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통과 예산안/ 증액 절반이 선심성 지역사업비
우려가 결국 현실로 나타났다.8일 국회에서 확정된 새해 예산안 증액 내역을 보면,각 당 의원들이 국가예산을 ‘선심성 지역사업’에 집중 배정했음을 알 수 있다.정부가 제출한 예산안 원안에는 없었는데 새로 예산을 배정하거나,정부가 편성한 예산금액에 추가로 예산을 더 배정한 경우가 200건이 넘었다.이 가운데 얼핏 살펴보더라도 특정지역에 혜택이 돌아가게 됨을 확연히알 수 있는 증액내역이 145건,4625억원에 이르는 것이다.전체 증액 규모 9860억원 가운데 절반이 ‘선심성’인 셈이다.
◆나눠먹기
의원들이 이심전심으로 자기 지역 사업에 예산을 증액 배정한 내역은 특히 일반도로와 고속도로·전철·공항·항만 등 건설사업이 101건,3906억원으로 압도적이었다.국회가 ‘사회간접자본(SOC) 투자’란 명목으로 증액한 4532억원 가운데 대부분이 실상은 지역사업이나 다름없다는 얘기다.
이들 사업이 ‘나눠먹기’ 의혹을 받는 것은 각기 다른 지역의 사업금액이 일률적으로 증액·배정된 것만 봐도 쉽게 알 수 있다.‘일반국도·지방도’증액항목의 경우,총 37개 구간 가운데 27개 구간이 똑같이 10억원씩 증액됐다.‘고속도로’도 대구∼포항,충주∼상주,청주∼상주,강릉∼동해,대전∼당진,영동∼김천 등 6개 구간이 구간길이에 상관없이 모두 50억원씩 획일적으로 증액됐다.얼핏 전국적 사업인 양 보이지만,실제로는 특정지역을 염두에둔 ‘눈 가리고 아웅’식 증액내역도 눈에 띄었다.‘생활체육공원 40억원 증액’ 항목의 경우 비고란에 작은 글씨로 ‘8개소’라는 내용이 첨부돼 있어전국적 사업이 아님을 입증했다.
◆제 밥그릇 챙기기
더욱 어처구니없는 것은 그 와중에 국회 예산을 27억여원이나 증액,의원들이 자신들의 밥 그릇은 철저히 챙겼다는 점이다.증액된 9건의 국회 예산 가운데 정부 예산안 원안에는 없는데 국회가 일방적으로 신설한 항목이 7건이나 된다.
국정감사 대비 인턴 지원경비,의정보고자료 발간경비,국제사회봉사의원연맹,아시아여성의원대회,아·태국방위원장회의,건강관리실 설계비,의사당 환경개선비 등 대부분이 불요불급한 항목들이다.
◆눈에 띄는 증액 항목
‘교원처우개선’예산으로 486억원이 증액됐는데,이는 정부안에는 없었다가 국회가 교육부의 강력한 요청으로 자체 추가한 것이다.이에 따라 내년부터 초·중·고교 담임수당이 1인당 1만원씩 오르고,초등교와 중·고등학교간 급여차가 줄게 된다.
또 국민주택기금의 ‘최초주택구입자금 지원’에 2225억원을 배정했다.
김상연 오석영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