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후보경선의 이변/김경홍 논설위원
요즈음,한 코미디언이 “이건 ○○○를 두번 죽이는 거예요.”라는 대사로 폭발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그래! 한번 죽어도 억울한데 두번 죽어서 기분 좋을 리가 있겠는가.이런 코멘트가 인기를 얻는 까닭은 갈 데까지 가보자는 자조도 있겠지만,두번 이상 죽을 각오 없이는 험한 세상을 이겨낼 수 없다는 역설도 포함되어 있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노무현 대통령은 대통령이 되기까지 적어도 두번 이상은 죽었다가 살아난 경우다.민주당 대통령후보 경선 때 출발은 꼴찌에 가까웠으나 결국 승리했다.또 후보는 되었지만 인기가 없으니까 정몽준씨에게 양보하라는 거센 압력에 부닥쳤다.두번 죽겠다는 결심이 없고서야 여론조사를 받아들이기 힘든 상황이었다.대통령 선거 본선의 우여곡절을 합친다면 적어도 세번 이상은 죽었다 살아난 셈이 된다.총칼과 권력에 의해 죽었다 살았다 하는 것이 불과 얼마 전까지 우리 정치의 현실이었다.그런데,요즈음은 여론과 숫자놀음에 의해 죽었다 살아났다 한다.
최근 총선을 앞두고 죽고 사는 사람이 한둘이 아니다.국회의원 자리를 유지하려는 자,국회의원이 되려는 자들의 부침과 굴곡은 보는 사람들마저 안타깝게 한다.먼저 총선후보 경선을 시작한 열린우리당이 굴곡의 시범을 보이고 있다.집권세력과 코드가 맞다는 김성호 의원이 지역구 경선에서 낙마했다.이어 ‘올인전략’의 일환으로 영입하거나 출마를 권유한 권오갑 전 과학기술부 차관,김용석 전 청와대 인사비서관,박정 ‘박정 어학원’ 대표 등이 지역구 경선에서 고배를 마셨다.
모두가 ‘이변’이라고 한다.이변이라는 근거는 무엇일까.집권세력의 올인전략이 차질을 빚었다는 것외에는 별다른 이유를 찾아볼 수 없다.몇몇 총선후보 경선 결과를 두고 선거인단이 1000명 미만이었다니,선정에 문제가 있었다느니,투표율이 낮다느니 말들이 많다.그래서 결과가 왜곡됐을 수도 있겠다.그렇지만 우리가 항상 최선만 선택한 것은 아니다.또 세상은 공급자의 생각보다는 수요자의 선택으로 변해가고 있다.우리가 권력의 황당함,찰나적 여론의 불안정성이라는 덫에 한두번 걸려 봤는가.꼭 갈 데까지 가봐야겠다면 여러번 죽더라도 변화를 받아들여야 하지 않겠는가.
김경홍 논설위원 ho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