 대표와 정 위원장,정범구·조배숙 의원은 통합21 당사를 방문,수습을 시도했으나 통합21측이 거절했다. 그러나 이날 통합21의 분위기는 두가지가 공존했다.‘대표의 자존심 문제’라는 측근들과 ‘그래도 하루는 참았어야 되지 않나.”라는 일반당료의 이해관계가 미묘하게 엇갈리고 있었다. 박정경 홍원상기자 wshong@ ◆한나라당 반응 이회창(李會昌) 후보는 이날 밤 10시쯤 서울 유세 도중 버스 안에서 박태준(朴泰俊) 전 총리로부터 서청원(徐淸源) 대표에게 온 전화를 통해 지지 철회소식을 전해듣고,겉으로 흥분을 드러내지 않았지만 “노·정 단일화는 원래이루어질 수 없는 것으로 깨질 게 깨진 것이다.”고 말했다. 밤 늦게까지 당사를 지키고 있던 김영일(金榮馹) 총장은 “목적 달성을 위해 마음에도 없는 야합을 하고 배신을 밥먹듯 하는 행태를 다시 한번 그대로 드러낸 것”이라며 흥분을 감추지 못했다. 남경필(南景弼) 대변인은 “정몽준 대표가 지지를 철회한 것은 노무현 후보의 신의없고 경박한 태도에 실망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면서 나름의분석을 내놓았다.그는 이어 노 후보를 겨냥,“이번 일은 ‘입으로 흥한 자입으로 망한다.’는 경구를 떠올리게 한다.”면서 “노 후보의 무자격,무자질이 빚은 필연적인 결과”라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이로써 후보단일화가 정권차원의 치밀한 시나리오에 따른 사기극이었음이 판명됐다.”면서 “정치적 노선이나 소신보다는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이합집산하는 정치풍토가 부끄럽다.”고 비판했다. 이지운오석영기자 jj@ ◆민주당 반응 18일 밤 국민통합21측의 노무현(盧武鉉) 후보 지지철회 소식이 알려지자 민주당은 마른 하늘에 날벼락을 맞은 듯 침통한 분위기에 휩싸였다. 선대위 본부장들과 당직자들은 소식을 듣고 뛰다시피 속속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 8층 후보실로 몰려들었다.노 후보는 이날 저녁 9시20분쯤 고개를 숙인 채 굳은 얼굴로 당사에 도착,본부장들과 대책회의에 들어갔다.노 후보는동대문에서 가진 선거기간 마지막 유세를 마치고 당사로 돌아오던 중 후보차량 안에서 지지철회 소식을 들은 것으로 전해졌다.특히 노 후보는 통합21측의 반응에 어이가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노 후보는 당사에 들어서며 “그런말을 못한다는 게 공조 합의에 있었습니까.”라고 반문하며 불편한 심기를감추지 못했다. 회의에는 정대철(鄭大哲) 중앙선대위원장을 비롯,추미애·정동영·신기남의원과 신계륜 비서실장,염동연 특보 등 10여명이 참석했다.한화갑 대표와이상수·조배숙·김성호 의원 등 4명은 대책회의에 참석했다가 밤 10시40분쯤 근처에 있는국민통합21 당사로 가서 관계자들과 숙의했다.결국 이날 밤11시35분쯤 노 후보와 정대철 위원장,이재정 유세본부장 등 3명은 급히 서울 종로구 평창동 정몽준 대표의 자택으로 갔으나 4분 정도 문 앞에서 기다리다 “정 대표가 만취해서 면담이 곤란하다.”는 전갈을 받고 발길을 돌려야했다. 노 후보는 “내가 무슨 할 말이 있겠느냐.”고 고개를 떨구었다. 김경운 김재천기자 kkwoon@
  • 종교인·교육자·언론인順 ‘도덕적’

    한국의 사회 지도층 가운데 종교인이 도덕적으로 가장 높게 평가받고 있는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언론재단이 지난 8,9월 18∼65세 남녀 1255명을 상대로 사회지도층에대한 도덕성,신뢰도,사회적 기여도,전문성,영향력을 설문조사해 1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도덕성에서 종교인이 5.63점(10점 만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다음은 교육자(5.50),언론인(4.48),법조인(3.97),경제인(3.62),고위 공직자(2.29),정치인(1.77)순이었다. 신뢰도는 교육자,종교인,언론인,법조인,경제인,고위 공직자 순으로 높았고사회적 기여도에서는 교육자,종교인,경제인이 차례로 높은 점수를 받았다.영향력에서는 언론인,법조인,경제인·고위 공직자 등의 순서였다. 김성호기자 kimus@
  • 남북불교 ‘단청 불사’ 손잡았다/내년 3월 기술자 평양 파견

    불교계가 내년 3월부터 2006년까지 북한지역 사찰 59곳의 건물 144동에 5만여㎏의 안료를 지원하는 대규모 단청불사를 시행한다. 13일 불교계에 따르면 조국평화통일불교협회(평불협)와 한국불교종단협의회,조계종 민족공동체추진본부는 최근 조선불교도연맹(조불련)과 북한사찰의법당·요사채 단청불사 지원에 합의,두 단계로 나눠 불사를 실시키로 했다.이에 따라 불교계는 2003년부터 2004년까지 1단계 단청작업을 하는데 이어 2005∼2006년 2단계 불사를 통해 북한 사찰의 단청 불사를 마무리하게 된다. 남북 불교계는 단청 불사에서 남쪽의 단청 기술자가 북의 기술자들에게 기술을 전수해 추진한다는 데 합의했으며,상태가 양호하고 사료가치가 높은 단청은 그대로 보존키로 했다. 북 사찰의 단청지원 불사에 가장 적극적인 평불협의 경우 첫 단청지원 대상사찰을 평양 만경대의 용악산 법운암으로 정했으며,내년 3월 단청 기술자를평양에 파견해 법운암 단청을 우선 실시한 뒤 사리원 성불사의 불상 개금도추진할 계획이다.법운암은 김구 선생이 3년간 승려생활을 한 곳이다. 한편 평불협과 조불련은 법운암 단청불사때 남한 불교합창단을 파견하고,조불련이 북쪽의 홍송(紅松)으로 제작한 ‘통일불상’을 평불협 서울 법당에안치하는 방안에 대해서도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맞물려 한국불교종단협의회는 평불협과 민족공동체추진본부와 협의해북한사찰의 단청지원을 공동으로 추진하면서 단청 불사에 대한 정부의 공식적인 지원을 이끌어낼 계획이다. 조불련이 단청 불사에 앞서 북한지역 사찰의 단청 상태를 조사해 작성한 ‘북반부 사찰 단청지원과 관련한 자료’에 따르면 사찰 59곳의 총 단청면적은 3만7489평,단청에 필요한 안료의 양은 4만7260㎏에 달한다. 김성호기자
  • 파리외전 선교사 순교 현양비 평신도들이 명동성당에 세워

    천주교 평신도들이 한국에서 사목하다 순교한 파리외방전교회(파리외전)선교사들을 기리는 현양비를 제작해 최근 서울 명동성당 앞마당에 설치했다. 명동본당(주임 백남용 신부)신도들이 총 3000만원을 들여 제작한 ‘한국 순교 성인 현양비’는 비석과 거북이 좌대,용갓석 등을 갖춘 390㎝ 높이의 대형 석비로,현양비를 소개하는 안내 표석과 쌍사자상 석등을 함께 설치했다. 비석 뒷면에는 불어로‘한국의 순교자들'(Martyrs De Coree)이란 제목 아래 앵베르·베르뇌·다블뤼 주교와 모방·샤스탕·브르트니에르·도리·볼리외·위앵·오메르트 신부 등 10명의 파리외방전교회 소속 순교 성인과,아직 시복·시성 받지 못한 선교사 2명의 이름을 새겨넣었다. 신자들은 현양비 안내표석에 한글로 “박해로 점철된 한국 초기교회 시절,교우들과 함께 피를 흘리신 파리외방전교회 선교사들을 기리며,한국교회를위해 봉사하신 외방전교회의 모든 사제들에 대한 감사의 증거로써 여기 한국 순교 성인 현양비를 세웁니다.”라는 글을 새겼다. 현양비는 오는 20일까지 명동성당 앞마당에 전시된 뒤 배편으로 프랑스에보내져 내년 1월 하순경 파리외방전교회 본부에 제막될 예정이다. 명동본당 측은 “이 땅의 복음화를 위해 희생을 아끼지 않은 선교사들에 대한 고마움을 이제나마 전할 수 있게 돼 다행”이라며 “현양비가 파리외전본부에 세워지면 이 곳을 찾는 모든 사람들이 한국교회와 파리외전이 정신적으로 깊은 유대를 맺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리외전은 1653년 아시아 지역 선교를 목적으로 로마 교황청이 프랑스 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창설한 가톨릭 포교단체로 국내에 들어온 전교회 중 역사가 가장 오래됐다.방콕의 보좌 주교인 브뤼기에르 주교가 조선 선교사를 자원해 1831년 초대 조선대목구장으로 부임해 한국에 오던중 병사한 이래,이땅에 들어온 파리외전 선교사들은 총 174명이다.현재는 14명이 서울·대구·수원·대전·안동 교구에서 활동 중이다. 김성호기자
  • 노숙자.외국인노동자 보살펴온 인천 인권선교 개신교 2곳 합병

    인천에서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을 챙겨온 현장목회와 인권선교에 앞장서온교회가 교단사상 최초로 하나가 되었다.기독교장로회(기장)소속 사랑방교회(전 담임 박종렬 목사)와 아름다운교회(전 담임 박경서 목사)는 지난 10월 교단에서 합병 승인을 받은 뒤 인천 동구 화수동에 새로운 교회,아름다운사랑방교회를 짓고 지난 8일 창립예배를 가졌다.화수동은 ‘괭이부리말’로 널리 알려진 만석동 바로 옆동네로,현재 재개발이 한창 진행중인 지역이다. 교회의 대형화와 물량주의가 일반화한 현실에서 두 교회가 합친 것은,비록규모는 작지만 외국인노동자와 노숙자 등을 위한 인권선교의 전문화에 뜻을두었다는 점에서 신선한 충격으로 받아들여진다. 사랑방교회는 1970∼80년대 민주화운동에 앞장선 박형규 목사(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의 아들인 박종렬(55)목사가 공장밀집 지대인 동구 송림동에 세운 교회.98년 교회안에 노숙자 쉼터인 ‘동구 내일을 여는 집’을개설해 보금자리를 제공하는 등 노숙자 문제 해결에 앞장서 왔다. 한신대 출신의 박경서(39)목사가 세운 아름다운교회도 화수동 빈민지역에서 주로 목회활동을 폈으며 2000년엔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를 열어 인권선교교회로 널리 알려졌다. 두 교회의 합병은 박종렬 목사와 박경서 목사의 인연이 계기가 됐다. 80년대 민중교회 운동을 각각 벌이던 두 사람은 90년대 중반 한국기독학생회총연맹(KSCF)총무와 인하대기독학생회 지도목사로 만나 신뢰를 쌓아왔다. 박경서 목사가 올해 초 합병을 제의한 뒤 두 목사는 각각 교인들에게 동의를 구해 지난 5월부터 사실상 합동예배를 드려왔다. 두 목사와 교인들의 뜻을 받아들인 기장 인천노회도 결국 합병 건을 어렵게 승인했다.처음 합병에 반대한 두 교회 교인들은 지금은 스스럼없이 잘 어울린다고 한다. 두 목사는 “오래전부터 같은 개신교끼리 분열되어 있는 한국교회 모습을부끄럽게 생각했고 교회가 교회다워지려면 지역을 선교하는 교회끼리 마음을 합쳐 공동체의 중심이 돼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고 한목소리를 냈다. “작은 교회라도 사람들의 삶을 껴안을 수 있어야 하지만 소규모 교회 혼자서는 목회와 인권선교를 함께 감당하기 어렵다.”고 어려움을 털어놓은 두사람은 “목회경험이 풍부한 박종렬 목사가 목회에 전념하는 한편 박경서 목사는 인천외국인노동자센터 소장 업무를 맡아 현장에서 인권선교 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imus@
  • 이종욱박사 WHO 사무총장 선거 출마.후보9명 가운데 당선가능성 가장 높아

    국제노동기구(ILO)와 함께 세계 3대 국제기구 중 하나인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직에 한국인이 선임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WHO 결핵국장인 이종욱(李鍾郁·57) 박사가 10일 WHO 제6대 사무총장 선거에공식 출사표를 냈다.선거는 내년 1월28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치러진다. 현재 사무총장 후보로는 모쿰비 모잠비크 총리,살람 이집트 보건부장관 등9개국에서 9명이 출마했다. 이 박사의 당선가능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WHO가 배출한 역대 5명의 사무총장 중 4명이 내부에서 경력을 쌓은 인물들인 데다 이번 출마자 중에서 이 박사가 유일한 내부인사이기 때문이다.미국 상·하원 의원 54명이 최근 미국 국무부와 보건부에 이 박사 지지를 부탁하는 서신을 보낸 점도 큰 힘이 되고 있다.일본 마이니치신문 최근호는 특집 기사에서 이 박사를 유력후보로 꼽았다. 서울대 의대 출신인 이 박사는 1983년부터 WHO 남태평양지역 한센병 관리책임자로 피지에서 근무했고,이후 WHO 서태평양지역 사무처 질병관리국장을 거쳐 94년부터 WHO 본부 예방백신사업국장 및 세계아동백신운동 사무국장을 지냈다.현재 사무총장 특별대표 겸 결핵국장으로 일하고 있다. 한편 김성호 복지부 장관,이기호 청와대 경제특보가 이날 중국·미얀마를시작으로 투표권이 있는 32개 WHO 집행이사국을 방문해 정부차원의 득표 활동에 나섰다.이에 앞서 보건의료 관련기관 및 학계인사를 중심으로 이 박사후원회가 발족된 상태이며 병원협회,한국제약협회,의사협회 등 의료계도 후원모임을 각각 개최하는 등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1948년 창립된 WHO는 3500여명의 전문직원이 세계 191개 회원국의 보건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간 약 11억달러의 예산을 집행하고 있는 유엔 전문기구중 가장 크고 오래된 기구다. 노주석기자 joo@
  • 대선후보에 묻고싶은 분야 경제 38%·교육정책 20%/관훈클럽 조사

    유권자들이 대선 후보에 대해 가장 질문하고 싶어하는 분야는 경제와 교육정책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훈클럽(총무 문창극)이 조사전문기관 AC닐슨 코리아와 공동으로 지난달 25∼27일 전국 성인남녀 700명을 대상으로 ‘대선 후보에게 묻고 싶은 내용’을 조사한 결과 경제 분야가 38.0%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교육(20.1%),북한 및 외교안보(8.4%),국내정치ㆍ노동(이상 8.3%),의료 및 복지(7.3%),여성(3.9%),문화 및 환경(2.1%) 순이었다. 경제 분야의 경우 경제회복 및 안정화 대책을 가장 많이 꼽았고,교육쪽에서는 사교육비 부담 증가와 관련한 것이 가장 많았다. 국내정치에서는 부정부패 척결과 정치개혁,여성분야에서는 육아의 사회적 부담과 공공육아시설 확충,북한 및 외교안보 분야에서는 통일정책,의료 및 복지에서는 의료보험 해결책,노동분야에서는 실업자 해결방안 등이 가장 큰 관심사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가 노동 분야에 관심을 가장 많이 보인 반면 60대에서는 의료 및 복지 분야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같은 분야에서도 세대별 차이를 드러내,북한 및 외교안보 분야의 경우 20대는 한·미관계 개선,40대는 통일정책을 가장 많이 꼽았다. 김성호기자 kimus@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