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성호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장세훈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백민경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홍희경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 문소영
    2025-08-22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5,388
  • 사학법 재개정에 반대 후보 개신교“총선·대선 낙선운동”

    사립학교법 재개정을 요구하고 있는 개신교계가 “사학법 재개정에 반대하는 대선ㆍ총선 후보자들에 대해 조직적 낙선운동을 전개하겠다.”고 18일 밝혔다. 기독교사회책임(공동대표 서경석 목사)은 “현행 사학법은 선교의 자유와 사학의 자율을 침해하는 법률”이라며 “사학법 재개정에 반대하는 의원들에 대해 조직적 낙선운동을 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 단체는 최근 열린우리당, 열린우리당 탈당그룹인 통합신당모임, 민주당 소속 의원들에게 사학법 재개정에 대한 입장표명을 요구하는 질문지를 발송했고, 답변 여부에 따라 낙선운동 대상자를 정할 방침이다. 한국미래포럼(사무총장 김춘규)도 이날 주요 교단 소속 평신도 11만여명의 명의로 성명서를 내고 “정치권이 기독교 사학을 잠재적 범죄집단으로 몰아가고 있다.”며 “4월 임시국회 회기중 사학법이 재개정되지 않을 경우 재개정에 반대한 의원들에 대해 낙선운동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한기총,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예장통합ㆍ총회장 이광선 목사) 등 개신교계 주요단체들은 17일 여의도 모 호텔에서 한나라당, 열린우리당 지도부와 만나 “이달 말까지 사학법을 재개정해 달라.”는 의견을 전달했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아쉬운듯 모자라게 살아야 행복”

    “적게 보고 적게 듣고 단순하고 간소하게 사는 것이야말로 행복해지는 길입니다.” 법정(75) 스님은 15일 서울 성북동 길상사에서 열린 봄 정기법회를 통해 “정보과잉의 시대는 삶을 차분하게 돌아볼 여유를 빼앗아간다.”면서 “행복해지려면 아쉬운 듯 모자라게 살아가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법정 스님은 법회에서 “신속한 기계매체에 길들어 즉석에서 끝장을 보려니 자살자도 늘어난다.”면서 “기계 의존도가 높아져 참고 기다리는 미덕을 잃게 되면 자기 자신이 영혼을 지닌 인간이란 사실조차 잊게 된다.”고 경고했다. 법정 스님은 “생활도구에 종속돼 본질적 삶을 잃어 버리면 내면을 가꾸는 것보다 외양에 치중하거나 남의 삶을 모방하게 된다.”면서 “덕스럽게 살면 덕스러운 얼굴이 되고 착하게 살면 착한 얼굴이 되는 법인데 사람들은 그런 본질적인 것을 잊고 산다.”고 덧붙였다. “우리가 보고 듣고 말한 것들은 마음속에 저장됐다가 다음 행동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스님은 “모든 것이 넘치는 세상에서 자주적인 삶을 살아가기 위해 내면의 소리에 귀기울이는 시간을 자주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원성진-백홍석 바둑 신인왕은 내것

    원성진-백홍석 바둑 신인왕은 내것

    제17기 비씨카드배 신인왕 타이틀은 누구에게 돌아갈까? 서울신문과 한국기원이 공동주최하고 비씨카드가 후원하는 제17기 비씨카드배 신인왕전 결승전이 12일부터 시작된다. 비씨카드배에서만 세번째 결승 무대에 진출했으나 번번이 정상을 눈앞에 두고 분루를 삼켜야 했던 원성진(22) 7단과, 신예기전 2관왕을 노리는 백홍석(21) 5단의 대결이다. 윤준상 6단을 203수 끝에 흑불계로 물리치고 결승에 진출한 원성진 7단은 차분하게 대국을 이끄는 끈질긴 ‘계가 바둑형’. 이에 비해 초단 돌풍을 일으키며 4강에 오른 박승화 초단을 누르고 결승에 나온 백홍석 5단은 거침없이 달려들어 허점을 찌르는 ‘한방형’ 기사로 통한다. 판이하게 다른 기풍의 두 기사는 지금까지 3번의 대결을 펼쳐 백 5단이 2승1패의 우위를 보이고 있으며 결승 대국은 이번이 처음이다. 실력에 비해 운이 잘 안따랐던 비운의 원 7단과 각종 기전 본선 진출을 통해 주목받는 백 5단이 결승 대국에서 어떤 승부수를 던질지 기대를 모은다. 원성진 7단의 경우 11기를 포함해 이번이 비씨카드배 3번째 결승 진출. 지난 16기 대회에서도 결승에 올랐으나 허영호 5단에 패해 준우승에 그쳐야 했다. 백홍석 5단은 이번이 첫 신인왕전 결승 진출이지만 지난해 SK가스배 신예프로 10걸전에서 이영구 6단을 꺾고 우승해 승승장구하고 있다. 백 5단은 이번 신인왕 타이틀을 딸 경우 신인 기전으론 신예연승최강전 1개만 남겨두고 있다. 이번 대국이 신인 기전 그랜드슬램의 꿈을 이룰 중요한 판이 아닐 수 없다. 지금까지 신인 기전 그랜드슬램을 이룬 기사는 이세돌(24) 9단이 유일하다. 비씨카드배 신인왕전은 7기까지 모든 기사가 참여하는 프로기전으로 운영하다 8기부터 신예기전으로 바뀌었으며, 연령에 상관없이 프로 입단후 만 10년 이내의 모든 기사가 출전할 수 있다. 지난해 10월부터 90명의 프로기사가 참가해 열려온 이번 기전은 66국의 예선과 24국의 본선을 치러 이가운데 본선에 오른 24명이 토너먼트로 결승 진출자를 가렸다. 우승은 결승 3번기로 결정하는데 12일 한국기원 대회장에서 1국이 열리는 것을 시작으로 19일,5월1일 각각 2,3국이 진행된다. 우승자는 2500만원, 준우승자는 1000만원의 상금을 각각 받게 된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종립학교생 종교자유 보장을”

    종교의 자유는 헌법이 정한 기본권 중 하나이다. 그런 점에서 종교계가 운영하는 초·중등 종립학교의 ‘준강제적’인 종교교육은 기본권을 침해하는 파행이라고 봐야 한다.2004년 서울 대광고 강의석 학생의 ‘종교교육 사건’은 강제 종교교육의 문제를 노출시킨 대표적 사례이다. 교육인적자원부가 지난 2월28일 고시한 국가 교육과정 중 학교 종교교육 관련 지침은 학생들의 종교자유와 기본권을 침해할 여지가 많아 우려를 낳고 있다. 이 같은 상황에서 종교자유정책연구원이 대안 마련에 나서 주목된다.12일 열리는 ‘학교 종교교육 어떻게 할 것인가’ 주제의 세미나에서는 각 종교계와 시민단체 인사들이 머리를 맞대고 개선 방안을 찾는다. 지난해 3월 현재 국내 종립 중등학교 수는 모두 423개. 종립 중학교는 178개로 전체 사립중학교의 27%, 종립 고등학교는 245개로 전체 사립고등학교의 26.1%를 차지한다. 이가운데 종교과목을 편성한 종립 중학교는 24%, 종립 고등학교는 66.5%로 중학교에 비해 고등학교에서 종교교육을 더 많이 시행하고 있다. 교육인적자원부는 대광고 사건 이후 종교계 학교에서의 종교교육과 관련한 문제가 잇따르자 교육과정 개정을 추진해 왔으나 결국 학생들의 자율권을 후퇴하는 쪽으로 방향을 바꿔 우려를 낳고 있다. 교육부는 당초 학생들의 종교자유 보장을 위해 ▲종교 이외의 과목을 복수로 편성하고 ▲종교활동은 반드시 학생들의 자율 의사를 고려하며 ▲희망자에 한해 종교일반에 대한 보편적인 교육을 실시한다는 내용의 개정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종교 이외 과목 복수편성을 뺀 나머지는 모두 제외해 학교측이 학생들을 종교행사에 강제 참여시킬 수 있는 여지를 남겨 놓았다. ●‘종교 이외 과목 복수 편성´도 무늬뿐 이와 관련해 김재춘 영남대 (교육학)교수는 미리 배포된 발제문을 통해 “교육인적자원부의 초·중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 개정고시는 각 학교에서 종교 과목을 편성할 때 반드시 선택과목을 복수로 편성해 종교 과목 이외의 선택과목을 이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토록 규정하고 있으나 실제로 각급 학교에서는 지켜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종립 학교들이 ▲종교 과목을 단수로 편성하거나 ▲종교과목을 종교 이외의 과목과 복수로 편성하고도 실제로는 종교 과목만 운영하는 등 문제가 많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이러한 방식의 종교 과목 운영은 국가 교육과정 지침이 충실히 지켜지지 않는 것으로 학교 종교교육의 자유는 일정 부분 보장되지만 학생의 종교 자유는 보장되지 못한다.”며 “특히 종립학교에서 학생이 학교의 종교와 일치하는 경우는 20% 수준에 불과해 많은 문제를 낳고 있다.”고 주장했다. ●학생인권 중심 종교교육 법제 절실 이정훈 (법학)방송대 강사는 “종교계 사립학교들은 종교교육에 국가가 간섭함은 종교교육과 선교의 자유 침해라는 입장을 갖고 있지만 이는 사립학교 종교의 자유와 학생의 종교의 자유라는 기본권 충돌문제”라며 학생인권 중심의 종교교육 법제를 도입하는 게 당연하다고 주장했다. 이씨는 한 종교계 사립학교 현직교사의 증언을 토대로 “종립학교에서 아침조회 경건회나 종례시 찬양·기도를 하라는 학교의 지시, 일요일 종교기관 강제탐방, 종교과목 평가 및 우등상 지급 조건 차별 등의 종교강요가 빈번하다.”고 고발했다. 이씨는 “종교를 강요하는 것에 대한 학생들의 집단행동이나 거부를 체벌이나 제재로 금지하는 것은 종교의 자유 침해 말고도 표현의 자유라는 또 하나의 기본권을 침해하는 위법행위”라고 못박았다. ●바람직한 종교교육 위한 교사운동 필요 이에 대해 박영대 우리신학연구소장은 “학교 안 종교교육의 문제는 그 자체가 학생의 종교 자유를 침해하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교육방법과 내용이 종교간 대화와 협력을 거스르기 때문이기도 하다.”며 바람직한 종교 교육을 위한 교사운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현재 종립학교들은 대부분 자기 종교에 관해서만 가르치고 주로 각 종단 교직자들이 맡고 있어 제대로 된 학교 안 종교교육을 위한 노력이 범종단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외국인보호소 수감자 기본권보장 법개정을”

    국가인권위원회가 9일 외국인보호소에 보호조치된 외국인들의 기본권을 보장하도록 출입국관리법을 개정하라고 국회의장 및 법무부장관에게 권고했다. 인권위는 또 이들에 대한 임금체불 구제책을 마련할 것을 노동부장관에게 권고했다. 강명득 법무부 출입국관리국장은 화재 참사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날 김성호 법무부장관에게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인권위는 이날 여수출입국사무소 화재사건을 직권조사한 결과를 발표하면서 “출입국관리법상 강제퇴거 대상 외국인 등을 ‘보호’조치하도록 했는데 보호시설의 구조와 운영상태가 구금시설과 다름없었다.”면서 “신체의 자유를 박탈하는 등 기본권 침해가 동반되기 때문에 기본권 제한의 범위와 보호조치된 외국인의 권리를 구체적으로 규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인권위는 임금체불과 범죄피해로 정부기관에 도움을 요청해온 불법체류자를 담당공무원이 무조건 출입국관리사무소에 신고하도록 한 ‘공무원 통보의무’ 조항도 부작용이 크다며 ‘선(先)구제-후(後)통보’원칙을 관련법에 명시하라고 권고했다. 외국인보호시설에 불연성 칸막이와 바닥을 설치하는 등 소방설비를 갖추고, 보호시설의 경비업무를 맡기 위한 전문인력을 확보해야 하며 화재 등 긴급상황에 대비한 안전대책을 수립하라고 덧붙였다.임일영기자 argus@seoul.co.kr
  • 국립발레단 군부대서 공연

    국립발레단은 다음달 1일 충남 서산의 한 전투비행장에서 군 장병들 대상의 ‘해설이 있는 발레 공연’을 무료로 진행한다. 공연은 이 부대 정훈장교 김태봉 소령이 지난 2월말 국립발레단 홈페이지에 글을 올려 “부대 정훈장교로서 국립발레단의 공연을 우리 부대 장병에게 보여주고 싶다.”고 간절하게 요청한 것을 박인자 예술감독이 받아들여 성사됐다.이에 따라 이 전투비행단은 여군 장교들을 대상으로 오디션을 치러 발레 해설자 1명을 선발하는 한편 공연에 맞춰 600석 규모의 공연장 무대 폭을 넓히는 작업을 진행 중이다. 국립발레단은 갈라로 진행될 공연에서 조지 발란신 안무의 ‘차이콥스키 파드되’, 바실라 바이노엔 안무의 ‘파리의 불꽃 그랑 파드되’ 등을 보여줄 예정이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최고 설교가는 이동원 목사

    한국의 목회자들이 설교 때 가장 많이 쓰는 성경 본문은 요한복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사실은 월간 ‘목회와 신학’이 국내 담임목사 57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 교회 설교 사역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확인됐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절반가량인 50.7%가 ‘특별히 많이 설교하는 성경 본문이 있다.’고 응답했으며 이 가운데 요한복음이 20.1%로 가장 많았다.다음은 로마서(10.1%), 창세기(9.6%), 마태복음(9.1%), 사도행전(6.6%) 순이었다.목회자들은 설교 때 신약과 구약을 골고루(78.5%) 다루지만 구약(3.1%)보다는 신약(18.3%)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설교 주제와 관련해선 목회자의 연령이 높을수록 ‘설교는 오직 하나님 말씀만 전해야 한다.’고 주장한 반면 젊은 목사들은 현대사회의 주제들을 다뤄야 한다고 더 많이 응답해 대조를 보였다.`하나님 말씀에 치중해야 한다.’는 견해는 60대 이상에서 65.3%로 가장 많았지만 50대 51.9%,40대 47.9%,30대 47.1%로 낮은 연령일수록 줄어들었다. 이에 비해 ‘현대사회의 주제들을 다뤄야 한다.’는 입장에는 30대가 33.3%로 가장 많이 응답했고 50대 30.3%,60대 이상 14.1%로 고령일수록 응답자가 적었다. 한편 설교를 가장 잘하는 설교가로는 이동원(36.1%) 목사를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은 곽선희(21.6%), 조용기(20.3%), 하용조(18.0%), 옥한음(16.5%) 목사 순이었다. 가장 본받고 싶은 설교가에는 이동원(23.9%) 목사를 역시 가장 많이 꼽았으며 다음은 옥한음(19.8%), 조용기(14.3%), 하용조(14.0%) 목사 순이었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故 최양업 신부 ‘땀의 기적’ 인정받을까

    故 최양업 신부 ‘땀의 기적’ 인정받을까

    ‘최양업 신부의 기적 사례를 찾습니다.’ 천주교계가 한국 천주교 두 번째 사제인 최양업(1821∼1861) 신부를 성인 반열에 올리기 위해 총력을 모으고 있다. 최 신부의 사제서품일(1849년 4월15일)을 기념해 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위원장 박정일 주교)가 신도들을 대상으로 최 신부의 기적을 증거할 사례와 자료찾기에 나설 것을 촉구하는 담화문을 발표한 데 이어 각 교구에서는 일제히 미사 강론과 주보를 통해 최 신부의 시복시성(諡福諡聖)을 강조하고 있다. 최양업 신부는 김대건 신부에 이어 두번째로 중국 상하이에서 사제서품을 받고 돌아와 12년 동안 박해를 피해 전국을 순회하며 전교에 나서다 과로로 목숨을 잃은 인물. 천주교에서는 순교한 김대건 신부를 ‘피의 증거자’로 부르는 반면 최양업 신부는 쉼없이 전교활동을 폈다 하여 ‘땀의 증거자’로 기리고 있다. 최근 천주교가 최 신부의 시복시성과 관련해 각별한 힘을 모으는 것은 다른 시복시성 대상자들이 모두 박해를 당해 순교한 인물인 데 비해 최 신부는 유독 순교자가 아니기 때문이다. 시복시성이란 로마 교황청으로부터 천주교의 가장 큰 영예인 성인품을 받는 것을 말하는데 복자에 오르는 시복에 이어 성인 반열에 드는 시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국에선 지난 1984년 순교자 103위가 시성되어 성인 반열에 올랐다. 한국 천주교는 이 103위에 앞서 신유박해(1801년) 등 초기에 박해를 당해 순교한 인물들이 시성에서 빠졌다는 지적이 많자 10여년 전부터 새로 순교자 124위의 시복시성을 추진해 왔다. 이미 국내 재판 절차를 모두 마쳐 로마 교황청에 시복시성을 위한 자료를 제출해 놓고 있다. ‘기적 심사’가 면제되는 다른 순교자의 경우와 달리 최양업 신부는 순교자가 아니기 때문에 시복시성에 기적을 입증할 자료와 증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주교회의를 축으로 천주교계가 힘을 쏟는 것도 바로 이 기적의 사례를 모으기 위한 것. 로마 교황청 시성성은 시복 바로 전 단계로 최 신부의 출생지와 활동지, 선종지와 무덤 소재지 등을 방문, 조사하게 되는데 이때 ‘기적 심사’가 함께 이루어진다. 즉 최 신부의 기도를 통해 불치병을 고치는 등의 기적과 같은 은혜를 입었다는 전구(轉求)를 입증해야 하는 것이다.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위원장 박정일(80) 주교는 “100년간 2만명의 순교자를 낸 한국의 천주교인들이 복자·성인 대우를 받는 것은 당연하고 기쁜 일”이라면서 “특히 순교자가 아닌 ‘땀의 증거자’ 최양업 신부가 복자·성인 품에 오른다면 한국의 사제와 신도 모두에게 큰 귀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경제 논리가 인간의 도덕률 넘어선 안돼”

    천주교 서울대교구장 정진석 추기경은 부활절(8일)에 앞서 2일 메시지를 발표,“예수님의 십자가는 인간에게 죄로 잃어버린 생명을, 어둠 속에서 빛을 다시 가져다 주시기 위함”이라고 부활의 의미를 설명했다. 정 추기경은 특히 메시지를 통해 “가톨릭교회는 인간 생명인 배아를 파괴하는 어떤 종류의 배아 연구도 반대하며, 경제적 논리가 인간의 존엄성과 도덕률을 넘어서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하게 선포한다.”고 말했다. 정 추기경은 “최근 국가생명윤리심의위원회에서 정부가 제안한 체세포복제배아연구의 제한적 허용안을 의결한 것에 대해 가톨릭교회는 깊은 실망과 유감을 표한다.”고 덧붙였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법조계] 3명중 2명꼴 10억이상…1위 60억원

    [고위공직자 재산공개/법조계] 3명중 2명꼴 10억이상…1위 60억원

    이번 고위 공직자 재산등록에서 고위 법관·검사들 가운데 수십억원대의 자산가가 크게 늘었다. 올해부터 부동산·골프회원권 등을 실거래가와 공시가액 기준으로 신고하면서 서울 강남·서초·송파 등 부동산 가격이 오른 지역에 아파트나 주택을 소유한 법조인들의 재산 자산가치 변동분이 크게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른바 ‘강남·부동산 불패’의 혜택을 받은 셈이다. 특히 검찰 고위 공직자 9명이 골프장 회원권을 가진 것으로 파악돼 정부 부처나 기관 중 가장 많았다. 청와대 비서실 40명과 국방부 35명 중 골프장 회원권 보유자가 한명도 없는 것과 대비된다. ●공시가격 변동으로 법조인 3명 중 2명이 10억 이상 재산신고 법조인 중 재산총액과 재산증가액 1위를 차지한 김종백 서울고법 부장은 60억 1747만원으로 신고했다. 이 중 서울 서초구 양재동 점포 3곳과 강남구 개포동 우성아파트 등 부동산자산만 41억원에 달했다. 김 부장판사는 예금 등 실 재산증가분은 1억 2000만원에 불과했지만 이들 부동산 평가증가액이 24억원이었다. 이공헌 헌법재판관의 경우 지난해 10억 6400만원이었던 서울 강남구 삼성동 현대아이파크 아파트를 올해 21억 8200만원으로 신고했다. 이 아파트는 평당 가격이 5800여만원이다. 또 서울 강남구 청담동과 논현동에 2채의 아파트를 보유한 김희옥 헌법재판관도 지난해 아파트를 13억 4300만원으로 신고했지만 올해는 23억 1200만원이었다. 반면 12억 2625만원으로 신고한 김종대 헌법재판관은 분양가 6억원이었던 부산 해운대구의 아파트 공시가격이 3억 9000만원으로 2억 1000만원이 줄었다. 또 박용석 청주지검장도 서울 강남구 청담동의 연립주택 가격이 1억여원 하락했다. ●평균 재산액은 헌재가 24억 4179만원으로 1위 사법부의 경우 전남 무안군의 토지를 외조부와 아버지로부터 상속받은 이종오 서울고법 부장판사가 재산증가액만 18억 2984만원으로 신고해 재산증가액이 두번째로 많았다. 재산증가 3위인 김수형 서울고법 부장판사는 서울 송파구의 건물을 13억원으로 신고했다가 이번에 28억원이 돼 재산총액이 42억 4037만원으로 늘었다. 법무부·검찰에는 법조인 중 2위를 차지한 박상길 부산고검장의 재산이 가장 많았다. 오양수산 김성수 회장의 맏사위이기도 한 박 고검장은 53억 3565만원으로 신고했다. 지난해 10억 3500만원으로 신고했던 서울 용산구 한남동 아파트 가격이 3억 4100만원 늘어나는 등 부동산과 골프회원권의 변동가액이 4억 8950만원이었다. 박 고검장의 경우 14억원의 본인예금 등 배우자와 자식 등의 예금자산만 48억원으로, 부동산이 많은 법조인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재산총액 변동액이 적었다. 박 고검장에 이어 올해 퇴직한 정기용 전 안산지청장이 40억 7000만원, 권태호 서울고검 검사가 39억 7000만원으로 뒤를 이었다. 재산증가액으로는 권 검사가 경기도 분당의 땅과 서울 강남의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16억 1000만원 늘어 1위를 기록했다. 조승식 대검 형사부장은 11억 9000만원이 증가해 2위였다. 재산변동을 신고한 179명(이강국 헌재소장은 신규등록으로 제외)중 재산총액이 50억원을 넘는 사람은 4명,40억원대가 5명,30억원대 16명,20억원대 29명,10억원대 73명 등 127명(71%)이 10억원이 넘는 재산을 가지고 있었다. 기관별로는 12명이 신고한 헌법재판소는 1인당 평균 24억 4179만원이었다. 검사장급 이상 46명이 공개 대상인 법무부·검찰의 경우 평균 17억 2092만원이었고 대법원을 포함, 고등법원 부장 판사 이상 122명이 신고한 법원은 16억 5810만원이었다. ●대법원장 40억, 헌재소장 34억, 법무장관 23억 신고 40억 6542만원으로 신고한 이용훈 대법원장의 경우 서울 서초구 아파트, 서대문구 연립주택 등 부동산 자산만 20억 3767만원이었다. 또 본인과 가족의 현금과 예금자산은 18억 725만원이었다. 이 대법원장은 지난해에 비해 2억 6010만원이 증가했지만 이 중 1억 8500만원은 부동산 가액 상승분이었고, 봉급저축분 등 실재산증가분은 7436만원이었다. 지난 2월 임명된 이강국 헌재소장의 경우 9억 2500만원으로 신고한 서울 강남구 우성아파트를 비롯해 34억 2246만원의 재산을 신규로 신고했다. 지난해 인사청문회에서 논란이 됐던 부인 소유의 오피스텔은 23억 5000만원으로 신고됐다. 김성호 법부무 장관은 7억 6919만원이 증가한 23억 2737만원이었다. 김 장관의 경우 지난해 2400만원이었던 관악리베라 컨트리클럽 회원권을 올해는 기준시가대로 7100만원으로 신고했다. 정상명 검찰총장은 17억 8743만원이었다.4억 4000만원으로 신고했던 정 총장의 서울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는 올해는 9억 9700만원이었다. 또 지난해 4000만원이었던 한성 골프장 회원권도 1억 3400만원으로 뛰었다. 김효섭기자 newworld@seoul.co.kr ■ 법조 간부 5명중1명 골프장 회원권 보유 30일 공개된 고위 공직자 재산신고 내역을 보면 법원·검찰 간부 5명 중 1명은 골프장이나 헬스클럽 회원권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용훈 대법원장 등 법원 고위 간부 122명 중 본인과 배우자 한 명이라도 골프클럽 회원권을 갖고 있다고 밝힌 인사는 모두 14명이었다. 양승태 대법관과 김용덕 대법원 수석재판연구관은 본인과 배우자 모두 회원권을 갖고 있고 이인재 인천지법원장은 본인 명의로만 회원권 2장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또 본인과 배우자 중 헬스회원권을 1장이라도 갖고 있는 법원 간부는 모두 12명이었고 본인과 배우자 모두 회원권을 갖고 있는 사람은 김진권 대전지법원장과 이동명 서울고법 부장판사 등 2명이었다. 법무·검찰의 검사장급 이상 간부 46명 중 본인이나 배우자 명의로 골프장 회원권을 갖고 있는 인사는 9명이다. 헬스 클럽 등 스포츠시설 회원권을 갖고 있는 간부도 12명이었다. 특히 천성관 서울남부지검장은 본인과 배우자는 물론 아들·딸 등 한 가족 4명이 모두 한 곳의 헬스 회원권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또 정상명 검찰총장 등 고위 간부 3명은 골프장과 헬스클럽 회원권을 모두 갖고 있었다. 한편 올 해부터 회원권의 신고 기준이 구입 당시 가격이 아닌 기준 시가로 바뀌자 골프장 회원권을 갖고 있는 고위 간부들의 재산도 덩달아 올라갔다. 이성보 서울고법 부장판사는 회원권 가액을 1억 3450만원이나 올려 신고했고, 이인재 인천지법원장은 1억 2850만원, 유원규 서울서부지법원장은 8050만원, 이용훈 대법원장은 6750만원을 각각 높여 신고했다. 홍성규 김효섭기자 cool@seoul.co.kr ■ 법조계 재산신고 면면 살펴보니 매년 고위공직자 재산공개에서 법원·검찰 고위 간부들 중 매년 꼴찌 대열에 들었던 법조인들은 올해도 탈출하지 못하고 그 자리를 메웠다. 안대희 대법관은 검사장 시절부터 검찰 고위 간부들의 평균 재산액을 깎아 내렸던 원죄(?)를 대법원으로 옮긴 이후에도 씻지 못했다. 전체 보유 재산을 3억 4100만원이라고 신고한 안 대법관은 차관급 이상 법원 고위직 인사 중 ‘꼴찌에서 8번째’를 기록했다. 서울 서대문구 홍은동 아파트 가액이 2000만원 쯤 올랐고, 급여를 모은 늘어난 예금 금액이 3800만원이다. 안 대법관의 후임으로 검찰 내 재산 총액 꼴찌자리를 지키고 있는 인사는 신상규 광주지검장이다. 지난해 1억 9260만원의 부동산을 보유했다고 밝힌 신 지검장은 그나마 전북 군산의 단독 주택 평가액이 떨어져 올해는 1억 8500만원으로 신고했다. 대법원의 고위 법관 및 일반직 간부 122명의 재산공개에서는 2억 3905만원으로 신고한 방극성 광주고법 부장판사가 꼴찌였다. 방 부장은 전북 전주에 7800만원 짜리 아파트 한 채와 군산의 1억원대 땅, 예금 2500만원 등을 총 재산이라고 밝혔다. 문 전 부장판사는 ‘재테크도 못한 무능한 판사’라는 눈총을 받을까봐 재산신고 부서에 공시지가가 아닌 실제 구입가격(7억원)으로 기재해 달라고 떼(?)를 썼던 것으로 알려졌다.2월 정기인사를 앞두고 퇴직해 변호사로 탈바꿈한 그는 “교사였던 부인과 300만원씩 대출받아 전세방에서 신혼생활을 시작했는데 이제는 집도 샀다. 너무 무능하게 생각하지 말아 달라.”고 말했다. 홍성규기자 cool@seoul.co.kr
  • 이문희 대구교구장 사임

    교황 베네딕토 16세는 주한 교황대사관을 통해 천주교 대구대교구 이문희(72) 대주교가 청원한 교구장직 사임의사를 받아들였다고 29일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구교구장직은 부교구장인 최영수(65) 대주교가 승계하게 된다.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관계자는 “이문희 대주교는 몇 년 전부터 건강상의 이유로 75세 정년에 앞서 교구장직에서 물러날 뜻을 밝혀왔다.”면서 “교황청이 최근 조환길(54) 신부를 대구대교구 보좌주교로 임명한 것을 계기로 이문희 대주교의 교구장직 사임의사를 수락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문희 대주교는 대구 출신으로 1965년 사제로,1972년 주교로 서품됐으며 1986년 제8대 대구대교구장에 취임해 21년간 봉직했다. 그동안 대구 가톨릭병원장, 학교법인 선목학원 이사장,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의장 등을 역임했다. 후임 최영수 대주교는 경북 경산에서 출생해 1970년 사제 서품 후 시립희망원장, 논공 가톨릭병원장, 대구 평화방송 사장, 가톨릭신문사 사장 등을 역임했다.2001년 대구대교구 보좌주교로, 지난해 2월 대구대교구 부교구장으로 임명됐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부활절 연합예배 첫 ‘성찬성례’

    부활절 연합예배 첫 ‘성찬성례’

    한국 개신교 부활절 연합예배 사상 처음 ‘성찬성례’의식이 재현된다. 다음달 8일 오전 5시 서울시청 앞 광장에서 10만여명이 참여해 열리는 부활절 연합예배에서 참여교회 소속 목회자들이 신도들에게 성찬성례를 직접 집례하는 장관이 연출된다. ‘성찬성례’란 예수 그리스도가 죽기 전날 밤 12명의 제자들과 최후의 만찬을 하면서 제자들에게 자신의 희생을 기념해 의식을 거행하도록 한 전례. 기독교계에선 초대 교회 때부터 행해진 감사와 기념의 전례이지만 한국교회 부활절 연합예배에선 처음 시도하는 것이다. 이날 성찬성례는 오전 6시10분부터 약 20분간 진행될 예정이다. 의식복인 스톨(영대)을 차려입은 목회자들이 일제히 포도주가 담긴 성찬기를 들고 신도에게 포도주를 묻힌 빵을 나눠주게 된다. 약 4000명의 목회자들이 예배 참석신도 모두에게 일일이 집례한다. 목회자들이 착용할 스톨은 부활의 상징색인 백색 바탕에 꽃·새 그림과 십자가를 새겼으며 하단에는 공동주최측인 한국기독교총연합회(한기총)와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의 로고를 함께 넣었다. 포도주가 담길 성찬기 역시 흰색 바탕에 양측 로고를 함께 새겼다. 부활절연합예배 준비위측은 “그동안 각 교단과 한기총·KNCC의 입장이 달라 성찬성례를 하지 않았으나 평양대부흥회 100주년과 부활절 연합예배 60주년을 맞아 한 장소에서 하나의 빵과 공동의 잔을 나눔으로써 ‘그리스도 앞에서 하나됨’의 의미를 새기기 위해 뜻을 모았다.”고 말했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고려 초조대장경 복원 나선다

    고려 초조대장경 복원 나선다

    일반인들은 흔히 고려대장경을 해인사에 보관된 팔만대장경쯤으로 인식한다. 부처님의 가피를 빌려 몽골의 침략을 막아낼 방편으로 제작했다는 이야기도 거의 정설처럼 따른다. 그런데 고려 무신정권기인 1236∼51년 제작된 이 팔만대장경보다 무려 220년이나 앞서 1011년(현종2년)부터 제작된 초조(初雕)대장경이 있음을 아는 이는 많지 않다. 팔만대장경은 처음 제작한 초조대장경과 구별해 다시 찍어냈다는 의미를 붙여 재조대장경(再雕大藏經)으로 부른다. 한국과 일본의 초조대장경 연구자들이 함께 모여 이 초조대장경을 복원하기 위한 본격작인 연대작업에 나선다. 한국의 고려대장경연구소(이사장 종림 스님)와 일본 교토의 하나조노대학 국제선학연구소를 중심으로 한 한·일 학자 400여명이 연구단체를 결성, 오는 4월2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고려대장경 천년의 해’ 선포식을 갖는다. 고려 초조대장경 조성이 시작된 1011년으로부터 따져 오는 2011년이 정확히 1000년이 된다는 점을 고려해 이같이 선언하고 나선 것이다. 대장경은 일반적으로 알려진 것과는 달리 불교 경전뿐만 아니라 각종 전기, 역사, 사전, 야담을 수록한 동아시아 문화사의 보고. 당시 지식·학술 측면에서 아시아 최고 수준의 표준 텍스트였다고 할 수 있다. 대장경 편찬은 방대한 문헌 작업과 비용이 필요한 국가 차원의 대대적인 사업이었던 만큼 ‘국력의 상징’으로까지 여겨졌다. 일본만 하더라도 직접적인 목판 제작은 포기한채 고려에서 인경된 부분을 수집해 책으로 묶어낼 수밖에 없는 수준이었다. 고려 초조대장경은 중국 북송시대의 개보대장경(開寶大藏經)에 이어 세계 대장경으론 두 번째. 나중에 대각국사 의천이 불경 주석·연구서를 보완해 일체경인 교장(敎藏)으로 발전시켰다. 따라서 한국 불교계는 이 초조대장경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다. 초조대장경과 교장은 1만1000여권의 방대한 분량이지만 몽골전쟁 때 그 목판이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러나 1967년 초조대장경의 인본(印本)이 남아있다는 사실이 처음 확인된 이래 양국 학자들이 확인작업을 벌여 지금까지 국내 300여권을 포함해 일본 교토 남선사의 2000권, 대마도의 600권 등 전체 초조대장경 분량의 절반 정도인 3000권(인본)이 세상에 알려지게 된 것이다. 한·일 양국의 학자들은 4월2일 선포식을 시작으로 지난 2004년부터 고려대장경연구소가 주축이 되어 진행해온 초조대장경 디지털화 사업을 공동으로 벌이게 된다. 이미 확인된 모든 인본을 정밀 촬영하고 있으며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기초작업도 진행중이다. 양측은 지금까지 알려진 모든 초조대장경 인본을 늦어도 2011년까지는 모두 디지털화하는 것과 함께 나아가 세계의 모든 대장경을 함께 검색할 수 있는 통합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이 작업이 모두 마무리되면 세계 각국의 연구자와 신자들은 초조대장경과 세계의 모든 대장경을 한 번 검색만으로 비교해 볼 수 있게 된다. 종림 스님은 “초조대장경은 단순한 불교문화사를 넘어 당시 동아시아 지역이 함께 했던 우수한 공동창작물로 그 복원은 아시아 지역의 매체와 지식 교류에서도 큰 의미를 갖는 만큼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개구리 춤’에 녹여낸 현대인의 삶

    ‘개구리 춤’에 녹여낸 현대인의 삶

    오는 31일,4월1일 이틀간 동덕여대 공연예술센터 대극장 무대에 오르는 현대무용 ‘개구리냄비요리’(안무 김정은, 연출 신정엽)는 주제와 무대 언어 양쪽에서 모두 독특한 레퍼토리로 주목된다. 현대무용뿐만 아니라 연극, 오페라를 넘나들면서 감각적인 안무로 관객들과 소통하고 있는 김정은(36·동덕여대 강사)의 새해 첫 작품. 서울문화재단의 젊은 예술가 지원 프로그램으로 선정된 기획 공연이기도 하다. ‘개구리냄비요리’는 프랑스에서 유명한 ‘삶은 개구리’요리에서 모티프를 얻은 작품. 식당에서 손님들이 개구리를 산 채로 냄비에 넣고 물의 온도를 서서히 올려가며 익혀 먹는 요리에서 ‘현대인의 모습’을 건져내 무대 위로 옮겼다. 개구리가 겨울잠을 잘 때 주위의 환경에 신체조건을 맞춰 적응하는 것처럼 ‘삶은 개구리 요리’에서도 달구어지는 냄비에 개구리가 천천히 적응하면서 죽어간다는 이론에 착안했다. “흔히 이 ‘개구리 요리’에서 죽어가는 개구리를 의욕과 비전을 상실한 사람들의 게으른 모습에 빗대지만 정반대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 개구리처럼 바쁜 일상에 휘둘리는 현대인들도 세상을 움직이는 어떤 큰 힘에 의해 쫓기지만 나름대로 열심히 적응해 살고 있다는 것이지요.”(김정은) 김정은의 말대로 공연에서 무대 전체는 하나의 거대한 힘으로 상징되는 ‘개구리 요리’의 냄비로 꾸며진다. 당연히 무용수는 개구리들. 요리에서 물의 온도가 서서히 올라가는 과정 그대로 조명이며 음악, 영상이 점차 강도높게 무대를 달구게 된다. 운동력을 상실하며 죽어가는 개구리들의 모습이 1시간에 걸쳐 감각적으로, 때로는 우화적으로 드리워진다. 중간중간 개구리로 변장한 무용수들이 등장하기도 한다. 음향, 영상, 조명이 사전에 짜여진 틀대로 움직이는 게 아니라 무용수들의 움직임에 따라 실시간 즉흥적으로 맞춰지는 것도 파격. 관객들이 무대에서 무용수들을 조정하는 힘과 그 힘에 반응하는 무용수들의 몸짓을 생생하게 느낄 수 있도록 악센트를 주었다. “무용수들의 몸짓에 시시각각 즉흥적으로 연결되는 무대 장치(스태프)가 얼마만큼 조화를 이룰 수 있을지 걱정입니다. 쉽지 않은 작업이지만 관객들의 입장에선 재미있는 볼거리가 될 수도 있을 것 같아요.”(김정은) 31일 오후 7시,1일 오후 5시(02)539-2764.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재독 발레리나 강수진 동양인 첫 ‘무용 장인’

    독일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에서 수석무용수로 활동 중인 강수진(40)씨가 독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정부로부터 귀인(貴人), 장인(丈人)으로 공식 인정받아 ‘카머 탠처린(Kammertanzerin)’에 선정됐다.‘카머 탠처린’은 영국에서 일정한 경지의 인물에게 주는 작위처럼 최고의 예술적 경지를 인정받은 장인에게만 부여하는 것으로,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 시행되고 있다. 독일에서는 음악·무용 부문에서 적임자가 있을 때만 선정하는데 지금까지 무용 부문에서 독일 슈투트가르트발레단 예술감독을 지낸 마르시아 하이데, 남성 주역 무용수였던 리처드 크레이건, 발레리나 비르기트 카일 등 3명이 선정됐다. 강씨는 ‘무용 장인’으로 인정받은 최초의 동양인으로 기록된다. 시상식은 27일 바덴뷔르템베르크 주립극장(오페라하우스)에서 있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석가탑 유물 왜 못 돌려주나”

    “국내의 문화재조차 제자리에 놓을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외국의 우리 문화재를 떳떳하게 환수해올 수 있습니까.”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이 불국사 석가탑내 발견유물 일괄(국보 제126호)을 원 자리인 불국사에 이관할 수 없다는 입장을 통보한 데 대해 조계종이 강도 높게 반발하고 나섰다. 조계종 문화부장 탁연 스님은 21일 기자회견을 갖고 “위탁 문화재의 반환 여부 결정은 문화재청의 관할사안인 만큼 국립중앙박물관은 반환과 관련해 어떠한 권한도 없다.”며 종회와 전국 주지회의 등 종단 차원에서 석가탑 사리장엄구의 반환을 위해 소송을 검토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다. “지난 2005년부터 석가탑 사리장엄구를 비롯한 위탁 문화재 반환을 위해 조계종과 협의해 오던 국립중앙박물관이 불교중앙박물관 개관을 10여일 앞둔 시점에서 느닷없이 반환 불가로 입장을 바꾼 것을 도저히 납득할 수 없습니다.” 탁연 스님은 불교중앙박물관의 보존관리시설이 미비하다는 국립중앙박물관 측의 반환 불가 이유에 대해 “담당 직원이 들러 간단한 점검 끝에 결정한 것으로 국가기관인 국립중앙박물관의 무책임한 업무진행에 대해 책임을 묻겠다.”고 말했다. 탁연 스님은 특히 “국립중앙박물관이 지난 1997년부터 이 유물들을 보존처리하면서 원 소유자 동의 등 관련 법령을 준수했는지에 대해 의문점이 제기되고 있다.”며 위탁 당시와 현 보존상태를 실사 비교할 방침임을 밝혔다. 석가탑에서 발견된 유물 일괄은 ‘무구정광대다라니경’을 포함해 모두 29건 71점으로 출토 이듬해인 1967년 당시 국립박물관 경주분관에 이관됐다가 1969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위탁 관리해 왔다. 지난해 10월 불국사가 유물들을 조계종에 이관할 것을 요청, 문화재청으로부터 ‘이관에 문제없다.’는 확인을 받았으나 최근 국립중앙박물관이 유물의 보존 전시 여건 미비를 문제삼아 조계종측에 반환 불가 입장을 전했다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재즈와 가야금, 한국춤이 만나면

    지난해 10월 국립극장 해오름극장에서 연출된 ‘한국 춤’과 ‘클래식 재즈음악’의 만남이 다시 이루어진다. 다음달 4∼6일 같은 장소에서 마련되는 국립무용단과 독일 5인조 그룹 살타첼로의 앙상블 ‘Soul, 해바라기’를 통해서다. ‘한국 춤 표현양식의 지평을 넓혔다.’는 반응에 힘입어 국립무용단의 배정혜 예술단장이 레퍼토리화를 염두에 두고 시도한 재공연이다. 그룹 살타첼로는 작곡가 겸 피아니스트 페터 신들러를 중심으로 독일 슈투트가르트 음대 동문들이 지난 1995년 결성한 클래식 재즈 앙상블. 한국 정서에 가까운 레퍼토리를 연주하며 수 차레 내한공연을 가져 한국에도 팬들이 적지 않다. 지난해에 이어 이번 작품을 관통하는 주제는 인간 내면 깊숙한 곳의 그리움. 잃어버린 아들과 그 어머니로 등장하는 두 사람을 주축으로 헤어짐과 그로부터 비롯된 만날 수 없는 인연에의 사무치는 그리움을 재즈음악과 한국 춤으로 표현해낸다. 그리움을 비롯해 인간이 가진 온갖 정서와 이미지들이 군무와 듀엣, 솔로 등 다양한 춤 언어와 음악으로 풀어진다. 지난 해 첫 공연이 한국 춤의 섬세함과 힘을 고르게 보여줬다면 이번 무대에선 서정적인 춤에 위트와 유머를 녹인 군무 위주의 역동적 춤이 주조를 이룬다. 특히 재즈에 가야금과 타악이 가세해 살타첼로 고유의 음악을 살리면서도 우리의 선율과 장단에 무게를 싣게 된다. 살타첼로 연주단이 객석에 더 가깝게 자리를 옮겨 라이브 분위기를 더하며 공연이 끝난 뒤 살타첼로의 음악을 계속 연주하는 보너스를 선사한다. 국립무용단 단원이자 영국 에든버러 프린지 축제 참가작인 비언어 무술극 ‘무무’로 잘 알려진 우재현이 연출을 맡아 배정혜 감독과 호흡을 맞추며 국립무용단 전 단원이 출연한다. 오후 7시30분.(02)2280-4115∼6.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金법무, 유괴범죄등 엄단 지시

    최근 인천 초등학생 유괴·살해 사건으로 사회적 파장이 일고 있는 가운데 김성호 법무장관이 19일 전국 검찰에 ‘법질서 확립과 시민 안전확보를 위한 특별지시’를 내렸다. 김 장관은 유괴와 아동상대 폭력범죄, 성폭력, 유해식품 제조·유통 등 국민 안전에 해를 끼치는 범죄를 엄단할 것을 지시했다.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 ‘한국 禪불교의 원류’ 中선종사찰을 찾아

    ‘한국 禪불교의 원류’ 中선종사찰을 찾아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祖師)를 만나면 조사를 죽여라’ 현상에 얽매이지 않는 본질에의 철저한 탐구를 독려한 임제(臨濟·?∼867) 선사의 일갈이다.‘본디 내가 없는데 왜 나에 집착하는가.’ 허상인 나와 존재를 바로 봄으로써 해탈을 이루자는 선(禪)불교의 큰 가르침이기도 하다. 조계종 불교인재개발원이 지난 5일부터 11일까지 중국 대륙을 종단하며 이 ‘선 불교’의 원류를 찾아나섰다. 허베이(河北)성 스자좡(石家莊)의 임제사(臨濟寺)부터 광둥성 사오관(韶關)의 남화선사(南華禪寺)까지 선종 사찰 13군데를 돌며 선 불교의 초조 달마(達摩) 대사∼6조 혜능(慧能·638∼713) 대사의 향훈을 느껴보는 대장정이었다. 고우(전 각화사 선원장) 스님을 해설자로 모신 신도 60여명의 순례 길을 동행했다. 인도에서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27대 제자인 반야다라 존자를 40년간 시봉하다 동토(東土) 중국을 택해 전법에 나선 불교 선종(禪宗)의 종조 달마대사. 중국에 건너간 달마는 당시 ‘불심천자(佛心天子)’라 불릴 만큼 신심이 깊었던 양(梁)의 무제(武帝·464∼549)와 법 거량을 가졌으나 크게 실망했다고 한다. 이후 달마는 ‘아직 이 땅에서 법을 전할 때가 아니다.’라며 일체 중생과의 연을 끊고 9년간의 묵언 면벽수행에 들었다. 허난(河南)성 성도인 정저우(鄭州) 서쪽 등펑(登封)시 숭산(嵩山) 자락의 소림사(少林寺)는 초조 달마대사의 고행과 2조 혜가(慧可·487∼593) 대사에 대한 전법이 서려 있는, 선종의 시발점이다. 무술로 세상에 널리 알려진 소림사답게 일주문을 비롯해 사찰 주변에 소림 무술 교육시설이 즐비하다. 현재 50여곳에서 2만여명이 무술을 배우고 있다고 한다. 곳곳에서 흘러나오는 수련자들의 기합소리는 ‘과연 이곳이 선종의 시원지인가.’하는 의문을 품게 한다. 달마 대사가 면벽수행을 했던 달마굴은 소림사 뒤쪽 깎아지른 듯한 산 중턱에 있다. 동굴 입구의 돌문에 ‘묵현처(默玄處)’라 음각되었고 벽에는 ‘달마동(達磨洞)’이라 새겨졌는데 3∼4명이 서기에도 비좁은 동굴 한가운데 가사를 입혀놓은 달마대사상이 인상적이다. 면벽수행 당시엔 벽을 향해 앉았을 터이지만 지금은 동굴 입구를 향해 세상을 내다보고 있다. 달마대사의 면벽수행처였던 이 달마굴은 2조 혜가 스님이 팔을 잘라 제자가 되기를 간청했다는 단비구법(斷臂求法)의 현장이기도 하다. 구도 열정이 강했던 혜가 스님은 눈이 내려 무릎까지 쌓여도 꼼짝하지 않고 동굴 앞에 앉아 법을 구했다고 한다. 그토록 제자로 받아줄 것을 간청하는데도 달마 스님이 아무런 반응을 보이지 않자 왼쪽 팔을 잘라 마침내 달마대사의 마음을 얻게 된다. 여기에서부터 선종의 맥이 시작되는 것이다. 동굴 오른쪽 벽면에 혜가 스님이 잘라 바쳤다는 팔뚝을 생생하게 부조해 놓았다. 지금의 소림사는 1928년 소실된 뒤 중건한 것으로, 혜가 대사의 단비구법을 형상화해 놓은 입설정(立雪停)과 9년 면벽한 달마 대사의 모습이 어려 있다는 바위가 있다. ‘천하에 붉은 눈이 내릴 때 제자로 받아들이겠다.’는 달마 대사의 말에 서슴없이 팔뚝을 잘라 피를 뿌려 법을 전수받은 혜가 스님은 소림사 맞은편 발우봉에 터를 잡아 수행에 들었다. 지금의 이조암(二祖庵)이다. 소림사에서 10리길이니 1시간30분은 족히 걸어야 오를 수 있는데 케이블로 연결된 리프트가 힘겨운 발품을 덜어주고 있다. 이조암에 들어서면 원나라 때 세워졌다는 6각 전탑과 당대의 4각 전탑이 눈에 들어온다. 중심전각인 20평 남짓한 법당에는 금칠을 한 좌상에 옷을 입힌 혜가 스님이 앉아 있다. 법당 앞에는 단맛, 쓴맛, 신맛, 매운맛의 네 가지 맛이 나는 물이 났다는 우물 사미정(四味井)이 있는데 수행하면서 물이 없어 고생하던 혜가 스님을 위해 달마 대사가 지팡이(錫杖)로 땅을 쳐 물을 솟아오르게 해 만들었다는 탁석천(卓錫泉)이다. “제 마음이 불안합니다. 스님께서 편안케 해 주십시오.”/“불안한 네 마음을 가져오너라. 그러면 편안케 해주겠다.”/“마음을 아무리 찾아도 찾을 수가 없습니다.”/“나는 벌써 너의 마음을 편안케 하였느니라.” 혜가는 달마 대사와의 이 대화를 통해 크게 깨달았다고 한다. 이 선문답이 마음을 바로 깨달아 들어가는 안심법문(安心法門)으로, 달마 대사가 전한 선(禪)의 실체이자 정수로 여겨진다. 달마 대사의 법을 이은 혜가는 나병을 심하게 앓아 머리카락이 모두 빠져 적두찬(赤頭瓚) 별명을 얻었다는 3조 승찬(僧瓚·?∼606) 스님에게 똑같이 안심법문으로 법을 전한다.“몸에 풍질(風疾:나병)을 앓고 있습니다. 풍질을 앓게 된 저의 죄를 참회케 해 주십시오.”/“죄를 가져오너라. 죄를 참회케 해 주겠노라.”/“죄를 찾아보았지만 찾을 수가 없습니다.”/“그렇다면 너의 죄는 모두 참회되었느니라. 그저 불법승에 의지해 안주하라.” 안심법문을 통해 법맥을 이어받은 승찬 스님은 혜가 스님을 시봉하면서 병도 나았다고 한다. 안후이(安徽)성 첸산(潛山)현 천주산(天柱山) 삼조사는 바로 이 승찬 스님의 선기가 서린 곳. 혜가 스님을 찾아 깨달은 승찬 스님은 이곳 천주산에서 수행하며 법을 펴다가 나무 밑에서 설법을 마친 뒤 선채로 입적했다고 한다. 수행처인 삼조굴과 묘탑인 삼조탑, 서서 입적했다는 입화탑(立化塔)이 있다. 승찬 스님 열반 후 수습된 300과의 사리 중 100과를 넣어 세운 것이 삼조탑이다. 삼조굴 바로 앞에는 승찬 스님이 선문답을 통해 법을 전한 4조 도신((道信·580∼651)스님의 속박을 풀어준 ‘해박석(解縛石)’이 누워 있다.“해탈법문으로 나병을 앓는 이 몸의 속박을 풀어달라.”는 도신 스님에게 “본래 속박된 적이 없으니 해탈을 구할 필요조차 없이 자성 그대로가 해탈이요 부처”라 일갈한 안심법문의 또 다른 현장이다. 황메이(黃梅)현 쌍봉산(雙峰山)의 사조사(四祖寺)는 도신(道信·580∼651) 선사가 30년간 주석한 곳. 창건될 때엔 1000명의 수좌들이 수행하던 대찰이었으나 조사전과 몇몇 석조물만 남았다가 근래 들어 30여개의 전각이 제모습을 되찾았다. 오른쪽 산등성이의 사조탑에서 내려다보이는 가람이 다른 조사들의 주석 사찰과는 규모나 양식 면에서 크게 달라 보인다. 사조사로부터 10㎞쯤 떨어진 곳에 5조 홍인(弘忍·594∼674) 선사가 머물며 설법했던 빙무산(憑茂山) 오조사(五祖寺)가 있다. 이른바 ‘동산법문(東山法門)’이 태동한 곳으로 4조 도신 선사가 바로 동산법문의 초조(初祖)인 셈이다. 중국 선종에선 초조부터 3조 승찬 스님대까지 걸식하며 떠도는 두타행 수행이 이어지다가 4조 도신 선사부터 비로소 도량에 정착해 법을 펴게 된다. 이 오조사는 그중에서도 중국 선종의 법문이 본격적으로 행해진 유서깊은 곳이다. 다른 사찰과는 달리 산에 자리잡은 데다 우리의 절집처럼 잿빛 기와를 얹은 가람들이 퍽 친숙하다. 법당 왼쪽에 길쌈을 하며 아들을 훌륭한 조사로 키워낸 홍인 선사 어머니의 공덕을 기리는 성모전(聖母殿)이 있고 법당 뒤로 법우탑과 5조 홍인조사 진신전, 그 오른쪽에 6조전이 있다.6조 혜능(慧能·638∼713) 선사가 사미시절 찧던 방아도 재현되어 있다. 그 옆으로 5조 스님이 좌선했다는 수법동굴을 지나면 홍인 스님 사리탑이 눈에 들어온다. 홍인 스님은 이곳에서 6조 혜능에게 법을 전하는 증표로 달마조사로부터 전해내려온 가사와 발우를 준다. 중국에선 4조 도신 스님 때부터 스님들이 농사일과 참선을 병행해야 한다는 ‘선농일치(禪農一致)’ 운동이 일었는데 5조 홍인 선사 때 이곳에서 자리잡아 훗날 그 유명한 ‘일일불작 일일불식(一日不作 一日不食)’이라는 청규(淸規)를 낳게 된다. 6조 혜능 스님은 홍인 스님을 찾아가 출가의 뜻을 밝힌 뒤 이 절에서 여덟 달 동안 방아를 찧다가 마침내 홍인 스님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금강경’ 강론을 듣고 단번에 깨우친 뒤 법을 전수받아 선종의 육조(六祖)가 되었으며 한국 선 불교는 바로 이 혜능 대사 문하의 선법인 남종선(南宗禪)을 따르고 있다. 광저우·우한·스자좡 글 사진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 한국 선불교의 맥

    한국 선불교의 맥

    따져보면 대부분의 중국 선종 사찰에는 한국 선 불교의 맥이 닿아 있지만 그중에서도 6조 혜능 대사가 머물렀던 남화선사(광둥성 사오관시)와 4조 도신 선사의 전신을 모신 4조사(황메이현), 임제 선사가 주석했던 임제사(허베이성 정딩시)는 한국불교에 각별한 도량이다. 한국 불교의 선종인 남종선을 일으킨 6조 혜능 대사는 그의 법맥을 이은 제자들의 전법을 통해 중국 불교를 인도의 영향에서 벗어나게 했다는 점에서 중국 선종의 진정한 창립자로 통한다. 그가 강론한 내용을 묶은 ‘육조단경’은 숱한 조사의 어록 가운데 유일하게 ‘경(經)’으로 불릴 만큼 중국 선종에선 절대적인 존재다. 좌선한 채 열반한 혜능 대사의 진신상인 등신불이 보존된 남화선사는 혜능 스님이 30년간 법을 펼친 도량. 이 사찰 주변엔 유난히 조(曹)씨가 많이 모여 살았는데 절 앞을 흐르는 개울의 이름이 조계이며 뒤쪽 산 이름도 조계산이다. 한국 불교 장자종단인 조계종은 바로 이 이름을 딴 것이다. 도신 선사의 전신을 모신 사조사의 비로탑에서도 한국 불교의 기원을 찾을 수 있다. 사조사는 4조 도신 선사가 500명의 수행자에게 법을 전하며 30년간 주석한 도량. 이전 조사들의 떠돌이 수행을 접고 도량에서 전법을 시작한 최초의 수행터이다. 이 사조사의 비로탑에 도신 선사의 4대 제자 중 한 명이었던 법랑(法朗·632∼?) 스님의 입상이 모셔져 있어 흥미롭다. 법랑 스님의 제자인 신행(神行·704∼779) 스님은 한국불교 구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희양산문(曦陽山門)의 기원을 이룬 인물인 만큼 도신 선사와 사조사는 깊은 연관을 갖는다고 봐야 한다. 스자좡(石家莊) 인근 정딩(正定)시에 있는 임제사는 한국 선 불교의 맥이 곧바로 닿아 있는 뿌리격 사찰.‘지금 내가 처한 곳에서 주인의식을 갖고 살면 바로 그곳이 정토(隧處作主 立處皆眞)’라 역설하며 임제종을 개산한 임제 선사의 주석처이자 부도가 모셔진 곳이다. 신라시대 도의(道義) 국사는 784년 당(唐)에서 지장(智臧·735∼814) 대사의 선법을 전수받아 귀국한 뒤 강원도 진전사에서 처음 남종선을 전파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장 대사의 스승이 바로 혜능 대사와 남악 회양의 법맥을 잇는 마조 선사이니 한국의 선종인 임제종의 뿌리는 혜능 대사에서 초조 달마 대사로 거슬러 오르게 된다. 결국 신라시기를 거쳐 고려말 태고 보우(太古 普愚·1301∼1382)로 이어지는 흐름을 볼 때 한국 선불교는 혜능 대사의 남종선과 임제 선사의 임제종 법맥인 것이다. 광저우·우한·스자좡 글 사진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