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다른 골목에 몰린 권씨측 ‘DJ 방패’작전?
권노갑 전 민주당 고문의 측근인 이훈평 의원이 12일 “권 전 고문이 김대중(DJ) 전 대통령에게 현대측의 비자금 제의를 보고했으나,김 전 대통령이 반대했다.”고 한 발언 파장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DJ측에서 즉각 “사실무근”이라고 부인했고,이 의원은 “알고 보니 김 전 대통령이 사전에 합법적인 자금운용을 당부했고,이에 권 전 고문이 나중에 현대측의 비자금 제의가 왔을 때 거절한 것이 맞다.”고 정정했다.
그러나 권 전 고문의 변호인인 이석형 변호사는 13일 “당시 김 전 대통령이 권 전 고문에게 말한 것은 지시라기보다는 빌려서 쓰더라도 부정한 돈을 받지 말라는 일반적인 지침이었다.”고 해명성이긴 하지만 다시 DJ를 거론했다.
정치권에서는 DJ의 ‘지침’이 사전에 있었는지,사후에 내려진 것인지의 진상을 떠나 권 전 고문측이 민감한 시기에 굳이 DJ를 사건에 끌어들인 것 자체에 주목하고 있다.평소 DJ에 대한 충성심이 유별난 동교동계는 ‘나쁜 일’에 DJ가 거론되는 것 자체를 앞장서 막아 왔기 때문이다.
이 의원이 권 전 고문의결백을 강조하려고 상황을 자세히 설명하려다 보니 DJ를 거론했을 것이란 관측이 쉽게 설득력을 갖지 못하는 것은 이같은 이유에서다.일각에서는 이 의원이 무심코 실언을 한 것 같다는 해석도 나오지만,이것도 납득하긴 어렵다.발언 당시 이 의원은 자발적으로 “할 말이 있다.”고 발언대에 섰으며,사전에 준비한 메모지를 읽어 내려갔다.
이같은 정황을 들어,정치권에서는 막다른 골목에 몰린 권 전 고문측에서 의도적으로 DJ를 끌어들인 것 아니냐는 관측이 적지 않다.사건에 DJ가 연관돼 있다는 점을 은근히 검찰과 청와대,여론에 상기시켜 방패막이로 삼으려는 속셈이라는 것이다.2000년 총선 당시 대통령으로부터 직접 지침을 받았다는 사실이 부각되면 비자금을 받았더라도 ‘통치자금’으로 주장할 근거가 될 수 있다.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