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종 40대 출가자 늘어 고민
일반인들이 승려가 되는 첫 관문인 행자교육에 불혹을 넘긴 중년이 대거 지원,조계종이 난처한 표정을 짓고 있다.조계종은 나이 많은 출가 희망자들이 늘어남에 따라 지난해 연령제한 조치를 취했지만 여전히 나이든 행자가 늘어나 다시 딜레마에 빠진 것이다.
조계종 교육원(원장 무비스님)이 최근 마감한 제24기 행자교육원 입교 신청 결과에 따르면 292명이 지원,연령제한 조치를 발표하기 전인 23기 때(지난해 8월)보다 57명 늘어났다.연령별로는 10대가 2.1%,20대가 19%,30대가 37%인 데 비해 40대 지원자는 모두 122명으로 42%를 차지했다.특히 40대 지원자 수는 23기의 20%보다 비율이 두배 이상 많았다.
행자교육이란 사미·비구계를 거쳐 공식적인 승려가 되기에 앞서 기본적인 소양교육을 실시하는 프로그램.조계종은 새달 9일부터 23일간 해인사·범어사 등 전통사찰에 행자교육원을 열어 부처님 생애와 초발심자 경문,조계종사,기초교리,각종 의식 등 불교 소양교육을 실시할 예정인데 이에 앞서 신청자를 대상으로 학력과 수행능력,발심정도 등을 점검하고 교리시험을 실시,입교 대상자를 가려낸다.
이 관문을 통과해야 23일간 소양교육을 받을 수 있으며 소양교육을 이수한 행자가 5급 승가고시에 합격할 때 비로소 예비승 자격인 사미·사미니계를 받게 된다.
계를 받은 뒤 종단 교육기관인 중앙승가대학이나 동국대 불교학과 등지에서 4년간 교육을 거쳐 비구·비구니계를 받으면 정식 승려가 된다.
역대 출가 지원자를 보면 40세 이상자가 1990년대엔 10%에 못 미쳤으나 2000년엔 20%,지난해에는 24%로 늘어났다.
조계종은 행자들의 연령대가 상승,승단의 위계질서가 흐트러지는 등 부작용이 이는 것을 우려해 지난해 9월 출가 연령을 종전 만 50세이하에서 ‘만 40세 이하’로 낮추는 조치를 단행했다.하지만 종단 한쪽에서는 이같은 조치를 놓고 출가연령 제한을 두는 것이 뒤늦게 발심한 사람을 배제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았다.
조계종 측은 최근 고령의 출가자가 급격히 느는 것과 관련,일단 보완 방안을 검토중이다.그러나 지난해 본말사 주지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90% 이상이 출가기준 제한에동의했고 중앙종회에서도 만장일치로 통과된 사안이라는 점에서 출가자 연령제한 조치를 철회할 가능성은 없어 보인다.
김성호기자 kim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