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상연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 홍희경
    2025-09-03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7,101
  • 4·13총선 1돌/ 장성민·원희룡의원의 자평

    “정치개혁을 염원하는 국민의 기대에 미치지 못해 송구스런 마음을 금할 길이 없습니다” 여야의 대표적 386세대 초선의원인 민주당 장성민(張誠珉)의원과 한나라당 원희룡(元喜龍)의원은 13일 지난 1년 동안의 의정활동에 대해 입을 모아 뼈저린 ‘반성’의 변을내놓았다. ■반성 장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국정치의 약동하는 희망을 상징했던 386 정치인들은 정치판의 썩은 피를 정화하기는커녕,오히려 기성 정치권에 순치돼 있지 않은지 심각하게 자문해 봐야 한다”고 ‘고해성사’를 했다.그는 “기성 정치권의 높은 벽이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면죄부일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원 의원도 “지난해 4·13총선에서 ‘바꿔’ 열풍으로 대거 국회에 진출한 초선의원들이 기대에 못미친 게 사실”이라고 솔직하게 털어놨다. ■불만 두 사람은 그러나 기성 정치권이 수적 우위와 기득권을 무기로 개혁을 거부한 것은 비판받아 마땅하다는 지적을 잊지 않았다.특히 총재나 대표 등 1인 지배체제가 정치개혁을 가로막는 근본 원인이라는 시각을 나타냈다.장 의원은 “기성 정치인들이 당론이라는 명분으로 개혁세력의 발목을 잡고,의원 개개인의 자율성을 억누르고 있다”고 비판했다.원 의원도 “정치 지도자가 자신의 정치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원들을 동원하는 행태가 개혁을 막는 가장 큰 원인”이라며 ‘총재 1인 지배구조’에화살을 돌렸다. 장 의원은 특히 “기성 정치인들이 초선을 길들이려는 의도로 ‘왕따’(집단 따돌림)를 놓거나 골프 등으로 회유하는 등 구태를 보이기도 한다”고 꼬집었다. ■희망 원 의원은 하지만 “나름대로 노력한 결과,당 지도부의 일방통행식 밀어붙이기가 쉽게 통하지 않게 된 것은고무적인 변화”라고 자평했다. 장 의원도 “원내 개혁세력의 활동을 담보하기 위한 제도적 인프라 구축 차원에서 교섭단체 구성기준을 10석 이하로 대폭 완화하는 국회법 개정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말했다. 김상연기자 carlos@
  • 한나라당 내 보·혁 갈등이 다시 심화

    잠복하는 듯했던 한나라당 내 보·혁 갈등이 다시 심화되고 있다.당내 대표적 보수파인 김용갑(金容甲)의원 등이 진보성향의 김원웅(金元雄)의원 징계 건의안을 당 지도부에제출하자,김 의원이 강력 반발했기 때문이다. ■마주 달리는 보·혁 지난 9일 김용갑 의원 등 보수파들이 ‘보수 단결’의 깃발 아래 모임 결성을 꾀하려 하는 것으로 알려지자,김원웅 의원은 자신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보수를 위장한 수구의 준동을 묵과할 수 없다”고 직격탄을날렸다.보수진영 의원들은 이후 몇 차례 회합을 통해 김 의원의 발언이 매우 모욕적이라는 데 의견을 모으고 11일 오후 징계 건의안을 지도부에 전달했다. 앞서 김원웅 의원은 10일 이회창(李會昌) 총재 등 지도부로부터 “당의 단합을 위해 사과하라”는 설득을 받고 김용갑의원을 찾아가 “모욕의 뜻은 없었다”고 해명한 것으로알려졌으나,김용갑 의원등은 결국 징계안 제출을 강행한 것이다. ■곤혹스런 지도부 이 총재는 사태가 불거진 12일 “큰 집안에서 이런 저런 일이 다 있는 거지 뭐.잘 될 것”이라며애써 대수롭지 않다는 반응을 보였다.현재로선 징계를 실행할 의사가 없다는 뜻으로 해석된다.하지만 이 총재로서는자신의 적극적인 진화 노력에도 불구하고 보수와 진보 진영의 갈등이 잦아들지 않고 있다는 데 대해 무척 곤혹스러운눈치다. 김상연기자 carlos@. **김원웅 의원·김용갑 의원의 입장. *김원웅 의원 입장. 김원웅 의원은 12일 김용갑 의원 등이 징계안을 제출했다는 소식에 “웃기는 사람들”이라는 반응과 함께 “이는 개혁세력 죽이기”라고 목소리를 높였다.이날 오전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을 항의하기 위해 일본으로 출국하기 직전 기자와 만난 김 의원은 매우 격앙돼 있었다. ■징계안이 제출됐다는데 이념이 다르면 토론을 요구해야지사과를 요구하는 것은 말이 안된다.건의안 내용 중 내가부시 행정부의 대한반도 정책을 비난한 사실도 포함됐다는데,누구 맘대로 한나라당의 정체성을 ‘보수’로 단정짓는가. ■김용갑 의원에게 사과했나 이회창 총재가 당의 단합을 위해 양보하라고 해서 정치 후배로서 사과한 것이다. ■보수진영에서는 공개사과를 요구하는 것 같다 그야말로권위주의적·군사정권식 발상이다.내 발언에 문제점은 없다. *김용갑 의원 입장. 김용갑 의원은 12일 “김원웅 의원은 동료 의원의 명예를심하게 훼손,징계받아야 마땅하다”고 강조했다.하지만 “징계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으면 어떻게 할 거냐”는 질문에는 즉답을 회피,정치적 효과를 노린 제스처 같다는 인상을 풍겼다. ■징계 사유가 되나 물론이다.동료 의원을 독버섯이니,친일파니 하며 모욕한 것은 분명 해당 행위다. ■징계 건의안에 김원웅 의원이 부시 행정부의 한반도 정책을 비난한 내용 등도 포함됐는데,이념적 견해차도 징계 사유가 되나 그는 당이 어떤 사안에 대해 공식 입장을 내놓은직후 반박하는 견해를 수차례 밝혔다.이는 해당 행위다. ■김원웅 의원이 사과했음에도 불구,징계 건의안을 낸 이유는 나 개인이 사과를 받고 말고의 차원이 아니다.우리 당의많은 의원들이 모욕을 당했다. 김상연기자
  • 교육부 “교원정년 62세 고수”

    한완상(韓完相) 교육부총리는 11일 민주당·자민련과 당정회의를 갖고 교원 정년을 62세로 유지할 방침임을 밝혔다. 현재 한나라당은 65세로 정년을 환원하고,자민련은 63세로1년 연장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한 부총리는 올해 부족한 정규교사 2,337명은 기간제교사를 활용하고,교과전담교사의 학급담당교사 전환에 따른 교사 부족은 강사로 충당하며,벽지에 근무하는 교사에게는 임용시험 때 가산점을 줄 방침이라고 밝혔다. 당정은 국립대 시간강사의 1시간당 강의료를 2만3,000원에서 내년 3만원으로 인상하고, 사립대에도 시간강사 처우를개선하도록 독려하기로 했다.또 시간강사에 대한 처우를 대학평가지표로 중점 활용하기로 했다. 김상연기자 carlos@
  • 국회 동의안 의결/ 추곡수매가 4%인상

    국회는 11일 본회의에서 올 추·하곡 수매가를 지난해보다 4% 인상하는 내용의 동의안을 수정 의결했다.이에 따라올 추곡의 경우 수매량은 82만 8,000t(575만3,000석)이며,수매가는 벼 1가마(40kg)당 6만440원으로 지난해 5만8,120원에서 2,320원이 오른다. 농림부 관계자는 “올 추곡가 인상률은 지난해 인상률 5. 5%보다는 낮지만,올해 도입된 논농업직불제(ha당 25만원)에 따른 수매가 인상효과(2.3%)를 감안하면 실질적으로 6. 3%가 오르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상연기자 carlos@
  • 한나라 보·혁 갈등 일단 물밑 잠복

    ◇최병렬의원. 한나라당 보수 성향 의원 모임의 좌장격인 최병렬(崔秉烈)부총재는 10일 “모임에 이념적 색채는 없다”며 당 안팎의 보(保)·혁(革) 갈등 시각을 부인했다.그는 “보수 성향 의원 모임에서 국가보안법 처리문제 등 이념문제를 논의한 적이 없다”면서 “당 일각의 무분별한 개헌론에 제동을 걸기 위해 만났을 뿐”이라고 해명했다. 최 부총재는 그러나 보·혁 갈등의 쟁점으로 부각된 국가보안법 처리에 대해 “미래연대 등 개혁 성향 의원들이 일방적으로 개정안을 제출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분명히 선을 그었다.이는 개인 의견과 당론은 구분돼야 하고,어느 사안이든 확정된 당론에 따르는 것이 당인의 도리라는 당 지도부의 공식 견해와도 같은 맥락이다. 그가 이념적 갈등 조짐에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은 보수 성향 인사들의 모임이 예상밖으로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는 판단 때문이다. 그는 이날 보수 성향 의원들의 2차 모임을 무조건 연기한것과 관련,“지난 4일 1차 모임 뒤 일부 언론이 마치 이회창(李會昌)총재의 사주를 받은당내 인사들이 진보세력이나 비주류의 목소리를 억누르는 듯한 해석을 내놓는 것에충격을 받았다”고 배경을 밝혔다.그러면서 “원치 않는결과가 나올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박찬구기자. ◇원희룡의원. 한나라당 진보 성향 초·재선 의원 모임인 ‘미래연대’의 원희룡(元喜龍)의원은 10일 기자회견을 갖고 독자적 국가보안법 개정안 제출 의사를 일단 거둬들였다. 원 의원은 그러나 “국가보안법 개정 방침을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며 소신을 굽히지 않았다.국가보안법 개정의공론화 시기에 대해서도 “너무 시간을 끄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못박았다. 이어 “여야 진보 성향 의원 모임인 ‘정치개혁을 위한의원 모임(정개모)’의 개정 추진은 ‘미래연대’의 방침과 별개”라고 말해 ‘정개모’를 중심으로 국가보안법 개정을 추진할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원 의원은 이날 “국가보안법 개정안을 당론과 상관없이단독으로 만들어 국회에 제출하기로 했던 방침을 바꿔 개정안 초안을 지도부에 제출해 공론화작업을 거치기로 했다”고밝혔다.이는 지난 8일 보수 성향 의원들과 격론을 벌인 뒤 방향이 수정된 것이어서 지도부의 압력이 작용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으나 원 의원은 이를 부인했다. 그러면서도 미래연대의 입장 선회가 “당의 분열을 막기위해 노력했다”는 ‘명분 쌓기’라는 점을 굳이 부인하지 않았다.‘나중에 당이 개정 방침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어떻게 하겠느냐’는 질문에도 “정치는 변화하는 것이므로그때 가서 결정하겠다”고 여운을 남겼다. 김상연기자
  • 野, 신임각료‘전력들추기’공세

    이번 임시국회를 ‘3·26 개각’으로 입각한 각료들의 인사청문회로 삼겠다고 별러 온 한나라당은 10일 대정부질문에서 신임 장관들의 전력을 들먹이며 공세를 취했다. 한나라당 강인섭(姜仁燮)의원은 임동원(林東源)통일부장관에게 “일본 아사히(朝日)신문이 발행하는 시사주간지‘사피오’는 성균관대 교수의 말을 인용,‘임 장관은 고교를 졸업한 뒤 김일성(金日成)종합대에 입학,6·25가 발발하자 인민군에 입대했다’고 적고 있다”며 사실 여부를 물었다. 또 임 장관이 지난 90년 10월 남북 고위급회담 2차회의때 평양에서 북한의 누이와 상봉한 사실을 지적하며 “혹시북한이 누이를 인질로 이용하려 하지 않았는가”라고 물었다. 이에 대해 임 장관은 “지난 50년 12월 국민방위군에 입대했으며 국민방위군이 해체된 뒤 2년 동안 미군부대에서군속으로 근무한 뒤 52년 가을 육사에 응시해 합격했다”고 밝혔다.또 “‘사피오’의 기사는 사실과 다르며 누이의 인질 이용 운운은 있을 수 없다”고 반박했다. 한나라당 맹형규(孟亨奎)의원은 “보도에 따르면 김동신(金東信)국방부장관은 송환 직전의 비전향 장기수에게 꽃다발을 건넨 사실 때문에 군 통수 능력에 대한 의구심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김 장관은 “북으로 가면 국군포로 송환을 위해노력해달라는 차원에서 화환을 전달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김상연기자 carlos@
  • “”이총재 대선 비관적… 새 대안 모색””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의원이 10일 “이회창(李會昌)총재가 대통령이 됐을 때 과연 정치 발전에 도움이 되겠느냐”며 “우리 당은 이 총재에게 대권 후보 자격을 준 적이없다”고 말해 당내 파문이 예상된다. 김 의원은 이날 인터넷신문 ‘오마이뉴스’에 실린 인터뷰에서 “이 총재 개인 때문에 우리 당이 불행해져서는 안된다”며 “따라서 방법은 이 총재에게 회초리를 들어 정신을 차리게 하거나 비주류가 힘을 모아 새 대안을 만드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 총재의 대선 당선 가능성은 비관적이며 새 대안을 만들기 위해 비주류 중진들과 힘을 모으고 있다”며 “이 총재는 극우 보수적으로 당을 이끌고 있으며 변화를 기피하고 두려워한다”고 비난했다. 김 의원은 “올해 말까지 개헌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예의 개헌론을 역설한 뒤 “당 지도부가 제기하는 ‘음모론’은 현실성이 없으며 개헌을 반대하기 위한 억지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이에 대해 이 총재의 한 측근은 “자꾸 반응을 보일수록 그 같은 이야기를 더 하는 경향이 짙다”며 “대꾸할 가치를 전혀 느끼지 못한다”고 일축했다. 김상연기자
  • 한나라 보혁갈등 ‘어설픈 봉합’

    세력 대 세력의 대립양상으로 치닫던 한나라당내 보(保)·혁(革) 갈등이 9일 진정국면을 맞았다.당내 보수성향 의원들이 10일로 예정했던 모임을 전격 취소한 것이다. 모임을 주도했던 김용갑(金容甲) 김영일(金榮馹) 김기춘(金淇春) 의원 등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긴급 모임을 갖고“보수의원 모임이 국가보안법 개정을 둘러싼 당의 내분으로 비치는 것은 곤란하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10일 예정한 모임을 무기연기했다고 김용갑 의원이 전했다. 김 의원은 “보수의원 모임은 정치권에서 제기되는 개헌론에 말려가서는 안된다는 취지에서 계획됐던 것”이라며“그러나 이런 의도와 달리 보·혁 갈등으로 비쳐지고 있어 파문이 확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모임을 취소했다”고밝혔다.이와 별도로 보수성향의 최병렬(崔秉烈)부총재와진보세력의 원희룡(元喜龍) 의원도 이날 오후 공동기자회견을 갖고 “보수와 진보 진영이 충돌한다는 얘기는 와전된 것”이라며 진화를 시도했다. 양측이 이처럼 극한대립을 피하려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세력화 양상을 띠던 보·혁 갈등은 일단 수면 밑으로 잠복할 전망이다.그러나 현안인 보안법 개정에 있어서 양측은여전히 시각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어 갈등이 또다시 표면화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앞서 김용갑·정형근(鄭亨根)·김기춘 의원 등 보수성향 의원들과 진보성향의 초·재선 의원 모임인 ‘미래연대’의 김부겸(金富謙)·남경필(南景弼)·원희룡·안영근(安泳根)의원 등의 8일 회동이이를 말해준다. 보안법 개정 문제를 논의한 이 자리에서양측은 한치의 양보 없이 팽팽한 설전을 전개한 끝에 고성이 오가는 험악한 분위기를 연출했다. 특히 진보성향의 이부영(李富榮)부총재는 민주당 조순형(趙舜衡)의원 등 중진들과 손잡고 여야의 진보성향 의원 모임인 ‘정치개혁을 위한 의원모임’을 확대,범 진보권 모임을 다음달 중 출범시킬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이날 봉합에도 불구하고 보·혁 갈등의 긴장감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김상연기자 carlos@
  • 김대통령 “개헌논의 적절치 않다” 민생국회 강조

    민주당 김중권(金重權)대표는 8일 “현재 진행되고 있는개헌 논의는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뜻”이라고 밝혀 정치권의 현안인 개헌론이 중대 고비를 맞을 전망이다. 김 대표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김 대통령은 (지난 6일주례보고에서) ‘4월 국회는 민생과 개혁법안이 중요하다. 정치국회가 안 되도록 하라’고 말씀하시면서 민생국회를특히 강조하셨다”고 지적한 뒤 “이는 지금은 개헌을 논의하기에 적절하지 않다는 뜻”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개헌을 주장하고 있는 당내 최고위원들을 단속할 필요가 있지 않느냐’는 물음에 “최고위원들은 아직김 대통령의 입장을 전달받지 못했다”며 “당 사무총장이대통령의 입장을 전달할 것”이라고 답변했다. 김 대표는 이어 “국회 대정부질문에서도 개헌문제에 대한질의가 나오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앞서 MBC는 7일 전체 국회의원의 93%에 해당하는 254명을 대상으로 지난 5일부터 사흘간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9.6%에 해당하는 126명이 이번 대통령 임기내 개헌에 반대한다고 밝혔다고 보도했다.개헌에 찬성한 의원은 106명으로 41.7%였다. 이춘규 김상연기자 taein@
  • “기자 계좌조사 한적 없다”

    이한동(李漢東)국무총리는 8일 “기업경영과 무관한 취재기자와 취재·보도·편집 간부에 대해 지금까지 금융계좌조사를 실시한 적이 전혀 없다”고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언론사 세무조사에 관한 한나라당 박종웅(朴鍾雄)의원의 서면 질의에 대해 서면 답변을 통해 “이번세무조사는 절차나 방법,내용에 있어서 통상적인 조사 절차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고 박 의원이 전했다. 이 총리는 “정부가 추진 중인 신문고시에는 법상 근거 없는 신문사의 경영활동 간섭 규정을 담고 있지 않다”며 “특히 공정위가 법적 근거 없이 사회적 영향력이 큰 신문사의 경영에 간섭하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신문발행부수공사(ABC)제도와 관련,“조기 정착은 바람직하지만 정부가 관여하는 것은 언론의 자율성을 침해할우려가 있다는 비판도 있는 만큼 광고계와 언론사가 자율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덧붙였다. 김상연기자 carlos@
  • 이총재 “체력은 정치력”

    주말에 외출을 잘 하지 않는 편인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 총재가 이례적으로 지난 토·일요일 골프장과 마라톤코스를 잇따라 찾았다. [골프 회동] 이 총재는 지난 7일 경기도 곤지암골프장에서한국신당 김용환(金龍煥) 대표,무소속 강창희(姜昌熙) 의원과 라운딩을 함께했다.두 사람은 모두 자민련에서 김종필(金鍾泌) 명예총재에게 반기를 들고 탈당한 데다,민주·자민·민국당 3당 연정이 성사된 뒤 회동이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관심을 끌었다. 김 대표는 한나라당 입당설에 대해 “너무 지나친 추측”이라고 부인했다.강 의원도 “민주당 김중권(金重權) 대표나 JP가 부르면 갔을 텐데,이 총재가 먼저 불러서 왔다”라고 ‘원론적’으로 답했다.이 총재 역시 “김 대표를 존경해서 모시게 됐을 뿐”이라고만 말했다. 함께 라운딩한 한나라당 강재섭(姜在涉) 부총재도 “드라이버도 치지 않았는데 어프로치까지 하느냐”며 성급한 해석을 경계했다.하지만 강 부총재의 말에서는 이 총재가 두사람에게 공을 들이는 듯한 분위기가 묻어났다. 김 대표와 강 의원은서울 강남의 음식점에서 저녁을 함께하면서 이 총재에게 “여권의 이 총재를 흠집내는 말에 일일이 싸우지 말고 대범하게 대응했으면 한다”고 말했다.이총재는 “김대중(金大中) 대통령과 민주당에게 날카롭게 한점을 인정한다.앞으로는 포용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답했다. [마라톤 참가] 이 총재는 8일에는 제1회 한·일 마라톤대회가 열린 충북 충주를 방문,선수들을 격려한 뒤 5㎞ 미니코스 중 일부 구간을 달렸다. 이 총재는 열흘 전인 지난달 29일에는 청주를 방문한 적이있어, 그가 충북지역에 큰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는 분석이나왔다. 김상연기자 carlos@
  • 민국당 장기표 최고위원 사퇴

    민국당 장기표(張琪杓) 최고위원은 4일 민주당·자민련과의 3당 정책연합이 당론으로 확정된 데 반발해 최고위원직을 사퇴했다. 김상연기자 carlos@
  • “이총재 王 된다” 찬양 발언 빈축

    한나라당 조정무(曺正茂)의원이 4일 자기 지역구인 경기남양주시 진접읍 장현리에서 열린 식목행사에서 이회창(李會昌)총재를 왕(王)으로 ‘찬양’하는 등 시대착오적 발언을 해 빈축을 사고 있다. 조 의원은 지난달 기자회견을 자청한 뒤 이 총재의 독단적당 운영을 강하게 비난한 인물. 이 때문에 정치적 일관성이전혀 없이 이해관계에 따라 수시로 소신을 바꾼다는 지적이다. 그는 “남양주에는 임금이 머물다 갔다는 ‘왕숙천(王宿川)’,조선 태조가 8일 밤을 지냈다는 ‘팔야리(八夜里)’ 등왕과 관련된 지명이 많다”며 “내년이면 이 총재가 이 나라의 왕이 된다”고 말했다. 이어 “하나님이 오늘 왕의 터에 왕이 될 이 총재를 모셨다”면서 “지금 이 나라가 혼란스럽고 고통스럽지만,내년12월이면 이 총재가 왕이 돼 이런 어려움이 말끔히 해소될것”이라고 주장했다. 이 총재는 조 의원의 발언하는 동안 줄곧 어색한 미소를지었다. 김상연기자 carlos@
  • YS 기자간담회서 “3김 연합이라니 쓸데없는 소리”일축

    김영삼(金泳三·YS) 전 대통령은 3일 대구 금호호텔에서기자간담회를 갖고 정치권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는 ‘3김연합론’에 대해 “기자들이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일축했다.‘3·26 개각’에 대해서는 “너무 형편없어 말을 안했다”고 공격했다. 개인휴대통신(PCS) 사업자 선정 관련 검찰수사에 대해 야당이 입을 닫고 있는 것과 관련,“과거와는 관계가 없는,하늘에서 떨어진 사람들이라 그렇지…”라며 극도로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YS는 그러나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박근혜(朴槿惠)부총재·김덕룡(金德龍)의원,민주당 이인제(李仁濟)최고위원과 같은 대권 주자들에 대한 평가나 개헌론,자민련김종필(金鍾泌)명예총재와의 회동 가능성 등에 대해서는“얘기 안하겠다”며 말을 극도로 아꼈다. ‘전에 이 최고위원을 호평한 적이 있지 않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작은 얘기를 기자들이 과장해서 쓴 것”이라고 한발 비켜섰다. 대구 김상연기자 carlos@
  • 김대표·이총재 어색한 ‘비행기 조우’

    민주당 김중권(金重權) 대표와 한나라당 이회창(李會昌)총재가 30일 경남 산청군 단성면 겁외사(劫外寺)에서 열린성철(性徹) 스님 생가 복원 및 겁외사 창건법회에 참석했다. 이날 아침 같은 비행기를 타고 겁외사를 찾은 두 사람은때아닌 함박눈이 내리는 법회장 맨 앞줄에 나란히 앉아 합장했다.이날은 김 대표의 취임 100일이 되는 날이기도 했다.비행기 통로에서 “반갑다” “오랜만이다”라며 간단히 인사를 나눈 두 사람은 그러나 그 뒤로 날씨 외에 별다른 대화를 나누지 않았다. 박준영(朴晙瑩) 청와대 공보수석이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축하메시지를 대독한 데 이어 단상에 오른 이 총재는“성철 큰스님은 가장 작은 말씀으로 크고 우렁찬 가르침을 주셨던 분으로 나의 삶을 항상 밝혔다”고 성철 스님을기렸다. 김 대표는 “경제 회생과 국민 화합,남북 화합을위해 불교의 사상이 가장 필요한 때가 지금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두 사람은 법회가 끝난 뒤 선원(禪院)에서 큰스님들과 점심공양을 함께 했다. 겸상을 마주하고 앉은 두 사람은 그러나일상적인 대화만짤막하게 나눴을 뿐 정치얘기는 없었다고 배석한 한나라당 함종한(咸鍾漢) 의원이 전했다.공양에 함께 한 해남 대흥사 조실(祖室) 철운 스님은 이 총재에게 “김영삼(金泳三) 전 대통령은 금융실명제로 실인심(失人心)하고,김대중대통령은 의약분업으로 실인심했는데 (이 총재는)무슨 일해서 실인심하시겠소”라고 묻고는 “대통령이 되거든 득인심만 하시라”고 덕담을 건넸다. 법회에 앞서 큰스님 7명은 이 총재를 선방으로 불러 지난1월 정대(正大) 조계종 총무원장이 이 총재를 비난한 데대해 얘기를 나눴다.조계종 원로위원인 성수(性壽)스님은“정대 스님 얘기를 고깝게 들으셨소.보복정치를 막고 상생의 정치를 하라는 뜻이니 총재께서 넉넉히 생각하시오”라고 다독였다.이에 이 총재는 “제가 부족해서 그렇습니다.오해하게끔 한 제 잘못이 큽니다”라고 화답했다.이날정대 스님은 선약을 이유로 불참했다.이 총재 때문이냐는질문에 총무원측은 “이 총재 참석이 결정되기 전에 정대스님 불참이 결정됐다”고 밝혔다. 법회가 끝난 뒤 김 대표는 시지부 후원회 참석을 위해 대전으로,이 총재는 대구·경북지역의 한나라당 시·도의원간담회에 참석하기 위해 대구로 향했다.대구 파크호텔에서열린 간담회에서 이 총재는 “강한 야당이 되기 위해 단단히 뭉쳐야 한다”며 민주당의 ‘강한 여당론’에 맞서‘강한 야당론’을 주창했다. 이 총재는 “우리가 민심을 대변하면 어떤 정권이 감히 무시할 수 있겠느냐”며 “대통령과 여당이 무시하지 못하게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한편 이날 법회에는 여야정치인 50여명이 참석했다. 산청 이종락 김상연기자 jrlee@
  • 의사진찰·처방료 통합

    항생제와 주사제를 남용하는 의료기관의 명단이 공개되고,5월부터 의사의 진찰료와 처방료가 통합된다.또 중장기적으로 목적세인 건강증진세(가칭)도입이 검토되고있으나 재경부가 반대하고 있어 최종 도입 여부는 불투명하다. 보건복지부는 28일 “재정위기를 맞고 있는 국민건강보험재정안정을 위해 국고지원금을 조기 배정받고, 필요할 경우 금융기관으로부터 차입해서라도 재정이 고갈되는 일은발생하지 않도록하겠다”면서 이같은 내용을 골자로한 1차재정안정대책을 발표했다. 복지부 대책에 따르면 국민의 알권리 차원에서 항생제 사용빈도에 따라 의료기관을 7등급으로 분류,언론에 공개하는 ‘항생제사용 적정성 평가제도’가 도입된다.항생제를과다 사용했을 경우 보험급여비를 최고 5%까지 삭감할 수있다.주사제의 경우 의약분업 제외 여부에 관계없이 약품보관료를 뺀 처방료와 조제료를 모두 삭제하고,주사제 사용률이 높은 의료기관은 공개할 방침이다. 복지부는 이날 발표한 대책 외에 진료 및 조제건수를 제한하는 ‘차등수가제’,종합병원을 이용하는 환자들에 한해 소액진료비를 부담토록하는 ‘소액진료 본인부담제’등의 도입을 검토하고 있으며 외부기관에 용역을 의뢰한 것으로 알려졌다.이를 포함,보험료 인상폭,국고지원 규모 등종합대책을 오는 5월 발표할 예정이다. 강동형 김상연기자 yunbin@
  • 국회 보건복지위 표정

    28일 열린 국회 보건복지위 전체회의에서 여야 의원들은건강보험 재정위기 해소를 위한 다양한 제안을 내놓았다. 김원길(金元吉)장관이 신임인 데다 동료 의원인 점을 감안한 듯 여야 의원들은 질책보다 “앞으로 잘하라”는 격려를 많이 했다. 여야 의원들은 의보수가 인하 여부에 대해서는 다소 이견을 보였으나 보험료 인상과 국고보조금 확대에는 대체로긍정적 견해를 나타냈다. 민주당 김태홍(金泰弘)의원은 “진료비 지출은 연평균 18.5% 증가했으나 보험료 수입은 14.4%에 불과해 적자폭이확대될 수밖에 없었다”며 “병원의 원가분석을 토대로 수가수준을 조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김홍신(金洪信)의원은 “국가는 지역보험 국고지원을 50%로 올리고 국민은 보험료 인상을 감수해야 하며의약계도 수가인하로 고통을 나눠져야 한다”고 정부 ·국민·의약계 3자의 고통분담을 촉구했다.술·담배·골프장·회원제 헬스클럽 등에 건강보험기금을 부과하는 방안도제안했다. 같은 당 최영희(崔榮熙)의원은 “요양취급기관의 진료비부당청구를 근절하기 위해 ‘부당청구 삼진아웃제’를 도입해 등록취소와 면허취소 등 강력한 제재조치를 강구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김 장관은 “여러 제안들을 두루 검토한 뒤 5월 종합대책을 내놓겠다”고 답변했다. 한편 김 장관은 한나라당 심재철(沈在哲)의원이 “건강보험재정 파탄의 책임을 물어 대통령의 친인척인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서재희 원장을 사퇴시켜야 한다”고 추궁하자 단호한 어조로 “내게 맡겨달라”고 답해 서 원장을 경질할것이란 관측을 불렀다. 김상연기자 carlos@
  • 3·26 개각/ 정치권 반응

    “나눠먹기식 땜질 개각”(한나라당),“책임정치가 기대된다”(민주당),“공동정권의 정신을 살렸다”(자민련),“우리 당의 국정 참여가 본격화됐다”(민국당) 26일 개각에 대해 한나라당은 혹평을,민주당·자민련·민국당 등 3당은 호평을 했다. ■한나라당 “한국정치사 최대의 개악”이라고 혹평했다. 특히 내각 총사퇴를 요구했음에도 이한동(李漢東)총리가유임된 데다 한빛은행 불법 대출사건과 관련해 물러났던박지원(朴智元)전 문화관광부장관이 재기용된 것을 강력히성토했다. 이회창(李會昌)총재는 “총리 해임 건의안을 국회에 제출해 표결처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권철현(權哲賢)대변인은 “이 총리의 유임은 총체적 국정혼란을 인정치 않겠다는 것이고, 민국당에 장관직을 배정한 것은 야당 포위전략을 통해 정계개편을 밀어붙이겠다는뜻”이라고 비난했다. 특히 “박지원씨의 재기용은 최악의자충수이고, 임동원(林東源)씨의 통일부장관 기용은 대북정책에 대한 우려를 무시한 오기정치의 전형”이라고 혹평했다. 한나라당 관계자들은 그러나 민주당김영환(金榮煥)대변인의 입각에 대해서는 “전혀 의외”라면서 놀라움을 감추지 못했다. ■민주당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후반기 개혁작업이 가속화할 것으로 기대했다.김중권(金重權)대표는 “정치인들의입각 희망이 많이 반영됐다”면서 “정치인들은 민심을 제대로 읽고 책임정치를 구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정쇄신의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자민련 소속 의원 3명이 입각하자 “공동정권의 정신을살린 합리적이고 개혁적인 개각”이라며 반겼다.TV를 지켜보던 김종호(金宗鎬)총재권한대행은 “앞으로 자민련에 좋은 일만 있을 것”이라며 웃었고 곁에 있던 당직자들도 박수로 환호했다. ■민국당 한승수(韓昇洙)의원의 입각을 여권과의 연정이본격화한 것으로 해석했다.김윤환(金潤煥)대표는 “한 의원의 입각은 연정의 연장선상에서 봐야 한다”고 말했다. 김상연기자 carlos@
  • 개헌론 정치권 화두로 급부상

    개헌론을 둘러싼 정치권의 움직임이 심상찮다.한나라당내일부 비주류 중진들이 ‘정·부통령,4년 중임제’ 개헌을주장하자,민주당 지도부가 이에 화답하듯 발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 김덕룡(金德龍) 의원에 이어 영남권 비주류인 박근혜(朴槿惠) 부총재가 25일 기자와의 전화통화에서논의용의를 밝혀 개헌론이 정치권의 본격 화두로 급부상하는 양상이다.이에 따라 여야 중진간 물밑접촉도 활발해지고있다. 민주당 김근태(金槿泰) 최고위원은 한나라당 김 의원이 지난 22일 “개헌논의를 위해 여권인사와도 만나겠다”고 언급한 것과 관련,“제의만 오면 언제든 만나겠다”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김 최고위원은 “현 대통령 임기내에 반드시 정·부통령,4년 중임제 개헌이 이뤄져야 한다”며 긍정적인 입장을 보였다.김 의원이 최근 민주당 정균환(鄭均桓) 총재특보단장과 회동한 사실도 확인됐다. 민주당 이상수(李相洙) 총무는 “개헌논의가 올 하반기부터 본격화할 것”이라며 “정·부통령 중임제는 지역감정을완화하고, 대통령의 조기 레임덕현상을 막을 수 있다”고개헌론에 적극 가세했다. 주목할 점은 이회창(李會昌) 총재의 당 운영방식에 불만을피력해온 이부영(李富榮) 부총재, 손학규(孫鶴圭) 의원 등한나라당 비주류 인사들과 민주당 김 최고위원간 접촉이 부쩍 잦아졌다는 것이다. 때문에 정치권 주변에서는 여야를 망라한 개혁파 중진이내년 대선을 앞두고 정계개편의 불씨 역할을 할 것이라는전망이 설득력있게 나돌고 있다.한나라당내에 ‘개혁신당’의 출현 가능성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기류가 감지되는 것도같은 맥락이다. 이 총재는 오는 28,29일쯤 민생과 정국현안관련 기자간담회나 당내 행사,외부 강연 등을 통해 “현 시기에 개헌논의는 부적절하다”는 견해를 피력하는 등 개헌론의 확산에 제동을 걸기로 했다. 하지만 김 의원도 28일 기자간담회에 이어 3월말∼4월초 4,5차례 특강을 통해 소신을 밝힐 예정이어서 향후 추이가 주목된다. 박찬구 김상연기자 ckpark@
  • 민국당 전당대회 이모저모

    23일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민국당 전당대회는 김윤환(金潤煥)대표의 재신임을 묻는 투표 과정에서 대리투표논란이 빚어지는 등 한때 파행으로 치달았다.투표가 30∼40% 진행된 상태에서 김대표의 신임에 반대하는 쪽이 대리투표 의혹을 제기하면서 고성과 야유가 오갔다. 김대표측과 장기표(張琪杓)·이기택(李基澤)최고위원 등민주당·자민련과의 연정에 반대하는 쪽은 투표에 앞서 소견발표에서부터 맞섰다.김대표측은 “2석밖에 안되는 군소정당으로서 연정이 불가피하다”고 호소한 반면,반대파는“연정은 여권의 3중대화(化)”라고 주장했다. 투표 결과,김대표가 대표로 재신임되면 그가 주창한 민주당,자민련과의 연정(聯政)이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민국당의 2석이 합류할 경우 여권은 과반(137석)을 확보,국회 운영에 큰 힘을 얻게 되기 때문이다.합당이 아닌 3당 연정은우리 정치사에 처음 있는 일이다. 연정이 주목을 끄는 부분은 장기적으로 정계개편의 토대로 작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김상연기자 carlos@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