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3월 全大’ 주자 움직임
민주당의 ‘당 쇄신 특대위’가 ‘내년 3월 전대론’을확정,대선후보 선출이 불과 3개월 앞으로 다가옴에 따라당내 대선 예비주자들의 발걸음이 빨라졌다.
표면적으로는 한화갑(韓和甲)고문 등 일부가 전대 시기등을 놓고 여전히 반발하고 있으나,이면에서는 벌써부터치열한 ‘수 읽기’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다.특히 이번 경선에서는 일반국민이 투표에 참여하고,당권·대권 중복출마가 금지되는 등 새 제도가 대폭 도입돼 각 캠프의 선거전략도 매우 복잡해지고 있다는 전언이다.
◆주자간 유불리=현재 각종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리고있는 대선주자들은 3월 조기 전대개최에 대해 “해볼 만하다”며 의욕을 다지고 있다.반면,대중지지도에서 열세에있는 주자들은 “지지도를 끌어올릴 시간이 촉박하다”며긴장한 표정이 역력하다.
당내외 지지도에서 선두권을 달리고 있는 이인제(李仁濟)고문측은 “3월전대 개최로 현재의 우위구도를 조기에 굳힐 수 있게 됐다”며 고무된 표정이다.그러나 한편으로는일반국민이 선거인단에 1만5,000명이나 참여하는 등 새로운제도 도입이 자칫 뜻밖의 변수로 작용할 수도 있다고보고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대중지지도에 비해 당내 기반이 취약한 노무현(盧武鉉)고문측은 국민선거인단 제도도입으로 일반여론의 지분이 늘어나자 “기회가 생겼다”며 구두끈을 죄고 있다.또 선거인단의 지역별 비례 방침도입에 따라 영남권 선거인단이 늘어난 것도 고무적인 면이다.
최근 각종 여론조사에서 3위권으로 도약한 정동영(鄭東泳)고문은 막판 ‘바람’을 기대하며 대권 출마선언 시기를저울질하고 있다.
반면,3월 전대론에 유일하게 반대하고 있는 한화갑(韓和甲)고문은 가장 어려운 처지에 놓여있는 형국이다.한고문측은 최악의 경우 당권 도전으로 방향을 선회할 가능성도타진하고 있으나,권노갑(權魯甲)전 고문 등 동교동계 구파와의 불편한 관계 때문에 승산을 장담할 수 없는 딜레마에 빠져 있다.
당내 기반이 취약한 김근태(金槿泰)고문은 ‘지방선거후전대 개최’ 주장을 접고,“후보 경선에 일반국민 참여비율을 대폭 높이자”는 주장 관철에 ‘화력’을 집중하고있다.
◆합종연횡 타진=당권·대권 분리 등 새로운 제도 도입은대권주자 사이에서 기존의 친소(親疏)관계를 깡그리 무시할 정도의 새로운 후보간 연대설도 모락모락 피어오르게하고 있다.예컨대 노무현·김근태·한화갑 고문의 3자 연대설뿐 아니라,이인제 고문이 정동영 고문 또는 김근태 고문,나아가 한화갑 고문과 연대할 수도 있다는 관측까지 나온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선두권을 다투고 있는 이 고문과 노고문,또 한화갑·김근태 고문과 동교동계 등 당권파는 연대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