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경 수행으로 깨달음 얻는다
1700년의 역사를 갖는 한국불교는 흔히 간화선(看話禪) 불교로 인식된다. 화두를 들고 참구해 깨달음을 얻어가는 선(禪)의 과정을 중시하며, 실제로 한국불교의 많은 부분이 이 선에 치중하고 있기 때문이다.
조계종 제25교구 본사인 봉선사와 현대불교신문사가 다음달 16일부터 11월25일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2시 경기도 남양주 봉선사에서 마련하는 ‘10대 강백 초청 강설대법회’(표 참조)는 간화선이 아닌, 경전을 통한 수행과 깨달음을 강조하는 이색적인 법회로 주목된다.‘경전을 통한 수행도 깨달음의 길’이란 전제 아래 한국불교 교학의 전통과 의미를 새기는 흔치 않은 법회이기 때문이다.
“선은 부처의 마음이요, 교는 부처의 말씀이다.”라는 명제와 ‘사교입선(舍敎入禪)’의 전통은 한국불교에서 일반화된 사실. 그러나 불교계 한쪽에선 이같은 명제와 전통이 ‘마음만 취하고 말씀은 버려야 한다.’는 이분법적 사고를 고착시킬 뿐만 아니라 ‘교학은 수행의 길이 아닌 것’으로 오도한다는 이유로 반대여론이 있어 왔다. 선이 부처의 마음이면 교는 그 마음을 표현하고 전하는 길이라는 측면에서다.
이번 봉선사 법회는 ‘경전은 바로 깨달음에 이르는 길이며 깨달음을 이끄는 안내자이며 깨달음을 전하는 통로’임을 밝히는 점에서 특히 눈길을 끈다. 불경에 대한 해박한 지식을 갖춘 10명의 강백이 돌아가면서 금강경, 육조단경, 화엄경, 아함경, 열반경, 해심밀경, 법화경, 정토삼부경, 원각경, 능엄경 등 가장 보편적이면서도 중요한 10개 경전을 각각 강의한다. 강백들의 2시간에 걸친 불경 핵심 강연에 이어 법회 참석자들이 질의응답하는 형식이다.
초청된 강백들은 국내 불교학 관련 대학 교수, 신도회장 등 40여명의 의견을 종합해 엄선한 최고 권위의 불경 전문가들. 지관 조계종 총무원장을 비롯해 전 직지사 강주 의룡, 통도사 율원 율주 혜남, 수덕사 강주 응각, 은해사 승가대학원 원장인 지안, 화엄학연구원장 각성, 부산 미륵암 주지 백운, 울산 학성선원장 우룡, 쌍계사 승가대학장 통광, 동국역경원장 월운 스님 등이 들어 있다.
김성호 전문기자 kimus@seoul.co.kr
●불교 경전은 석가모니 부처님의 가르침은 처음엔 ‘암송’으로 전해졌다. 부처님 열반 직후의 제1차 결집과 부처님 열반 후 100년 뒤의 제2차 결집에선 장로 비구들이 모여 부처님의 가르침을 한 자 한 자 기억하며 가슴에 새기는 수준이었다. 문자화되기 시작한 것은 다시 그로부터 100여년 뒤 제3차 결집 때부터다. 경전의 시초인 셈이다.2세기 전반, 부처님 입멸 700여년 뒤의 제4차 결집에서는 여러 파로 갈라진 이설(異說)을 통일하기 위해 경전 주석서를 결집하기에 이르렀다. 그뒤 계속된 결집을 통해 5세기까지 ‘반야경’‘법화경’‘정토삼부경’‘유마경’‘열반경’’화엄경’ 등의 대승경전이 모양새를 갖추었다. 경전 가운데 부처님이 깨달음을 이뤄 보리수 아래 해인삼매에 들어 연기법으로 이뤄진 우주 본체를 밝힌 것이 바로 화엄경.4성제와 12연기의 이치를 통해 우주의 실상을 설한 것은 지금의 장아함·중아함·증일아함·잡아함의 ‘4부 아함’이다. 그 다음으로 설한 내용은 ‘방등경’으로 불리는 유마경·금광명경·보적경·능가경·승만경·아미타경 등에 담겨 있다. 공(空)의 세계를 설한 내용을 ‘반야부’라 하며 대반야경·금강경·반야심경이 속한다. 부처님은 8년간 법화경을 편 뒤 입멸했는데 이때 설한 내용이 바로 대반열반경 같은 ‘열반부’ 경전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