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성호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388
  • ‘세계 박물관대회’ 서울서 개막

    ‘세계 박물관 올림픽’으로 불리는 제20차 세계박물관협의회 총회(ICOM총회·서울세계박물관대회)가 3일 오전 서울 삼성동 COEX 컨벤션센터에서 영부인 권양숙 여사,자크 페로 ICOM 회장,정동채 문화관광부 장관,차크리 시린던 태국 공주,노벨평화상 수상자인 호세 라모스 오르타 동티모르 외무장관 등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식을 갖고 6일간의 일정에 들어갔다. 아시아권에선 처음 열리는 이번 대회에서는 150개국 2000여명의 박물관 전문가와 지성들이 ‘박물관과 무형문화유산’을 주제로 학술발표와 토론을 벌여 무형문화유산의 보존 및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서울 세계박물관대회 명예대회장인 권 양숙 여사는 환영사를 통해 “문화재는 개인과 국가의 차원을 넘어서 세계가 함께 관리해야 할 인류 공동의 자산”이라며 “특히 사라져 가는 각국 무형문화재의 계승은 매우 시급한 과제로 우리 모두 함께 관심을 갖고 지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인사]

    ■ 행정자치부 ◇국장급 전보△공보관 崔旼鎬△의정관리국장 李炯求△지방자치국장 李在忠△국가기록원장 朴贊佑 ■ 공무원연금관리공단 △상임이사 金泰謙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승진△연구위원 金泰坤 徐溱敎 張哲洙 鄭仁傑△1급 관리원 朴炯三 ◇보직이동△행정실장 직무대행 金光鎭△총무인사팀장 玉致牧△재무회계팀장 金炳哲 ■ 산재의료관리원 △인천중앙병원장 鄭泰俊 ■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정책연구부장 文英錫 △네트워크산업연구부장 李元宇 △동북아에너지연구센터장 柳承直 △전력기획연구단장 李英九 △전략기획연구단 본부장 沈相烈 李福載 柳志喆 △전략기획연구단 실장 丁宇鎭 ■ 서울시 도시철도공사 △연수원장 김창렬△왕십리역무관리소장 이병일△태릉역무관리소장 조두진△지원관리처장 김익한△홍보실장 박창규△감사실장 윤병준△전산정보처장 김성호△기획경영실 예산팀장 김형수△성산역무관리소장 류형근△고덕차량사업소장 김직현△광명역무관리소장 김능주△대공원역무관리소장 김선일△안전관리실 환경팀장 김종△전기설비사업소 전기팀장 강희돈 ■ SH공사 △총무이사 정인홍 ■ 조흥투자신탁운용 △대안투자1팀장 申東國△대안투자2팀 차장 金昶學 ■ 서울산업대 △공학교육센터 소장 이희원△서울테크노폴리스추진센터 소장 장동영△신문방송사 주간 홍석기△도서관장 유선호△화학공학과장 신헌용 ■ 한국오라클 △회장 尹紋錫△사장 金一鎬 ■ 현대해상 (부장)△인사부장 呂寬九(지점장)△안양 孔泳佑△강남 權赫晩△북부 沈龍九△의정부 皇甫光△강릉 千世英△마산 裵永實△일산 辛承林△동광주 車相龍△춘천 宋映元△원주 申鐘洛△정읍 趙光衍(센터장)△수원보상 梁會丁△울산보상 蔣鐘文△수원고객 朴春柱
  • 탁발순례 도법스님 ‘부처를 만나면‘ 출간

    “탁발을 하면서 온갖 계층의 사람들을 만나본 결과,가난한 사람들뿐만 아니라 넉넉해 보이는 부유층조차도 ‘부족해서 못살겠다.’는 타령을 늘어놓는 것이지요.이런 답답한 현실을 극복하려는 작은 움직임들을 확인한 것이 큰 소득입니다.” ‘생명평화’와 ‘민족화해’를 화두로 전국을 돌며 탁발 순례를 계속하고 있는 도법(55·전 실상사 주지) 스님이 책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여라’(아름다운 인연 펴냄) 출간을 계기로 1일 전북 남원 실상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탁발순례에 얽힌 소회를 털어놓았다. ‘부처를 만나면‘은 도법 스님이 1990년 실천수행 불교결사체인 선우도량을 결성해 이끌어오면서 틈틈이 써온 글들을 엮은 신앙고백서로,한국 불교와 스님들의 수행 풍토에 대한 애정어린 비판을 담고 있다. “우리 사회의 모든 구성원들이 제 삶을 그대로 보지 못한 채 오로지 경쟁에서 이기고 더 나은 삶을 좇으려는 환상에 매여 있습니다.눈 앞의 실상을 제대로 알지 못하기 때문에 고통과 부자유의 악순환이 거듭되는 것이지요.탁발을 하면서 이런 모순들을 진지하게 고민하고 이겨 나가려는 모습들을 보고 그나마 희망을 갖게 되었습니다.” “현실의 삶을 도외시한 채 눈에 보이지 않고 손에 잡히지 않는 허상을 좇기는 일반인이나 출가승이나 마찬가지”라는 스님은 “그래서 종단의 눈을 의식하지 않은 채 스님들이 제대로 된 불교를 알고,제대로 된 중 노릇을 할 수 있는 나름대로의 대안을 찾아보자는 뜻에서 책 ‘부처를‘를 세상에 내놓게 되었다.”고 밝혔다. “나와 남이 전혀 동떨어지지 않았다는 관계성을 똑바로 인식할 때 혼란과 모순의 악순환을 막을 수 있다.”는 스님은 “‘생명평화’의 사상이야말로 모든 종교와 대중들이 함께할 수 있는 운동이고 그같은 노력들을 함께 모아보자는 뜻에서 탁발순례에 나서게 됐다.”고 강조했다. “어떤 상황에서도 막히지 않고 흔들리지 않는 안목과 역량의 부족이 탁발순례의 가장 힘든 점”이라는 스님은 “그러나 어렵게 시작한 탁발인 만큼 이 사회의 건전한 목소리와 개혁의 몸짓들을 한 고리로 꿰어 세상에 드러내기 위해 탁발을 계속하겠다.”고 다짐했다. 도법 스님은 지난 3월 실상사 주지직을 내놓고 수경 스님 등과 함께 3년간의 일정으로 탁발순례에 나서 7개월간 고행을 계속해 오고 있으며,지난달 25일부터 10일간 실상사에서 짧은 휴식을 끝내고 오는 4일 경남 밀양으로 다시 탁발을 떠난다. 남원 실상사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TV특집 ‘한국‘방송 앞두고 개신교­-KBS 마찰

    KBS가 2일 오후 8시 1TV를 통해 방송할 ‘한국사회를 말한다’의 내용을 놓고 개신교계가 강력하게 반발하고 나서 양측이 마찰을 빚고 있다. KBS 1TV의 기획특집 ‘한국사회‘는 선교 120년을 맞는 개신교의 과거와 현재를 짚고 현재 교회가 안고 있는 고민과 문제점을 다룰 예정. 그러나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대표회장 길자연)와 일부 대형 교회는 “이 프로그램이 한국 교회의 국가와 사회에 대한 기여는 외면한 채 교회에서 제명되거나 이탈한 사람들의 편협된 주장을 근거로 한국교회 전체와 특히 대형 교회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를 담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방송중지를 요구하고 있다. 한기총은 이 프로그램과 관련,KBS측에 보낸 공문을 통해 이 프로그램이 ▲교회를 일반 기업과 단체의 경영이나 가치관에 비추어 재단,매도하려 하고 ▲한국 교회 전체에 대해 의도적으로 공격한다며 강도 높게 비난했으며,일부 대형 교회는 방송일에 맞춰 KBS 앞 집회 신청을 해놓고 있다. KBS는 이에 대해 한국교회를 일방적으로 매도하거나 폄하하려는 의도로 제작된 것이 아니며,프로그램에 일부 대형 교회에 관련된 내용이 포함될 수 있지만 이는 한국교회 전체를 조명한 가운데 그 일부분으로 언급된 것일 뿐이라는 입장에 따라 프로그램을 예정대로 방송할 뜻을 밝혔다. KBS는 한기총에 보낸 회신에서 “한기총 소속 목회자들의 의견 및 교회 안팎의 다양한 견해를 최대한 반영한다는 원칙을 갖고 제작에 임하겠다.”는 뜻을 피력했다. 그러나 교계에 따르면 한기총의 일부 인사들은 KBS가 이 프로그램 방송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시청료 분리징수 및 시청 거부운동 ▲1000만 기독인 서명운동 등을 펼쳐야 한다는 강력한 대응방침을 주장하고 있어 파란이 예상된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2일 서울서 개막 ICOM총회 페로 회장

    2일 서울서 개막 ICOM총회 페로 회장

    “세계적으로 값진 문화유산이 급속히 사라져 가는 상황에서 박물관이야말로 이 유산들을 살아 있는 문화로 계승 발전시키는 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봅니다.그런 차원에서 아시아에선 처음 열리는 이번 서울 세계박물관대회는 한국의 무형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박물관의 역할과 기능에 대해 진지하게 논의할 수 있는 의미있는 행사입니다.” 2∼8일 서울 삼성동 COEX에서 열리는 서울 세계박물관대회(제20차 세계박물관협의회 총회·ICOM 총회) 참석차 방한한 자크 페로(59·프랑스) ICOM 회장은 30일 기자들과 만나 이번 대회가 무형문화재의 보존·전수에서 앞선 한국의 제도에 대해 세계의 박물관 전문가와 지성들이 많은 것을 배워 그 가치를 세계에 전파할 수 있는 기회라고 강조했다. “ICOM은 유네스코 산하 NGO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갖고 있고 가장 많은 회원을 거느린 기구입니다.그런 측면에서 세계의 박물관 전문가들이 총집합하는 세계박물관대회는 한국의 우수한 무형문화유산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좋은 계기이지요.” “자연재해와 전쟁으로 인한 파괴,불법 반출 등 문화유산의 손실과 훼손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존제도는 세계적으로 이목을 끌기에 충분하다.”는 그는 프랑스의 외규장각 도서 반환과 관련한 개인적인 입장도 조심스럽게 털어놓았다. “ICOM 회원들간 견해가 각기 달라 ICOM의 공식적인 입장은 갖고 있지 않지만,이 문제는 정부간 정면대응보다는 한국과 프랑스 양측이 동의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봅니다.정부 차원의 직접적인 협상보다는 전문가들의 협조 아래 문제해결을 해나가는 방법이 좋을 것입니다.” 세계적으로 문화재 불법반출이 심각한 상황에 대해서는 “ICOM 차원에서 회원기구들이 문화재의 반출을 막을 수 있는 국제협정에 조인할 것을 장려하고 있다.”면서 “특히 불법반출된 문화재의 목록인 ‘레드 리스트’를 지속적으로 출간해 지금까지 앙코르사원과 아프리카 유럽,남아메리카 쪽의 불법 반출 문화재 목록을 출간해 놓고 있지만 유네스코와 협의해 더욱 강력한 대책을 세워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1946년 설립돼 현재 세계 150개국에서 2000여명의 회원이 활동중인 ICOM은 3년마다 유럽과 비유럽 국가를 오가며 총회를 열고 있으며 자크 페로 회장은 1998년 회장에 선출된 뒤 2001년 재당선,현재까지 ICOM을 이끌고 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한국 유무형문화 세계에 과시할 기회”

    “한국 유무형문화 세계에 과시할 기회”

    “아시아에 소재한 유형 문화재가 유럽에 비해 빈약한 게 사실입니다.이같은 상황에서 아무래도 아시아권의 문화재가 전세계적으로 볼 때 경시되기 일쑤입니다.그런 차원에서 이번 서울 총회는 아시아,특히 한국의 빼어난 전통 유산과 그 무형문화재의 보존 상황을 세계에 과시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2일부터 서울 삼성동 COEX 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제20차 국제박물관협의회 총회(ICOM) 조직위원회의 공동위원장을 맡고 있는 김병모(ICOM 한국위원장) 한양대 교수는 “그동안 ICOM이 아시아권에서 열리지 못했던 데는 세계인들의 아시아 문화재에 대한 인식부족 탓도 있지만 아시아권 큐레이터들의 언어문제가 가장 컸다.”며 “오랜 세월 준비 끝에 성사된 서울 총회에 거는 기대가 크다.”고 거듭 강조했다. “유형 문화재의 가치도 크지만 유형 문화재의 이면에는 반드시 유형 문화재 못지 않은 무형 문화재가 존재합니다.그런 점에서 이번 서울 총회의 주제도 ‘박물관과 무형문화유산’으로 정하게 됐습니다.한국의 입장에선 열악한 박물관 실정도 개선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으로 봅니다.” 가까운 일본만 하더라도 이미 3500개의 박물관이 세워져 있고 해마다 100개 정도가 늘고 있는 반면 우리의 경우 전국에 300개가 고작. 김 교수는 최소한 1000∼1500개의 박물관이 있어야 적정한 수준이라고 개탄한다. “일반인은 물론 정부 관계자들의 박물관에 대한 인식이 너무 부족합니다.좋은 박물관 1개를 건립하는 게 포항공대 1개를 육성하는 것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생각을 이제부터라도 가져야 합니다.” “박물관은 단순히 박제화된 유산을 보존하는 것이 아니라 동식물 보존장과 민속촌까지 전부 아우르는 개념으로 발전해가고 있다.”는 김 교수는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한국이 얼마만큼 수준높은 무형 문화재를 갖고 있고 잘 가꾸어 보존해 왔는지를 전세계 박물관 관계자들에게 명쾌하게 보여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150개국 전문가 2000명 서울로

    흔히 박물관은 오래된 유물들을 보존,관리하는 곳 정도로 인식되지만,유·무형 문화유산들의 만남이 이루어지는 값진 공간이다.실제로 많은 박물관들이 유형의 문화유산들을 갖춰 보여주고 있지만 결국 눈에 보이고 손에 잡히는 이같은 유형 문화재에는 무형의 소중한 문화가 깃들어 있음을 부인할 수 없다. ●세계박물관協 총회 새달 2일부터 이같은 차원에서 새달 2일부터 8일까지 서울 COEX에서 열리는 ‘2004 서울세계박물관대회’(제20회 국제박물관협의회 총회·ICOM)가 주제를 ‘박물관과 무형문화유산’으로 정한 것은 예사롭지 않다.ICOM 한국위원회측이 제안해 채택된 이 주제만 보더라도 이번 대회가 유형 문화재와 밀접한 상관성을 갖고 있는 무형 문화유산을 어떻게 보존하고 그 가치를 최대한 살려나갈 수 있는지를 진지하게 고민하려는 의도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세계 150개국 주요 박물관·미술관 관장과 큐레이터,전문가 등 2000여명이 자리를 함께 하는 이번 대회에서는 무엇보다 아시아,특히 한국의 무형 문화재 보존·전수 방식이 큰 관심사안으로 떠오를 전망이다.한국은 전세계적으로 일본 타이완과 함께 무형문화재 제도를 선도적으로 운영해와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유네스코가 10여년 전부터 한국의 무형문화재 보유자 제도를 주의깊게 관찰해 왔고 지난 2001,2003년 종묘제례와 종묘제례악,판소리를 차례로 세계무형문화유산 걸작에 선정한 것이 그 사례이다. 대회 진행을 볼 때도 한국의 무형문화재를 비중있게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디지털과 미래박물관’이란 주제의 전체회의와,국제고고학위원회 등 ICOM산하 29개 국제위원회별 분과회의 외에 ‘한국 무형문화유산의 보전에서의 경험과 도전’을 비롯한 국내외 학자의 논문 6편이 발표돼 이를 놓고 집중 토론이 이어질 예정이다. 학술회의와 함께 아시아 전통문화 공연이 계속되는데 한국에선 강령탈춤,궁중복식,승무,판소리와 진도북춤,강릉단오제,태껸,사물놀이가 전 세계 문화 지성들에게 선보인다. ●불국사·판문점 등 방문도 이 공연에는 한국의 전통문화와 함께 일본의 국가지정무형문화재 하치오지 구루마닝교(八王子 車人形)와 타이완 원주민 아미(阿美)족의 음악도 들어 있다. 서울 세계박물관대회 조직위원회가 참가자들에게 한국 문화의 정수를 보여주기 위한 관람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도 눈길을 끈다.참가자들은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수원 화성,신라문화를 엿볼 수 있는 불국사,백제문화의 상징인 무령왕릉,남북회담이 열리는 판문점 등을 방문하는 프로그램에 참여하게 된다.이밖에도 대회에 맞춰 한국의 전통매듭전·고구려전(국립중앙박물관),고구려 고분벽화 모사도전(국립공주박물관),나무와 종이전(국립민속박물관),종묘제례문물전(문화재청 궁중유물전시관) 등 전국 박물관에서 100여개가 넘는 각종 특별전이 열린다. 3일 열리는 개회식에는 명예대회장인 영부인 권양숙 여사를 비롯해 차크리 시린던 태국 공주,자크 페로 ICOM 회장,1996년 노벨평화상 수상자인 주제 라모스 오르타 동티모르 외무장관,정동채 문화관광부장관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ICOM 한국위원회측은 “ICOM 사상 처음으로 아시아,그것도 서울에서 열리는 대회를 맞아 세계인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우리의 우수한 무형문화재를 자세히 알리고 보여줄 수 있는 기회일 뿐 아니라,낙후된 국내 박물관·미술관 운영의 발전을 촉진시키는 효과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조계종 초대종정 한암 生家 복원

    조계종 초대 종정을 역임한 한암 스님 생가가 복원되고 기념관이 조성된다.이와 함께 보물 496호 계성사지 석등이 있는 계성사지가 복원되고 200여명 수용 규모의 수련관이 건립된다. 강원도 화천군과 월정사는 23일 ‘한암 대종사 생가복원 및 기념관 조성사업’계획을 발표,“화천군 출신인 한암 스님의 업적을 기리고 군민들에게 자긍심을 고취시키기 위해 강원도 화천군 하남면 계성리 586답 외 4 지역에 생가복원 및 기념관 조성,수련관 건립,계성사지 복원 사업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스님의 생가 복원은 2008년까지 총 94억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생가와 기념관 복원,수련관 건립,계성사지 복원 등으로 진행된다.생가,기념관,문간채로 구성되는 생가 및 기념관은 총 3만 7198㎡(1만 1252평) 규모로 조성된다.이가운데 생가는 73.6㎡(22.2평),정면 5칸,측면 4칸으로 전통한식 목조로 복원된다. 한암 스님의 생애 및 자료가 전시되는 기념관은 194.4㎡(58.8평),정면 5칸,측면 3칸으로 건립된다.이곳에서는 화천군 불교 유적지와 함께 한암 스님의 생애및 관련 유물,화천군 관광자원 등을 볼 수 있다. 계성사지는 325.58㎡(98.48평) 규모로 복원되어 꾸며지는데 여기에는 극락전(153㎡),요사채(148.2㎡),산신각(17.1㎡),종각(7.2㎡),석탑,석등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한암 스님은 1897년 금강산 장안사에서 행름 스님을 은사로 출가한 뒤 조계종 초대 종정과 3대 종정 등을 지냈으며 이후 27년간 평창 상원사에 주석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한국순교자 대접 못받나

    천주교 교회 본당의 수호성인과 신도 세례명을 한국 순교성인의 이름을 따르자는 운동이 본격화하고 있다. 서울대교구 한국순교자현양회(회장 이정윤)는 18일 청소년 순교자 현양 문화축제를 개최한 뒤 한국순교성인 세례명 갖기 및 본당 수호성인 모시기 홍보 활동을 추진키로 했다. 한국교회사연구소 교회사연구동인회도 서울대교구 차원의 한국 순교성인 세례명 갖기 운동에 적극 동참할 계획임을 밝혀 천주교계에서 한국 순교성인 수호성인 모시기와 세례명 갖기 움직임이 활기를 띨 전망이다. 최근 천주교계의 이같은 움직임은 한국 순교자 124위에 대한 시복시성(諡福諡聖) 재판이 진행 중이어서 이들 순교자들에 대한 현양사업이 시급한 데다 갈수록 한국 순교성인을 수호성인으로 모시는 성당이 줄어 천주교 전체 차원에서 개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1990년부터 2002년까지 전국에서 신설된 본당 537개소 가운데 한국 순교성인을 수호성인으로 정한 본당은 98개로 고작 18.2%.1980년부터 1989년까지 10년간 신설된 200개 본당 중 34%인 67개 본당이 한국 순교성인을 주보로 모셨던 것에 비하면 절반 가까이 줄어든 수준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 교회사연구동인회측은 이와 관련,“한국 순교자들에 대한 시복재판도 중요하지만 이들에 대한 현양과 순교정신 계승사업이 동시에 이뤄져야 하며 그 첫째가 한국 순교성인을 수호성인으로 모시는 일일 것”이라며 “각 교구에서 한국 순교성인과 시복 대상자들을 주보와 각종 유인물 등을 통해 신자들에게 알리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 천주교 주소록’(2003∼2004)에 따르면 2002년 말 현재 전국 1313개 본당 중 한국순교성인을 수호성인으로 모시고 있는 본당은 모두 230개소로 전체 본당의 17%에 불과하다.한국순교성인 중 본당에서 가장 많이 수호성인으로 정한 성인은 ‘성 김대건 안드레아 신부’로,서울 한강본당을 비롯해 전국 83개 본당에서 수호성인으로 모시고 있으며 그 다음은 ‘성 정하상 바오로’(34개 본당),‘성 유대철 베드로’(11개 본당),‘성 현석문 가롤로’(4개 본당)ㆍ‘성 남종삼 요한’(4개 본당) 순이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교단 부정 감시 선언

    개신교계의 진보적인 단체들이 교단 총회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감시활동에 나설 것을 공식 선언하고 나서 주목된다. 교회개혁실천연대,기독교윤리실천운동본부,목요기도회 등 8개 단체로 구성된 ‘올바른 교단 총회 정착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공대위)는 최근 가을 시즌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각 교단 총회가 올바로 열릴 수 있도록 감시활동에 나선다고 공표했다. 공대위는 이에따라 부정선거 고발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예장통합·예장합동·고신 등 주요 교단 총회 장소를 방문,일일 모니터링을 실시해 언론 등 일반에 알리는 활동을 병행할 예정이다. 공대위는 특히 현재 교단 내 비리와 무리한 사업 진행으로 의혹을 낳고 있는 예장합동 총회와 관련,▲성경 단독번역의 중지 ▲은급재단 기금 불법대출 등 각종 비리 의혹의 규명 ▲각종 교단 비리에 연루돼 교회의 이미지를 실추시킨 총회장의 사과를 촉구했다. ‘올바른 교단 총회 정착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에는 감리교회의 갱신을 위한 목요기도회,교회개혁실천연대,기독교윤리실천운동,새벽이슬,새시대목회자모임,생명평화연대,정의평화를 위한 기독인 연대,성경적 토지정의를 위한 모임이 참여하고 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보러갑시다]

    ■콘서트 ■ 엘튼 존 콘서트 17일 오후 8시 잠실종합운동장 1544-1555. ■ 김범수·박상민 대구 콘서트 17·18일 오후7시40분 대구파크호텔 야외특설무대(053)939-0300. ■ 김장훈 콘서트 18일 오후 7시30분 연세대 노천극장 1544-1555. ■ 박효신 대구 콘서트 18·19일 오후 7시 대구 경북대 대강당(053)626-1980. ■ 이승철 콘서트 18일 오후 8시 전쟁기념관 평화의광장(02)550-2596. ■ 조용필 인천 콘서트 18일 오후 7시30분 인천문학경기장 보조경기장(02)522-9933. ■ 박완규 부산 콘서트 19일 오후 3시·7시 부산KBS홀 1588-9088. ■ 신승훈 인천 콘서트 19일 오후 3시·7시 인천종합예술문화회관 대극장 1544-5954. ■어린이 ■ 브룸브룸 매직브룸 16일∼10월10일 서울교육문화회관(02)762-2741.마법학교를 배경으로 한 어린이영어뮤지컬. ■국 악 ■ 知友-Autumn’s Concerto 21일 오후 7시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02)399-1185. ■ 情가악회 4번째 공연 ‘情歌’ 21∼23일 오후 8시 유씨어터(02)762-0810. ■ 2004 세계 사물놀이 겨루기 한마당 17∼19일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국민관광지(02)762-7300. ■ 소리극 ‘아!도라산아’ 16·17일 오후 7시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02)580-3300. ■ 중요무형문화재 제30호 가곡발표회 ‘북천이 맑다거늘‘ 18일 오후7시30분 진주교대 대강당(02)363-1778. ■클래식 ■ 호세리와 플라멩고 기타 앙상블 연주회 19일 오후 7시30분 세종문화회관 소극장(02)544-0778. ■ 클라리넷 거장 데이비드 시프린 초청 ‘낭만과 추억’ 17일 오후7시30분 대전문화예술의전당 아트홀(042)610-2266. ■ 영국 작곡가들의 영미가곡 19일 오후 3시 영산아트홀(02)2265-9235. ■ 전국음악대학 심포닉밴드 ‘가을축제’ 18·19일 오후 3시·7시30분 한전아트센터(02)583-9574. ■미 술 ■ 오수환 작품전 30일까지 가나아트센터(02)720-1020.우주의 힘을 일필휘지의 선으로 풀어낸 ‘변화’ 시리즈. ■ 함연주 작품전 19일까지 갤러리 아트파크(02)733-8500.자디 잔 크리스털 스톤으로 연출한 ‘빛의 조각’과 나일론·머리카락 작품. ■ 아테네 화필기행전 19일까지 사비나미술관(02)736-4371.김봉준 김성호 김홍주 박병춘 박은선 안창홍 양대원 이강화 이만수 이종빈 정정엽 최민화 홍성담 등 13명의 작가가 참여한 그리스미술 특별전.서울신문사와 사비나미술관 공동 주최. ■ 색채의 마술사 샤갈전 10월15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02)724-2904.‘도시 위에서’‘비테프스크 위의 누드’등 주요 유화 작품과 드로잉,판화 등 120여점. ■ 이은숙 작품전 21일까지 갤러리 라메르(02)730-5454.‘살구꽃 피는 마을’‘가을의 빛’등 자연의 서정을 노래한 유화. ■ 이기칠 작품전 30일까지 김종영미술관(02)3217-6484.작가의 ‘작업실’을 만드는 과정을 입체적으로 보여주는 조각작품. ■ 신디 셔먼·바네사 비크로프트 작품전 11월 21일까지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041)551-5100.세계적인 여성 사진작가의 사진전. ■뮤지컬 ■ 크레이지포유 10월3일까지 세종문화회관대극장(02)552-4030.커비 워드 연출,남경주 배해선 출연.화려한 탭댄스가 빛나는 브로드웨이 코미디 뮤지컬. ■ 마리아마리아 10월3일까지 세우아트센터(02)6409-0901.성천모 연출.뮤지컬 배우 김선영의 모노 뮤지컬. ■ 찰리 브라운 11월21일까지 한양레퍼토리시어터(02)3141-8425.클라크 게스너 작·박선희 연출,곽상원 김경식 출연.인기 만화캐릭터를 주인공으로 한 70년대 브로드웨이 뮤지컬. ■ 안악지애사 10월2일까지 코엑스 오디토리움(02)558-7854.윤정환 작·연출,엄기준 김선미 출연.고구려 고분을 소재로 한 창작뮤지컬. ■연 극 ■ 웃어라 무덤아 26일까지 스타시티 아트홀(02)764-7064.고연옥 작·김광보 연출,문경희 강승민 출연.물질적 욕망에 휩싸인 나약한 인간의 모습을 표현. ■ 백마강 달밤에 10월10일까지 동숭아트센터 동숭홀(02)745-3966.오태석 작·연출,성지루 황정민 출연.충청도 대동굿을 무대로 우리 전통 연희를 현대적으로 재창조. ■ 손숙의 어머니 10월2일까지 코엑스아트홀(02)747-6295.이윤택 작·연출,손숙 전성환 출연.굴곡많은 삶을 살아낸 우리네 어머니들의 초상.
  • 中, 동해오징어도 씨 말린다

    서해어장을 초토화한 중국어선들이 올해부터 동해로 진출해 ‘싹쓸이 조업’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뒤늦게 밝혀졌다. 올해 동해안 오징어잡이가 극심한 불황을 겪고 있는 것도 중국어선이 오징어가 회유하는 길목을 지키면서 3중 저인망으로 치어까지 남획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어민들은 보고 있다. 13일 전국오징어채낚기연합회에 따르면 북한과 중국은 올해 초 ‘북·중 동해공동어로협약’을 체결했다.중국어선이 오는 2009년까지 5년 동안 북한해역에서 조업하고,그 대가로 이윤의 25%를 북한에 넘긴다는 내용이다. 이후 중국어선들은 공해상을 통과하여 북한해역에서 조업하고 있다.해경도 울릉도와 독도 등 동해 먼바다에서 오성기를 단 100t급 중국어선들이 선단을 이루어 북한해역을 오가는 모습을 어렵지 않게 확인하고 있다.무엇보다 중국어선은 상층·중층·하층의 3단계 그물을 사용하는 쌍끌이 기선저인망으로 바닥까지 훑어 오징어뿐만 아니라,그나마 수량이 크게 줄어든 명태·도루묵 등 수산자원의 완전 고갈이 우려된다. 김성호(60) 전국채낚기어업인 울릉총연합회장은 “회유성 어족인 오징어는 연해주에서 북한 연안을 타고 남하한다.”면서 “중국 어선들이 북한해역에서 싹쓸이 조업을 한다면 앞으로 남쪽에서는 오징어를 구경하기조차 힘들어 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구룡포에서 22년째 오징어채낚기 조업을 하는 이상보(53)씨는 “중국의 쌍끌이 저인망 어선들은 치어까지 남획해 오징어 씨를 말리고 있다.”면서 “여기에 중국어선들이 잡은 오징어가 국내에 쏟아져 들어오면 가격까지 폭락할 테니 오징어잡이는 포기할 수밖에 없다.”고 울상지었다. 중국어선이 오징어잡이에 본격적으로 나서면서 현재 울릉군에서는 전체 오징어 어선 350여척 가운데 20∼30여척만이 출어하고 있다.울릉수협의 오징어위판량도 크게 줄었다.9월 들어 12일까지 위판량은 10t에 불과하다.지난해 252t에 비하면 거래가 없는 것이나 마찬가지다.8월도 36t으로 지난해 232t보다 크게 줄었다. 염창선 오징어채낚기연합회장은 “한·일 어업협정에다 북·중 공동어로협약으로 우리 어선들이 더 이상 조업할 곳이 없다.”면서 정부의 철저한 상황 파악 및 대책마련을 호소했다. 동해 조한종·포항 김상화기자 bell21@seoul.co.kr
  • 지방연구소 3곳 신설 추진 유홍준 신임 문화재청장

    지방연구소 3곳 신설 추진 유홍준 신임 문화재청장

    “건물신축 등 난개발로 인한 무모한 발굴을 줄여 매장문화재의 훼손을 최대한 막을 작정입니다.건축 일정에 맞추기 위한 위법적인 시굴에 대한 처벌도 법정 최고형까지 끌어올리기 위해 관계당국과 협의 중입니다.” 취임 후 처음으로 10일 기자들과 만난 유홍준(55) 신임 문화재청장은 “굳이 발굴을 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도 의무규정에 따라 형식적이고 무리하게 발굴하는 경우가 많다.”며 “가능한 한 발굴절차를 간소화하고 규제를 풀겠지만 위법사안에 대해선 엄하게 대처하겠다.”고 거듭 강조했다. 유 청장은 특히 “매장문화재가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는 것은 시공업체와 사업주의 무리한 공사 탓이기도 하지만 발굴 조사를 진행하는 전문가 부족에도 원인이 있다며 문화재청의 지방청 신설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지방청이 없는 정부기관은 문화재청이 유일합니다.유·무형 문화재의 온전한 관리를 위해 경주·창원·부여의 지방문화재 연구소를 사실상 지방청 수준으로 격상시키고 호남·경기·강원 지역에 지방문화재 연구소를 신설하는 문제를 추진 중입니다.” 이와 함께 전국 지방자치단체를 통틀어 문화재 담당관이나 학예연구사를 두고 있는 곳이 전무할 정도로 열악한 데다 지자체 공무원들도 문화재 업무를 기피하는 경우가 많아 문화재 관련 인적 자원과 예산 확보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국가가 관리하는 문화재의 원형복원이 제대로 안 되고 있고 개인소장 문화재는 녹슬고 훼손돼도 수리 복원할 방법이 없습니다.이런 점에서 국립문화재 종합병원 같은 것을 건립하는 게 시급합니다.” 그는 문화재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전환과 접근방식에도 큰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전국에 산재한 문화재 안내 해설판 내용을 깊이 있으면서 쉽게 바꿔 문화재 홍보에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석탑 등 문화재 주변에 설치된 보호책도 과감하게 없애 답사객들이 쉽게 접근하고 사진촬영도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특히 문화재 보호각에 채워져 있는 현대식 자물쇠를 전통 무쇠 자물통으로 바꿔 누구나 열고 들어갈 수 있도록 할 생각이다. “굳이 출입을 통제하지 않아도 될 만한 문화재는 제한적으로 개방해 나가겠습니다.현재 덕수궁의 경우 목·금요일 밤 9시까지 개방하고 경주 안압지를 매일 밤 개방하고 있는 정도이지만 출입금지 구역에 대한 통제를 점진적으로 풀어나갈 계획입니다.경복궁 연회장도 연 8회 정도 국제행사 때 개방하는 것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최근 논란을 불러일으키고 있는 중국의 동북공정에 대한 남북 공동대응이 절실하다는 유 청장은 이와관련해 남북 문화재청장 회담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다짐했다.“지금까지 우리의 국립중앙박물관격인 북한의 중앙역사박물관 소장 유물이 단 한번도 남한에 선보인 적이 없습니다.우리의 신라 유물과 북한의 고구려 유물을 중심으로 한 교환 전시가 이루어져야 합니다.그러려면 제가 북한 문화유산보존총국장과 만나야 하겠지요.”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가톨릭신도들 ‘신앙 따로 생활 따로?’

    가톨릭신도들 ‘신앙 따로 생활 따로?’

    ‘신앙 따로,생활 따로?’ 천주교 신자들이 교회에서 주창하고 가르치는 교리와는 크게 어긋난 인식을 갖고,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나 천주교계가 잔뜩 긴장하고 있다.특히 이같은 경향은 젊은 층에서 두드러져 주교회의를 비롯한 교계가 가정사목에 적극 나설 움직임이어서 주목된다. 천주교 수원교구가 교구내 신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가나 혼인강좌’ 수강생 559쌍 1118명을 대상으로 조사해 최근 발표한 신앙조사 결과는 충격적일 만큼 천주교 교회의 신앙교리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더구나 응답자들이 한국의 평균 초혼연령인 28.7세에 해당하는 남녀 신자들로,대부분 신자 가정 출신의 신앙생활에 충실한 중간층에 속한다는 점에서 교계에 충격을 안겨주고 있다. 조사는 무엇보다 혼인을 앞둔 신자들의 생명에 대한 의식이 희박함을 보여줘 교계에선 이를 놓고 교회의 가르침이 이들의 의식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있으며 실제 생활에서 신앙에 따른 실천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우선 낙태 문제와 관련해 ‘산모생명이 위독할 때’(93.1%),‘장애아로 태어날 가능성이 있을 때’(67.6%),‘강간 임신의 경우’(81.1%)에 낙태를 용인하는 입장을 밝혀 전체적으로 89.5%가 낙태에 찬성했다. 안락사와 사형제도 폐지에 대해서도 많은 신자가 교회의 입장에 반대 의견을 보였다.응답자의 59.3%는 교회의 가르침을 따라야겠다고 생각하지만,나머지 40%는 어떠한 이유로든 교회의 가르침이 현실성이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혼전 성관계에 대해서도 기존의 가치관과는 크게 달라 ‘당사자끼리 진심으로 사랑한다면 아무 문제가 없다’가 51.6%로 가장 많았고,이어 ‘결혼을 약속한 사이에는 문제가 될 것이 없다.’가 30.5%로 전체 응답자의 90%가 혼전 성관계를 인정했다.실제로 혼전 성경험의 비율이 81.1%에 달했고 ‘어떤 경우라도 성관계는 피해야 한다.’는 응답은 11.9%에 그쳤다.그러나 간통죄 처벌에 대해서는 87%가 찬성의 견해를 보여 혼전 성관계를 수용하는 것과는 달리 간통이나 외도에 대해서는 여전히 보수성을 띠고 있음이 확인됐다. 한편 최근 사회적인 이슈로 떠오르고 있는 출산 및 자녀관에 대해서는 비교적 교회의 가르침을 수용하는 입장이 많았다. 출산과 관련해 ‘반드시 낳아야 한다.’ 64.1%,‘가능하면 낳는 것이 좋다.’ 32.7%로,모두 96.8%의 예비부부가 출산을 희망했다.그러나 자녀 수와 같은 현실적인 문제에 대해서는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숫자(2명)와 현실적인 출산율(1.4명)이 격차를 드러냈으며 남아선호사상은 거의 갖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자녀가 없거나 낳지 못할 경우 입양에 대한 태도는 55.5%가 찬성 입장을 밝혔다. 이와 관련해 천주교 주교회의를 비롯해 각 교구와 전문 기관단체는 가정사목 관련 활동의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형성해 나갈 전망이다.전국 각 교구 가정사목 관계자들은 지난달 26일 주교회의 가정사목위원회 정기총회에서 가정 복음화를 위한 자료 공유와 연대 필요성을 강조하고 전국 가정사목 네트워크 형성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주교회의 가정사목위원회는 이를 위해 새달 7·8일 전국 워크숍을 열고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보러갑시다]

    ◇ 콘서트 ■ 김건모 콘서트 10·11일 오후 7시30분,12일 오후5시 올림픽공원 역도경기장(02)522-9933. ■ 박효신 콘서트 10·11일 오후8시 워커힐호텔 제이가든(02)450-6433. ■ 꽃다지·안치환 콘서트 11일 오후5시 이화여대 강당(02)3141-6008. ■ 휘성·빅마마·세븐·거미 부산 콘서트 11일 오후7시 부산KBS홀 1588-9088. ■ 이승철 전주 콘서트 11일 오후7시30분 한국소리문화의 전당 야외극장(063)255-1234. ■ 마이 앤드 메리 콘서트 10일 오후8시,11일 오후7시 대학로 질러홀(02)795-2942. ■ 인순이 콘서트 11일 오후 3시·7시 과천 시민회관 대극장(031)244-5064. ◇ 어린이 ■ 놋쇠병정 12일까지 브로드홀(02)382-5477.안데르센 동화를 재해석한 아르헨티나 오마르 알바레스 극단의 작품. ■ 알 12일까지 가나아트센터(02)533-7317.엄마아빠와 함께 즐기는 놀이연극. ◇ 국 악 ■ 소리극 ‘아!도라산아’ 16·17일 오후7시30분 국립국악원 예악당(02)580-3300. ■ 2004 세계 사물놀이 겨루기 한마당 17∼19일 경기도 양평군 용문산 국민관광지(02)762-7300. ◇ 클래식 ■ 오페라 ‘카르멘’ 9일 오후7시30분 세종문화회관 대극장(02)586-5282. ■ 김소옥 바이올린 리사이틀 14일 오후8시 금호아트홀(02)541-6234. ■ 김기순 플루트 독주회 9일 오후7시30분 세종문화회관 소극장(02)778-6295. ■ 백혈병과 혈액암환자돕기 음악회 ‘사랑으로 나눔으로’ 10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02)778-6295. ■ 김용희 피아노 독주회 11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02)2265-9235. ■ 앙상블 유림 창단 10주년 기념 음악회 11일 오후8시 예술의전당 콘서트홀(02)514-9600. ■ 전진영 비올라 독주회 10일 오후5시 예술의전당 리사이틀홀 (02)780-5054. ◇ 미 술 ■ 오수환 작품전 30일까지 가나아트센터(02)720-1020.기운생동하는 우주의 힘을 일필휘지의 선으로 풀어낸 ‘변화’ 시리즈. ■ 그 너머를 보다 10월 16일까지 스페이스C(02)547-9177.홍순명·박현주·김해민·한계륜 등 4인 그룹전.자연과 인간,빛,우주의 순환을 표현한 유화·아크릴·영상·평면 설치작품. ■ 아테네 화필기행전 19일까지 사비나미술관(02)736-4371.김봉준 김성호 김홍주 박병춘 박은선 안창홍 양대원 이강화 이만수 이종빈 정정엽 최민화 홍성담 등 13명의 작가가 참여한 그리스미술 특별전.서울신문사와 사비나미술관 공동 주최. ■ 체험! 캐릭터박물관전 10월 3일까지 63씨티(63빌딩) 이벤트홀(02)464-3268.1700년대 독일의 ‘노아의 방주’등 캐릭터 장난감 1만 5000여점. ■ 색채의 마술사 샤갈전 10월15일까지 서울시립미술관(02)724-2904.‘도시 위에서’‘비테프스크 위의 누드’ 등 주요 유화 작품과 드로잉,판화 등 120여점. ■ 신디 셔먼·바네사 비크로프트 작품전 11월 21일까지 천안 아라리오 갤러리(041)551-5100.세계적인 여성 사진작가의 사진전. ◇ 뮤지컬 ■ 안악지애사 10일∼10월2일 코엑스 오디토리움(02)558-7854.윤정환 작·연출,엄기준 김선미 출연.고구려 고분을 소재로 한 창작뮤지컬. ■ 마리아마리아 10월3일까지 세우아트센터(02)6409-0901.성천모 연출.뮤지컬 배우 김선영의 모노 뮤지컬. ■ 찰리 브라운 10일∼11월21일 한양레퍼토리시어터(02)3141-8425.클라크 게스너 작·박선희 연출,김경식 출연.70년대 브로드웨이 뮤지컬. ■ 소나기 10월24일까지 건국대 새천년관 공연장(02)3445-7972.황순원 원작·유희성 연출,홍경인 최보영 출연.유년시절 첫사랑에 대한 아련한 추억. ◇ 연 극 ■ 바냐아저씨 12일까지 국립극장 별오름극장(02)764-9181.안톤 체호프 작·차태호 연출,이순재 김태훈 출연.체호프 서거 100주년 기념극. ■ 웃어라 무덤아 26일까지 스타시티 아트홀(02)764-7064.고연옥 작·김광보 연출,문경희 강승민 출연.물질적 욕망에 휩싸인 인간의 모습을 표현. ■ 백마강 달밤에 10월10일까지 동숭아트센터 동숭홀(02)745-3966.오태석 작·연출,성지루 황정민 출연.충청도 대동굿을 무대로 우리 전통 연희를 현대적으로 재창조. ■ 손숙의 어머니 10일∼10월2일 코엑스아트홀(02)747-6295.이윤택 작·연출,손숙 전성환 출연.우리네 어머니들의 초상. ■ 바다와 양산 9∼26일 아룽구지극장(02)744-0300.마스다 마사타카 작·송선호 연출,예수정 남명렬 박지일 출연.불치병을 앓는 아내와 소설가 남편의 일상을 묘사한 리얼리즘 연극.
  • 고구려연구회장직 사퇴한 서길수 교수

    지난 10년간 고구려연구회를 이끌어온 서길수(60) 서경대 교수가 최근 회장직에서 사퇴했다. 고구려연구회는 지난달 28일 임시총회에서 서 회장이 표명한 회장직 사퇴 의사를 수용하고,조만간 후임 회장을 선임키로 했다.후임에는 단국대 서영수 교수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서 전회장은 지난 94년 고구려연구회의 모태인 고구려연구소를 창립해 이 단체를 국내에서 가장 대표적인 고구려 전문 학술단체로 키워내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서 전회장은 “고구려연구회를 조직한 것은 열악한 환경에 놓인 고구려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한 징검다리가 되기 위함이었다.”면서 “이제 국가에서 (고구려 연구를 위한)막대한 예산을 내놓은 데다 관련 연구자도 많이 배출돼 환갑을 맞아 홀가분한 기분으로 떠난다.”고 말했다. 한편 서씨는 동북공정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고구려연구재단’에 대해 “한·중 역사전쟁을 원만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모든 학자가 참여하는 순수 민간 학술단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이 재단의 성격을 간접적으로 비판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금강산 신계사 복원 11월 대웅전 낙성식

    금강산 신계사 복원 11월 대웅전 낙성식

    조계종이 올해부터 4개년 계획을 세워 추진중인 금강산 신계사 복원사업중 1단계인 대웅전 복원이 11월 중순쯤 마무리될 전망이다. 2일 조계종에 따르면 16일부터 24일까지 대웅전 1차 조립공사에 들어가 10월1일부터 2차 조립공사를 진행하며 10월12일쯤 복원공사를 총괄 진행할 현지 상주 스님을 파견할 계획이다. 대웅전 낙성식은 11월18일부터 20일 사이 법장 총무원장을 비롯한 스님과 신도 10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된다.한편 오는 22일부터 24일까지 비구니회 대표단이 현장을 방문해 공사의 원만한 진행을 비는 기원법회를 열 예정이다. 대웅전 복원 공사는 초석다짐부터 시작해 기둥조립 대웅전 지붕 밑 나무로 겹겹이 층을 이루고 있는 부분인 포,지붕,처마,기와,단청의 순서로 진행된다.단청은 소나무의 송진이 빠지는 1년 후에 진행할 예정이다. 현재 대목과 석수,와공,미장,소목 등 17명이 공사에 매달려 있으며 모든 공사는 문화재수리기능공 제1521호인 대목수 최현규씨가 총괄하고 있다.최씨는 여주 신륵사 심검당 중창 공사와 아산 고성사 대웅전 신축을 담당한 베테랑으로,현재 분당 열반사 무량수전 공사를 맡고 있으며 지명입찰을 통해 신계사 대목수로 선정됐다. 대웅전 공사에 이어 올해 말까지는 삼층석탑이 복원되며 내년에는 만세루가 복원돼 온전한 모습을 드러낸다. 한편 조계종은 지난 3일부터 25일까지 신계사에 대한 2차 발굴조사를 벌여 대웅전 남쪽에서 일제강점 이전에 축조된 것으로 보이는 방형(方形)의 부석(敷石)시설을 확인했다.이와 함께 조선 말기에 건립된 만세루는 일제강점기의 만세루에서 북쪽으로 1.2m,동쪽으로 3m가량 떨어진 곳에 세워졌으며 일제강점기에 만들어진 만세루는 정면 5칸,측면 3칸의 15칸 건물인 것으로 최종 확인했다. 신계사는 신라 법흥왕 5년(519) 보운 스님에 의해 창건된 이후 여러 차례 중수·중건됐으며 광복 이후 화재로 소실되어,현재는 석탑과 1929년에 세워진 만세루의 돌기둥(石柱) 몇 개만 남아 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지하상가]회현상가 우표가게

    [지하상가]회현상가 우표가게

    ‘우표나 화폐는 오래된 것일수록 가치가 높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긍하는 상식이지만 한국 최고(最古) 우표상임을 자랑하는 ‘한미우표사’ 황용환(70)씨는 고개를 가로 젓는다. “우표나 화폐는 철저히 희소성에 따라 가치가 매겨집니다.예를 들어 1884년에 나온 미사용 우표가 불과 2만∼3만원인 반면,1955년에 나온 우표 중 어떤 것은 160만원을 호가합니다.” 황씨는 “잘못된 상식을 가지고 오래된 우표를 팔러 왔다가 실망하고 돌아가는 사람이 종종 있다.”고 말했다. 회현지하상가는 황씨와 같은 ‘우표박사’들의 터전이다.약 25년전 중앙우체국 아래 회현지하상가가 생기자 ‘우표를 구하는 사람들의 왕래가 잦고 비교적 안전하다.’는 입소문을 타고 서울시내 우표상들이 이곳으로 모였다.현재 14군데의 우표가게에서 오래된 우표,화폐 및 각종 골동품이 거래되고 있다. 인터넷으로 골동품을 사고파는 사람이 많아진데다 우표수집 인기가 떨어진 요즘,회현지하상가의 우표가게는 매우 한산한 모습이다.젊은 시절 체신부에서 근무하며 우표와 인연을 맺어 20여년전부터 우표상으로 나섰다는 ‘화신우표사’의 유세홍(70)씨는 “몇 년 전만해도 우표를 수집하는 학생들 덕에 할 만했다.”며 “지금은 임대료내기도 벅찬 실정”이라고 토로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표상들이 이곳을 떠나지 않는 이유는 ‘직접 보며 사고 파는 재미’에 이곳을 찾는 우표 마니아들 때문.대학생 김성호(25)씨는 “회현상가에 오면 지문이나 구김없는 품질좋은 ‘진품’을 고를 수 있다.”며 “할아버지들이 들려주는 각각의 우표에 관한 재미있는 이야기들도 인터넷으로는 얻기 힘든 경험”이라고 말했다. 실제 우표와 화폐는 얼마에 거래되고 있을까.매년 발행되는 우표와 화폐도감에 평가되어 있는 공식 책정 가격의 30∼40%면 우표와 화폐의 구입이 가능하고,팔 때는 20∼25% 수준의 값을 받을 수 있다. 글 서재희기자 s123@seoul.co.kr
  • ‘문화재 기증’ 자리 잡는다

    ‘문화재 기증’ 자리 잡는다

    서울 광화문 일대 박물관 거리에 웃음꽃이 활짝 피었다.개인 소장자들이 평생 모은 소중한 자료와 유물들을 아무 대가 없이 일괄 기증해온 때문이다. 한국외대(불어과) 서정철 명예교수와 이화여대(불문과) 김인환 명예교수 부부가 함께 모아온 15∼19세기 서양 고지도와 관련 서적 150여점을 서울역사박물관에 몽땅 기증하더니 이번에는 고미술상을 운영하고 있는 백정양씨가 국립중앙박물관에 고려 동경(銅鏡)을 비롯한 792점의 수집품을 기증했다. 이가운데 서 교수 부부가 기증한 것은 70년대부터 30여년 동안 함께 모아온 것들.서울역사박물관측은 이들의 뜻을 기려 지난 1일부터 12월26일까지의 일정으로 부부가 기증한 자료 150여점중 15∼19세기 한국에 대한 서양 고지도와,관련 서적 80여점을 엄선해 ‘유로피언의 상상,꼬레아’전을 열고 있다. 전시중인 자료 가운데는 이탈리아 출신 중국 선교사 마르티니가 제작한 ‘중국지도첩’(1655년)과 프랑스 지도제작자 당빌의 ‘조선왕국전도’(1737년),프랑스인 N 드 페르가 제작한 ‘아시아지도’(1705년)가 들어있어 관람객들의 비상한 관심을 모으고 있다.‘중국지도첩’은 6세기경부터 아랍상인들에 의해 ‘실라’로 알려진 한반도가 섬이 아니라 반도국임을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또 ‘조선왕국전도’는 한·중 국경선을 압록강 이북으로 그려 간도지역이 조선의 영토였음을 보여준다.‘아시아지도’는 옛날부터 일본해가 아니라 동해라고 보편적으로 불려왔음을 뒷받침하며 1785년 일본인 실학자 하야시 시헤이(林子平)가 그린 ‘삼국접양도’는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 소유’라고 명확히 기록하고 있다. 한편 사단법인 한국고미술협회 이사,강원경찰청 박물관 감정위원,서울지방경찰청 고증자문위원으로 활동중인 백정양씨의 유물 기증도 박물관계를 흐뭇하게 만들고 있다.서울 답십리에서 고미술상을 운영하고 있는 백씨가 지난 30년간 수집해 기증한 유물은 동경 414점,동곳 374점,명두 3점,동촉 1점 등 액수로 환산할 수 없을 정도다.특히 고려 동경은 고려시대 금속공예의 정화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국립중앙박물관측은 “박물관의 1년 예산이 뉴욕 크리스티 경매에서 변변한 물품 한 건 구입할 수준도 못 되는 실정에서 횡재가 아닐 수 없다.”며 즐거운 표정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수증된 동경들은 대부분 고려시대의 동경이며,조선시대 동경 10점,일본 동경 1점(‘天下一作’柄鏡)도 포함되어 있다.고려 동경으로는 서화쌍조문경(瑞花雙鳥文鏡),황비창천경(煌丕昌天鏡),용수전각문경(龍樹殿閣文鏡),호주경(湖州鏡),소문경(素文鏡) 등 당대를 대표하는 동경들이 망라되어 있다.형태면에서도 원형경(圓形鏡),방형경(方形鏡),화형경(花形鏡),능형경(稜形鏡),규화형경(葵花形鏡),손잡이가 달린 거울(柄鏡) 등 다양하다.상투를 튼 정수리에 상투가 풀어지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데 꽂는 장신구인 동곳 374점도 크기와 형태에서 독특한 것들이다. 따라서 이 유물들은 용산 새 국립중앙박물관의 금속공예실 개관전시와 관련 분야 연구에도 중요한 전기를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아무런 조건없이 문화재를 기증한 백씨의 순수한 뜻을 기리고 일반에 널리 알리기 위하여,내년 개관 예정인 새 국립중앙박물관에 기증품 일부를 전시할 예정이며 백씨에 대해 정부서훈을 추천할 계획이다. 백씨는 유물들을 기증하면서 “그동안 모아온 수집품이 새 국립중앙박물관 개관 전시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앞으로 문화재 기증문화 확산에 적극 나서겠다.”고 말했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 가톨릭 ‘순교자 성월’ 행사 풍성

    9월은 천주교가 교회를 위해 목숨을 바친 인물들을 위해 정한 ‘순교자 성월’. 이 순교자 성월 기간에 전국 각 교구와 순교성지에서 순교성인들의 얼을 기리는 다채로운 행사가 풍성하게 마련된다. 우선 서울대교구는 순교자현양위원회 주관으로 18∼19일 이틀간 서울 절두산 순교성지에서 제1회 청소년을 위한 순교자 현양 문화축제를 개최한다.청소년 문화마당으로 마련되는 행사는 평화방송 라디오 ‘신부님 신부님 우리 신부님’ 특집 공개방송 ‘발맞춤 눈맞춤 사랑맞춤 콘서트’(18일)와 아름다운 가정 만들기 걷기 대회(19일)로 진행된다. 인천교구는 교구 차원에서는 처음으로 7일 강화도 갑곶돈대 성지에서 최기산 교구장 주례로 순교자 현양대회를 갖는다.성지개발에 대한 관심을 촉구하기 위해 열리는 대회로 용진진에서 갑곶돈대까지 걷는 도보 성지순례와 미사로 마련된다. 수원교구도 10일 수리산성지에서 안양지구 순교자현양대회를 갖는 데 이어 14일 수원교회사연구소 1주년 기념으로 남한산성성지에서 ‘순교성지의 재발견’ 심포지엄을 열고 16일에는 같은 장소에서 광주지구 순교자현양대회를 갖는다. 대구교구는 9월 한달 동안 한티·관덕정·복자성당·진목정·신나무골 등 교구내 5개 순교성지를 순례하는 행사를 가지며 부산교구는 13일 경남 삼랑진 김범우 묘소에서 교구 순교자현양위원회 사제단 주최로 순교자 성월 기념미사를 봉헌한다. 이밖에 대전교구는 22일 솔뫼성지에서 김대건 신부 생가 복원 낙성식과 김 신부 기념관 기공식을 가진 다음 야외 솔밭에서 김 신부 일대기를 그린 뮤지컬 ‘솔뫼’를 관람한다. 충남 공주 황새바위성지는 10일 순교영성에 관한 김길수(전 대구가톨릭대) 교수 특강에 이어 18일 성지후원회원들이 꾸미는 순교극 공연을 마련한다.매주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순교자 영성강의를 마련하고 있는 구산성지(경기도 하남)도 18일 순교자 현양미사를 봉헌한다. 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