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근현대 선승 수행이력 한눈에
한 해 여름·겨울 두 차례 스님들이 선원에 한데 모여 집단수행하는 안거(安居)는 흔히 선(禪)불교로 대변되는 한국불교의 요체랄 수 있다. 그런데 안거 때마다 선방에서는 참여하는 수행자들의 이름과 소임, 소속 사찰을 빠짐없이 적어넣는 방함록이 작성된다.안거를 시작하면서 근기를 다지고 공동생활(안거)에서 각자 맡은 임무를 착오없이 수행할 것을 다짐하는 방부이다. 조계종 교육원이 최근 펴낸 ‘근대 선원 방함록(近代 禪院 芳啣錄)’은 한국불교 근ㆍ현대 선원 수좌 1만명의 이같은 안거 기록을 모은 귀한 자료로 ‘선원총람’(2000년刊) 출간 과정에서 각 선원으로부터 입수한 안거 자료들을 분석, 정리한 것이다. ‘근대 선원 방함록’에는 조계종 교육원이 1899년 동안거부터, 조계종 수좌들의 모임인 선림회(禪林會)가 전국 선원의 방함록을 관리하기 이전인 1967년 하안거까지 해인사 퇴설선원, 수덕사 능인선원, 견성암선원, 범어사 금어선원, 직지사 천불선원, 도리사 태조선원 등 총 6개 선원의 안거 자료가 실려 있다.안거 시기와 선원, 소임, 법호, 법명, 나이, 출가 본사 등이 자세히 기록돼 있어 내로라하는 한국의 고승 대덕들의 수행이력을 샅샅이 살펴볼 수 있다. 해인사 퇴설선원 기록에선 경허 스님이 해인사에서 정혜결사를 추진하던 1899년 이후 김제산, 백용성, 백초월 스님 등 당대 선지식들의 수행 이력 추적이 가능하며 1880년대부터 호서지역의 선(禪) 중심사찰이었던 수덕사 능인선원 방함록에선 1910년부터 수행에 가담한 1600여명을 기록해 한국선불교를 중흥시킨 경허·만공 스님 선풍의 근거지였음을 보여준다. 이밖에 1941년 동안거때 성철 스님은 당시 나이 31세로 스님들의 옷 손질에 쓰는 풀을 끓이는 마호(磨糊) 소임을 맡았다는 흥미로운 기록도 들어있다.김성호기자 kim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