南北 교과서언어 이질화 심각/전문용어등 큰 차이 번역해야 이해
최근 남북한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언어의 이질화가 아주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교육위 소속 민주당 이미경 의원이 한국어문교열기자협회와 공동으로 지난 4월부터 8월 말까지 북한 초·중·고에서 사용하는 국어·음악·수학·지리·화학·역사·도덕 등 7개 과목의 교과서를 분석한 데 따르면 문법과 한자어,외래어,전문용어 등에서 남북간 언어 차이가 매우 컸다.
예를 들어 북한 고등중학교 4학년 교과서에서 ‘제형에서 두 옆변의 가운데 점을 맺은 선분을 제형의 중간선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하는 것을,남한 고교 수학 교과서식 표현으로 바꾸면 ‘사다리꼴에서 두 측변의 이등분점을 잇는 선분을 사다리꼴의 중간선이라고 부른다.’고 적어야 한다.또 북한 고등중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의 ‘일 없어.난 오늘 물고기를 꼭 잡아야 해.못 잡으면 꽝포쟁이가 되거던…’이라는 표현을 남한식으로 바꾸면 ‘괜찮아.난 오늘 물고기를 꼭 잡아야 해.못 잡으면 허풍쟁이가 되거든…’이 된다.
이밖에 북한과 남한의 교과서에서 사용하는 단어의 현격한 차이는 전등알-백열전구,드문가스-비활성기체,세평방정리-피타고라스의 정리,불타기반응-연소반응,녀성고음-소프라노,소리표-음표,산줄기-산맥 등의 사례에서도 잘 드러난다.
특히 월프람-텅스텐,주무랑마봉-에베레스트산,시누스-사인(sine),코시누스-코사인(cosine),탕겐스-탄젠트(tangent),휘거-피겨스케이팅,뽈스까-폴란드,깔리만딴섬-보르네오섬,마쟈르-헝가리 등 외래어 사용에서도 차이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15일 “분단이 길어지면서 남북간 언어의 이질화가 갈수록 심화되고,특히 청소년들의 교과서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 심각한 상황”이라며 “언어의 동질성 회복을 위한 남북간 공동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