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인 포커스]조계종 총무원 첫 비구니 부장 탁연 스님
‘비구니는 구족계를 받은 지 100년이 지났다 할지라도 오늘 구족계를 받은 비구에게 예를 다해 공경해야 한다.’
여성 출가자를 남자 출가자에게 종속시키고,자유를 구속하는 계율인 불교 팔경법(八敬法)중 하나다.석가모니 생존 당시 만들어진 것으로 전해지는 이 팔경법은,요즘 불가에서도 여전히 비구니의 자유로운 언행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실제로 비구니들은 공개적인 자리에서 비구보다 먼저 발언하기를 꺼리거나,이런 저런 소임에서 배제되곤 한다.남성 출가자들이 비구니에게 계를 받지 않는 것도 우리 불교계의 불문율이다.전국에 걸쳐 1만2000명의 스님 가운데 절반이 비구니지만,비구니들은 각종 행사나 언론에 얼굴과 목소리를 내는 것조차 꺼린다.
이런 관행과 팔경법을 비웃기라도 하듯이 불교 조계종에 파격이 일었다.1962년 통합 종단 출범 이후 총무원 부장 소임에 비구니가 처음 등용된 것이다.
문화부장 탁연(54) 스님.조계종단 종무행정의 핵심인 총무원 집행부 서열 4위 자리인 문화부장에 비구니를 등용한 것은,예전같으면 생각도할 수 없었던 큰 개혁이다.조계종은 보수적인 한국 불교의 장자(長子)종단이다.
●“총무원장 스님 권유에 소임 맡기로”
5일 임명장을 받은 직후 기자들과 만난 탁연 스님도 “전혀 생각하지 못한 일로 사양했지만,총무원장 스님의 강권에 따라 그동안의 경험을 살려 소임을 맡기로 했다.”고 소감을 밝혔다.그러면서도 ‘의외의 인사’라는 종단 안팎의 시각에는 당당하게 입장을 밝혔다.“비단 불교뿐만 아니라 모든 종교엔 성 차별이 깊이 뿌리박혀 있습니다.시대 흐름에 따라 열린 마음으로 종단 내 여성들의 역할을 키워 나갈 것입니다.”
탁연 스님의 등용은,종무 능력과 자질에 대한 교구 본사 스님들의 의견을 수렴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더 의미가 있다.법장 총무원장은 임명장 수여식에서 첫 비구니 부장 임명과 관련해 “사회와 종단의 여성비율을 감안,시대적인 변화와 요청을 반영하였다.”고 강조했다.
문화부의 하부 조직인 문화국의 장에도 비구니 심원 스님이 발탁됐다.조계종 문화 행정은 비구니 스님들이 도맡게 된 것이다.
탁연 스님의 발탁소식에 예상대로 종단 한켠에선 볼멘 소리가 터져 나왔다.물론 비구들의 불만섞인 항변이다.이같은 목소리를 의식한 듯 탁연 스님은 “여러 스님들과 불자들의 기대에 어긋나지 않고,비구니의 위상에 오점을 남기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현재 조계종단 문화부의 성격에 섬세함과 자질을 갖춘 비구니가 제격”이라는 법장 총무원장의 전언도 보탰다.
●다른 종단에서 더 큰 관심보여
조계종 문화부의 중심 업무는 불교 문화재를 발굴,보존·관리하는 것이다.탁연 스님은 일단 “불교 문화재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과 경험이 없어 걱정스럽긴 하지만,문화재청과 종단 문화유산발굴조사단과 힘을 합쳐 안정적으로 전통불교문화 사업을 발전시켜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탁연 스님은 비구니 교육기관이랄 수 있는 봉녕사승가대학과 중앙승가대학을 졸업하고 해인사·석남사 선원에서 정진해온 만큼 학승의 면모가 강하다.10년간 일본에 머물며 리쇼(立正)대학에서 불교학 박사학위도 받았다.이 경력을 인정한 전국 비구니회가 스님을 강력히 추천했다고,법장 총무원장은 귀띔했다.
탁연 스님은 “지금까지는 공부하는 학인(學人)들을 주로 상대했는데 조금 번거로워질 것 같다.”고 위상 변화에 대한 일말의 부담을 내비쳤다.그러면서도 “부처님의 법에 어긋나지 않는 범위에서 종단과 사회의 여성 권익을 차근차근 찾아갈 것이며,이 또한 물서설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이라고 당당하게 주장,조계종의 변화를 예감하게 했다.
이날 임명식이 끝난 뒤 전국비구니회와 여성단체 회원들의 “양성 평등 차원에서 맡은 바 소임을 다해달라.”는 주문이 축하와 함께 이어졌다.이를 덤덤하게 지켜보던 탁연 스님은 “사실 한국 불교에서의 성 평등은 다른 종교보다 나은 편”이라며 뼈있는 한마디를 던졌다.
불교계가 아니라 다른 종단에서 탁연 스님 등용에 더욱 각별한 관심을 갖는 이유를 짐작케 하는 말이다.
김성호기자 ki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