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산안 계수조정 거의 마무리
정부가 지난 10월2일 국회에 승인을 요청한 새해 예산안에 대해 여야가 25일 삭감 및 증액 내역을 대부분 확정했다.예산안이 국회를 통과해야 하는 법정시한(12월2일)에서 23일이나 지난 시점이다.
여야 합의의 요지는 불요불급한 분야에 배정된 예산을 깎아 그 돈으로 사회간접자본(SOC) 투자와 농어가부채 지원 등 시급한 분야의 예산을 늘렸다는 것이다.총 2조6,000억원을 깎고,1조8,000억원을 늘렸다.순(純)삭감액은 8,000억원이다.
■무엇을 깎았나 국정홍보처 홍보비와 제2건국위 예산을 각각 20억원과 10억원 줄였다.일반예비비와 재해대책예비비도 각각 1,200억여원,7,000억여원 깎았다.특히 여당이 난색을 표명했던 새만금 간척사업(정부안 1,134억원)과 호남선 전철화사업(〃 665억원) 등 호남 지역사업 예산도 각각 61억여원,100억여원 삭감됐다.
그러나 한나라당이 집중 ‘타겟’으로 삼았던 3대 삭감 대상 가운데호남 지역사업 예산 외 나머지 2개는 삭감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우선 사상 첫 삭감을 시도했던 국정원 특수활동비는 결국 손을 대지못했다. 대신 경찰 등 다른 기관의 특수활동비를 70억여원 줄이는 선에서 합의가 이뤄졌다.그러나 70억여원은 순수하게 삭감되는 게 아니라 업무추진비로 명목만 전환된다.업무추진비는 사용내역에 대한 감사가 특수활동비보다 철저하다.
한나라당이 가장 심혈을 기울였던 남북협력기금의 삭감도 민주당의완강한 반대로 결국 정부안(5,000억원)대로 합의됐다.특히 한나라당입장에선 통일외교통상위에서 의결한 내용(1,500억원 삭감)보다 오히려 후퇴한 결과여서 ‘장사’를 제대로 못한 셈이 됐다.
■무엇을 늘렸나 SOC투자 예산을 8,000억원 이상 증액했다.여야는 이돈으로 투자를 확대함으로써 일자리 창출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한편에서는 투자 대상의 상당 부분이 영남지역에 치우쳐 있다는 관측과함께 결국 또 다른 지역 편중 예산이 아니냐는 지적도 있다. 농어가부채 지원용으로 7,200억여원,저소득층 지원 예산으로 1,000억여원을늘렸다.
■졸속 심사 비판 여야는 예산안 계수조정소위를 가동한 지 무려 1주일 동안 총 삭감 규모를 놓고 대립하면서 시간을 허비했다.이 때문에불과 이틀 만에 세부 삭감·증액내역을 합의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한나라당은 처음에 정부 원안의 무려 10%에 달하는 10조여원의 삭감을 주장하다가 결국 ‘8,000억원 순삭감’으로 주저앉는 비현실적인태도를 보였다.그러나 SOC 투자사업 증액분까지 합쳐 실제 삭감액이2조6,000억여원에 이른다는 점에서 “한나라당이 그나마 그렇게 했기때문에 정부로 하여금 허리띠를 졸라 매게 할 수 있었다”는 평가도있다.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