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계 신뢰도, 대기업보다 낮다
한국 사회에서 종교계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가 대기업보다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종교인에게 세금을 물려야 한다는 의견이 비과세 혜택을 줘야 한다는 의견보다 훨씬 많았다.
조계종 불교사회연구소가 지난 9월 26일부터 10월 15일까지 전국 16~69세 남녀 1512명을 대상으로 ‘한국의 사회문화 및 종교에 관한 대국민 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 5점 만점에 한국사회 전반에 대한 신뢰도는 2.89였다. 분야별로는 종교계가 3.00으로, 의료계(3.22), 시민사회(3.22), 학계(3.16), 대기업(3.12), 교육계(3.01)보다 낮았다. 국회·정당(2.17), 정부·지자체(2.48), 언론계(2.86), 금융계(2.88)는 중간치를 밑돌았다.
각 종교에 대한 신뢰도는 가톨릭이 4.11로 가장 높고, 불교(4.05), 개신교(3.34), 원불교(2.31), 이슬람교(1.20)가 그 뒤를 이었다.
종교 간 갈등의 원인을 제공하는 종교로는 개신교(57.0%)가 가장 많이 지목됐다. 그 다음은 불교(12.7%), 이슬람교(8.7%), 원불교(3.8%), 가톨릭(2.8%) 순이었다. 개신교는 한국 사회에서 영향력이 가장 높은 종교(53.2%)로도 꼽혔다. 2위 불교(23.7%), 3위 가톨릭(17.6%)과의 격차가 컸다.
목사·스님·신부 등 종교인에 대한 소득세 부과에 대해서는 ‘찬성하는 편이다’(31.0%)와 ‘적극 찬성한다’(12.5%)가 43.5%로, ‘반대하는 편이다’(18.7%)와 ‘적극 반대한다’(5.2%)의 반대 의견(23.9%)보다 많았다. 3명 중 1명은 ‘반대도, 찬성도 아니다’(32.5%)라고 응답했다.
불교사회연구소장인 법안 스님은 “급격한 시대적 변화에 부응해 한국사회 전반과 종교 현상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을 이해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했다.”고 설명했다.
김성호 편집위원 kimu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