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 D-14] 연령·직업·학력
31일 선관위에 등록한 17대 총선 후보자의 나이를 보면,40대가 가장 많고,50대가 다음이다.40대가 50대를 앞지른 것은 인구 고령화가 본격화한 1992년 14대 총선 이후 12년 만으로 정치권의 세대교체 바람이 실제 수치로 확인된 셈이다.
이날 오후 8시까지 등록한 후보자 657명 가운데 40대는 39.3%,50대는 28.9%로,40대가 10.4%포인트나 많다.16대 총선때는 40대가 29.7%,50대는 32.2%였다.15대때는 40대 28.6%,50대 42.8%였으며,14대는 40대 12.9%,50대 43.8%였다.
60대 이상 고령 후보도 17.5%로,16대(21.8%)에 비해 줄었다.30대 이하는 14.3%로,16대(16.3%)에 비해 변동이 거의 없다.
직업별로는 역시 정치인(40.5%)과 국회의원(17.7%)이 가장 많다.16대(정치인 41.7%,국회의원 19.7%)에 비해선 소폭 줄었다.
정치권 외부인사 중에서는 변호사가 8.5%를 차지,눈길을 끈다.변호사는 13대 2.5→14대 3.3%→15대 5.8%→16대 6.1%로 정계진출 시도가 가장 많은 직업군이다.다음은 교육자(6.6%)인데,역시 정치참여 욕구가 왕성한 분야(15대 3.7%→16대 4.2%)다.
반면 약사·의사 출신은 15대 2.1%→16대 1.6%→17대 0.9%로 감소 추세다.건설업이나 상업,광공업 출신도 줄고 있다.
최근 불고 있는 여성들의 정치참여 바람에도 불구하고,실제 등록한 여성후보는 5.6%로 극히 적어 지역구에서의 양성(兩性)균형은 요원한 것으로 확인됐다.다만 16대 총선때(3.2%)에 비해서는 소폭 증가한 수치다.
정당별로는 여론조사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는 열린우리당(25.6%) 소속 후보가 가장 많고,한나라당(21.9%)이 두 번째다.민주당(11.7%)은 민주노동당(13.1%)에도 처진다.자민련은 9.1%다.무소속도 14.8%나 됐으나,16대 총선때(19.4%)보다는 적다.
학력은 역시 대졸 이상이 85.8%로 압도적이다.대학 재학생도 11명이 등록을 했다.
오후 8시 현재 후보가 가장 많이 몰린 지역구는 전북 김제완주로 경쟁률이 8대1에 이른다.최고령 후보는 강원 홍천횡성에 출마한 민주당 유재규(70)후보이며,최연소는 서울 영등포갑의 자민련 손석모(25) 후보와 전북 전주덕진의 무소속 배진일(25) 후보다.
김상연기자 carl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