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교단 자정” 기독교 “일치·화해”
‘불교는 자정, 기독교는 일치’종교계가 무자년 벽두 일찍부터 잡은 화두는 ‘자정’과 ‘일치’다. 어찌보면 화두랄 것도 없는 다짐일 수 있지만 지난해 숱한 비리와 파행으로 얼룩졌던 종교계의 입장을 볼 때 자기반성과 개선을 향한 절실한 실천 움직임으로 받아들여진다. 불교계가 16일 만해NGO 교육센터에서 각 종단이 함께 참여하는 교단자정상담소 현판식을 가진 것과 천주교·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KNCC)가 18일 대전 기독교대한감리회 보문교회서 여는 ‘한국 그리스도인 일치를 위한 기도회’는 그래서 더욱 눈길이 쏠리는 이슈다.
●불교계, 교단자정 상담소 열어
조계종 참여불교재가연대(재가연대)가 주축이 되긴 했지만 이날 행사에는 각 종단의 총무부장 등 핵심인사들과 조계종중앙신도회·불교환경연대·불교여성개발원·사찰생태연구소 등 재가 단체 관계자들이 대거 참석해 불교계 자정의 시급함을 보여줬다.
우리신학연구소·제3시대그리스도교연구소·전국목회자정의평화실천협의회 등 개신교 인사들도 모습을 나타내 자정운동이 타종교와의 연대로 확산될 조짐이다.
자정상담소의 역할은 불교 본연의 청정성 되찾기와 불교계 재정운영의 투명성 확보. 불교계 비리와 일탈을 좌시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행동으로 옮기는 구심점으로 이 상담소를 삼은 것이다.
참석자들이 현판식 직후 발표한 ‘교단 자정을 위한 비전’도 ▲불교 지도자들이 신뢰받는 청빈그룹으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과 ▲투명하고 청정한 교단 운영을 위해 일반인들이 감시, 참여한다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를 위해 교단, 정부, 시민사회, 이웃종교가 함께 네트워크를 구축해 종단 운영의 투명성을 평가·인증하는 ‘사찰종합경영인증제’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대중들이 직접 참여하는 ‘108평가단’을 조직해 불교계 주요 인사 500인에 대한 청렴성을 관리해나가겠다는 방침도 세워 불교계가 긴장하고 있다.
●기독교계, 그리스도인 일치를 위한 기도회
KNCC와 천주교가 정한 ‘그리스도인 일치기도 주간’(1월18∼25일) 연례 기도회이지만 각별한 의미를 갖는다.
1965년 대한성공회와 천주교가 서로 방문, 개최한 기도회가 이 행사의 시초로 KNCC와 천주교는 1986년부터 줄곧 이 합동 기도회를 열어왔다. 이번 기도회는 광주·청주에 이어 서울 이외의 지역에서 열리기는 세번째. 교회일치와 종교간 대화위원회가 주축이 되어 이날 행사를 토대로 교단간 신학자 연구모임과 신학생 교류, 성탄 음악회같은 후속사업을 벌여나간다. 특히 올해는 1908년 1월18∼25일 뉴욕 개리슨의 그레이무어에서 처음으로 교회일치 기도주간을 시행한 지 100주년이 되는 해. 바오로 사도가 그리스도인 공동체에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께서 베푸신 일치를 이루며 살아가도록 당부하는 권고인 ‘끊임없이 기도하십시오.’를 주제로 삼았다. 대한성공회, 한국정교회, 구세군본영, 천주교의 교회와 공동체들이 함께 참여한 가운데 ‘8일간의 성경 묵상과 기도’를 하며 일치와 화해를 거듭 다짐한다.
KNCC는 “각 교회들이 목표로 삼는 일치의 개념이 달라 ‘그리스도인 일치’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지만 서로 다양성을 존중하며 화해의 친교를 해나간다면 공동의 신앙고백, 예배와 성사, 의사 결정, 조직 생활같은 완전한 일치까지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성호 문화전문기자 kim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