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한은 2층 북한은 3층 ‘한지붕 경협우정’
“어이, 어디 갔었어?”“아,2층 회의실 좀 점검하느라….”“이 사람, 별 하는 일도 없이 바쁜 척은….” 마치 어느 회사원들의 대화 내용처럼 들리지만 이는 28일 개성공단에 문을 연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경협사무소)에서 남북 당국자끼리 나눈 대화다.
분단 이후 처음으로 한 건물에 상주하게 된 남북 당국자들은 개소식 준비 때부터 친해졌다. 사무실 여기저기서 남북 당국자 간에 귀엣말을 나누거나 파안대소하는 광경을 볼 수 있다.
가슴의 김일성 배지와 태극기 배지가 없다면 소속을 구분키 어려울 정도다. 영화 ‘JSA’에서 보여준 게 음지의 우정이라면 그것이 양지로 나온 게 아니냐는 착각을 일으키게 만든다. 모두 3층인 경협사무소 건물에서 남측은 2층을, 북측은 3층을 쓴다. 하지만 2층과 3층 사이에는 어떤 경계도, 경계병도 없다. 서로 비슷한 양복을 입고 수시로 계단을 오르내려 눈길을 끌었다.
황부기 소장을 포함,14명의 남측 당국자나 북측 당국자 12명 모두 사무소 옆에 지은 숙소에서 숙식하는 ‘기러기 아빠’신세다. 황 소장은 “주말에 한번씩은 남측으로 들어가 가족과 회포를 풀 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로 민족경제협력연합회 소속인 북측 인사들도 공단에서 차로 20분 거리인 자남산 여관에서 기거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이날 오전 치러진 개소식에는 권진호 국가안보보좌관, 임종석 의원 등 남측 200여명과 김성일 민족경제협력연합회 부위원장 등 북측 인사 80여명이 각각 참석했다.
남북은 이어 오후 남북경제협력추진위원회(경협위) 제11차 회의를 열어 경공업 분야 원자재 제공과 지하자원 협력, 철도·도로 개통, 수산협력, 임진강 수해방지, 개성공단 2단계 동시 개발 등 의제를 놓고 협의했으나 합의문 도출에는 실패했다.
양측은 제10차 경협위 합의에 따라 남측이 의복류, 신발, 비누 등 경공업 분야의 원자재를 북측에 제공하고 북측은 지하자원 개발 투자를 남측에 보장하기로 하는 문제를 협의했지만 경공업 원자재 제공 규모에서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북측이 요구한 규모는 신발 원자재 6000만 켤레분, 비누 2만t, 의류 7개 품목에 3만t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우리 정부는 이의 사실 여부를 확인하지 않았다.
개성공동취재단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