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3대장벽 조속한 제거 요구
북한이 제17차 장관급회담에서 우리측에 몇가지 뜻밖의 요구를 하는 바람에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막판 산고를 겪었다.
특히 북측은 정치적·군사적·경제적 장벽 등 이른바 ‘3대 장벽’ 제거를 내년에 해결할 문제로 요구,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졌다.
정치 분야와 관련, 권호웅 북측 단장은 14일 기본발언에서 “체제대결의 마지막 장벽들을 허물어 버리기 위한 결정적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며 크게 3∼4개의 요구사항을 내건 것으로 확인됐다. 상대측 지역을 방문하는 자기측 인원에 대한 참관지(방문지) 제한 중단, 상대방에 대한 비방 중단, 상대방을 존중하는 의사표시에 대한 제동 및 박해 금지, 구시대적 법률 및 제도적 장치의 철폐 등이다.
구시대적 법률은 국가보안법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상대방을 존중하는 의사표시에 대한 박해를 문제삼은 것 역시 국보법상 찬양·고무죄 적용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방문지 제한 해제 요구 역시 국보법과 무관하지 않다. 이런 관점에서 보면, 종전 국보법 철폐 주장 등 이념 공세의 연장선상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다만 북측이 “쌍방 당국이 자기측 지역에서 상대방 체제와 상징에 대해 비난·공격하는 행위가 일체(일절) 발생하지 않도록 책임적인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라고 밝힌 게 새로운 뉘앙스를 풍긴다.
하지만 이는 국내 보수단체의 반북 시위까지 남한 당국이 원천봉쇄해줄 것을 요구한 것으로, 현실적으로 수용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
군사적 장벽은 ‘외세와의 모든 합동군사연습’ 중지 요구로 과거에도 수시로 등장했던 단골 메뉴다.
북측이 경제적 장벽으로 제시한 것은 다자간 재래식무기 및 전략물자 통제체제인 바세나르협정이나 미국의 수출통제규정(EAR)인 것으로 알려졌다.EAR 때문에 개성공단과의 통신개통이 늦어진 것은 대표적 사례다.
북측 입장에서는 관심을 갖고 있는 정보기술(IT) 산업이나 하이테크 군수산업 육성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고 경제 재건에도 제약이 되는 점을 감안한 것으로 보인다.
정부 당국자는 “우리가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지 않으냐.”고 말해, 사실상 미국을 겨냥한 주장이란 관측이 더 유력하다.
북측이 기조연설에서 ‘정경분리 원칙’을 내세운 것도 이례적인 움직임으로 꼽을 수 있다. 북측은 “새해부터 북남 경제협력을 정경분리의 원칙에서 핵문제나 외세의 간섭에 구애됨이 없이 우리 민족끼리의 자주적인 협력사업으로 발전시켜나가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는 남측이 정치군사적인 현안을 경협에 연계시켜선 안된다는 주장으로 해석된다.
실제 지난 10월 말 11차 경제협력추진위원회에서 우리측이 북측의 군사적 보장조치 지연 문제를 들어 대북 경공업 원자재 제공을 미룬 전례가 있다.
결론적으로 북측의 3대 장벽 제거 주장은 다분히 자기중심적인 것으로, 현실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오죽했으면 이날 우리 정부 당국자가 방문지 제한 해제요구와 관련,“올해 우리측 방북자 누계가 이미 8만명이 넘은 데 반해, 북측의 남한 방문자는 1030명에 불과할 정도로 비대칭성이 심각하다.”고 했을 정도다.
서귀포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