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보는 중국-덩샤오핑과 가상대화] (상)성장에 지친 거인
김상연 기자는 지난달 25일부터 30일까지 중국 외교부 초청으로 베이징과 상하이, 칭다오 등 중국식 사회주의 시장경제 현장을 견학했다.1992년 남순강화(南巡講話)를 통해 개혁·개방의 기치를 들었던 덩샤오핑(鄧小平)의 족적을 되새기는 기회였다. 덩은 ‘죽의 장막’을 과감히 걷어내고 개혁·개방의 결단을 내린 지도자다. 그의 ‘설계도’에 따라 후진타오 국가주석 등 4세대 지도부를 중심으로 개혁·개방의 속도를 높여가고 있는 중국 현지에서 느낀 소감을 덩과의 가상대화 형식으로 3회에 걸쳐 연재한다. 김 기자는 10년차 기자로 외교통상부를 취재하고 있다.
덩샤오핑 기자양반, 이미 저 세상 사람이 된 이 늙은이는 뭣하러 불러냈소.
기자 개혁·개방의 현주소는 덩 선생께서 더 궁금해하실 내용 아닙니까.
덩 하긴 그렇소. 그래 무엇을 보고 느끼셨소.
기자 솔직히 말씀드리면, 실망스러웠습니다. 중국을 가리켜 ‘떠오르는 용’(김하중 주중대사의 책 이름)이니 ‘잠에서 깬 거인’이니 하기에 자못 긴장했었는데, 막상 본 중국은 아직 ‘후진국’의 인상이 강했습니다. 유서깊은 수도 베이징은 아무 특색 없는 회색 도시로 변모했더군요. 수백년 전만 해도 변방의 사신이 잔뜩 주눅이 들어 두리번거렸을 법한 거리는 개성 없이 덩치만 큰 사각형의 빌딩들이 장악하고 있었습니다. 도로는 대국(大國)답게 넓었지만, 그 위를 달리는 버스는 말 그대로 콩나물 시루였습니다. 좁은 버스에 고달프게 매달린 시민들의 표정에서 승천하는 용의 기상을 발견하긴 힘들었습니다. 행인들의 남루한 옷차림은 또 어떻고요. 베이징시내의 후미진 지역은 우리의 60년대, 번화한 곳은 우리의 80년대를 보는 것 같았습니다.
덩 표면적인 모습만 잠깐 보고 쉽게 속단하는 것은 아닐까요.
기자 물론 제가 중국의 전부를 본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중국의 얼굴이라 할 수 있는 수도에서 감흥을 받지 못한 것 또한 사실입니다. 정작 말하고 싶은 부분은 소프트웨어입니다. 베이징에서 매연으로 콜록대면서 저는 개발 연대의 우리나라를 떠올렸습니다. 고층 빌딩 몇 채를 세워놓고 선진국에 진입한 듯 우쭐대던 그때 서울에서 희뿌연 매연을 뒤집어쓴 선진국 사람들이 속으로 뭐라고 했을까를 상상하면 소름이 돋습니다. 눈에 보이지 않는 환경지수와 시민의식 같은 소프트웨어로 따지자면, 중국이 한국을 따라오려면 한참 멀었다는 생각이 듭니다.
덩 불쾌할 정도로 평가가 신랄하군요. 하지만 중국은 빠른 속도로 한국을 추격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경제성장률은 그것을 방증하고도 남지요.
기자 그렇습니다.13억 인구를 무기로 한 잠재력은 섬뜩한 요인입니다. 개발 연대 우리의 경제기획원처럼 막강한 권한을 쥐고 있는 ‘국가발전개혁위원회’의 리푸민 부주임(국장급)을 만나 그런 인상을 받았습니다. 그는 중국 때문에 한국이 먹고 사는 줄 알라는 투로 말하더군요. 이를 테면,“중국은 아시아 1위의 수입시장이다.”,“중국은 저렴한 수출상품으로 많은 나라 국민에게 혜택을 주고 있다.”는 식이지요.
덩 중국의 개혁·개방이 다른 나라에 혜택을 주는 건 사실 아닌가요.
기자 하지만 후발 개도국으로서의 고민이 리 부주임의 얼굴에 고스란히 묻어났습니다. 그는 중국 경제의 단점에 대해 “인구가 너무 많고 기술이 미약하며 경제 형평성(빈부격차)이 부족하다.”고 털어놨습니다. 또 환경문제, 자원부족 문제도 심각하다고 토로했습니다. 그는 “아직 1인당 국민총생산(GNP) 면에서 한국과 차이가 크다.”며 “더욱 노력해야 하지만, 그만큼 한국은 더 달아날 것이기 때문에 격차를 줄이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고 했습니다. 특히 “선발국들이 기술이전을 꺼리고 있다.”며 후발주자로서의 설움도 내비쳤습니다. 그의 푸념을 들으면서 성장에 지친 거인의 이미지가 연상됐습니다. 상위권을 따라잡기 위해 급격히 체중을 불리다보니 군데군데 성인병이 도졌는데, 그런데도 격차는 쉽게 좁혀지지 않고….
덩 안타깝군요. 다른 나라들이 피터지게 경쟁할 때 우리는 문화혁명이다 뭐다 해서 허송세월을 했으니…. 내가 마오쩌둥에 대해 “70% 공이 있으나,30% 과도 있다.”고 평가했던 것도 이런 상황을 우려한 때문이지요.
기자 하지만 중국인들을 직접 대하면서 발현되지 않은 잠재력을 감지한 것도 사실입니다. 베이징대 학생들과 대화할 기회가 있었는데,‘성공’을 우러르는 강한 의지가 느껴졌습니다. 조선어과(한국어과)의 리팅팅(23)이란 여대생은 “베이징대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은 취업인데, 일자리가 없어서가 아니라 눈높이가 높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제가 만난 조선어과 학생 14명 가운데 한국에 어학연수를 다녀오지 않은 학생이 거의 없었습니다.
덩 다음 여행지는 어디입니까.
기자 상하이입니다.
덩 아, 상하이라면 제가 가장 자랑스러워하는 곳입니다. 중국 개혁·개방의 진수를 담고 있는 곳이라고 할 만하지요.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