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관급회담 전망
6·15 남북공동선언 후속조치를 협의하기 위해 오는 27일 열릴 것으로 보이는 남북 장관급회담 형식이 대체적인 윤곽을 드러냈다.
19일 정부 당국자에 따르면 이번 회담은 경협,사회·문화,긴장완화,통일방안 논의 등 각 분야 실무회담에 앞선 총괄 성격의 회담이다.즉 앞으로 남북이 어떤 과제들을,어떤 방식으로 협의해 나갈지를 전체적으로 설정하는 자리가 된다.
[실용적 과제 집중 협의] 이번에 남북이 가장 중점적으로 논의할 의제는 6·15선언 제4항에서 천명한 경제 사회 문화 체육 보건 환경분야 등의 교류협력방안이다. 이 부분은 비교적 짧은 시간안에 쌍방에 구체적인 이익을 가져다줄 수 있다는 점에서 부담없이 손댈 수 있는 과제다.
선언 2항의 통일방안 논의(남측의 연합제,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는 장기적인 협의과제로 분류될 가능성이 높다.먼저 양측이 교류협력 활성화를 통해 화해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킨 뒤 본격적인 논의에 들어가는 게 자연스럽기 때문이다.
이밖에 선언 1항의 자주적인 통일문제 해결 조항은 서로 견지해야 할 입장이지 논의 대상은 아니라는 게 정부의 시각이다.3항의 이산가족과 비전향장기수 문제도 적십자회담에서의 논의 과제로 분류된다.
선언문 끝 부분에 명기된 김정일(金正日)국방위원장의 서울 답방 문제는 심도 있게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이번 회담이 서울에서 열릴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김위원장은 지난 남북정상회담에서 “고위급 1∼2명을 먼저 서울에파견한 뒤 내가 갈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후속 실무회담은] 이번 장관급회담에서의 합의사항을 실천할 분야별 실천체계가 어떤 식으로 운영될지도 관심이다.일단 92년 남북이 설치를 합의했던분야별 공동위원회를 가동하는 방식이 가장 유력하다.일각에서는 별도의 실천체계 없이 상설화에 가까운 정례적인 장관급회담 개최로 공동선언을 이행해 나갈 것이라는 얘기도 있다.
김상연기자 carlos@.
*남북 장관급회담 수석대표 누가 맡나.
오는 27일부터 열리는 남북 장관급회담에 남북 양측은 수석대표를 포함,각5명씩의 대표단을 내세운다.우리측 제안을 북측이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전제에서다.북측이 양측 대표수를 3명으로 하자는 역제안을 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우리측 대표단과 관련,정부 당국자는 “경제,사회·문화등 전반적인 대북정책 부처로 이뤄질 것”이라고 밝혀 재정경제부와 문화관광부,국방부,통일부등이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수석대표는 남북간 현안을 총괄적으로 다루는 회담인 만큼 대북정책을 총괄하는 부처에서 맡게 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다.남북관계 주무부처인통일부 박재규(朴在圭)장관이 유력하다. 일각에서는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을사실상 입안해 추진하고 있으면서 남북정상회담의 산파역을 맡았던 임동원(林東源)국가정보원장도 거론된다.
수석대표가 장관급인 만큼 나머지 대표들은 차관급이나 차관보급에서 결정될 것으로 보인다.엄낙용(嚴洛鎔)재경부차관과 김순규(金順珪)문화부차관,박용옥(朴庸玉)국방부차관,김보현(金保鉉) 국정원 3차장 등이 거론된다.
남측은 대북 제안의 공식성을 높이기 위해 이한동(李漢東)국무총리가 홍성남(洪成南)내각총리 앞으로 서한을 보냈다.그러나 실제 북측 대표에는 조선아시아태평양평화위원회 멤버가 다수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수석대표로는아태평화위 김용순 위원장이 유력하며,송호경 부위원장도 거론된다.대표로는이종혁,전금철 부위원장 등이 오르내린다.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