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유공자 361명 광복 63주년 포상
국가보훈처는 제63주년 광복절을 맞아 신간회 총무간사로 활약한 이춘숙(李春塾·1889∼1935) 선생과 도산 안창호 선생의 부인 이혜련(李惠鍊·1884∼1969), 안중근 의사의 모친 조마리아(?∼1927) 여사 등 361명의 독립유공자를 포상한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포상하는 독립유공자는 건국훈장 166명(독립장 2명, 애국장 59명, 애족장 105명), 건국포장 65명, 대통령표창 130명 등이며, 이 가운데 생존자는 4명이고 여성은 10명이다.
이들은 오는 15일 광복절 중앙경축식장과 지방자치단체 주관 경축식장에서 훈장을 받거나 추서되며, 국외 거주자는 재외공관을 통해 본인과 유족에게 훈장이 전달된다.
건국훈장 독립장이 추서된 이춘숙 선생은 1919년 3·1운동 직후 중국 상하이 등을 오가며 임시정부 수립운동에 참여한 뒤 같은 해 4월 상하이로 망명해 1920년 4월까지 임시의정원 의원, 부의장을 지냈다. 이후 임시정부 군부차장과 학무차장 등을 역임하면서 임정의 헌법 개정, 공채발행 조례 등의 제정에 참여하고, 상하이 민단장 여운형 선생이 발기한 신한문화동맹 등에 각각 참여해 활동했다.1920년 11월 일경에 체포된 후 국내로 압송돼 징역 5년을 선고받고 출소했으며,1927년부터 1931년 5월까지 신간회 경성지회의 총무간사, 중앙집행위원, 중앙상무위원, 조사부장 등으로 활동했다.
같은 독립장이 추서된 유기석(柳基石·1907∼?) 선생은 1928년 중국 상하이에서 재중국조선인무정부주의연맹을 결성했고,1930년 남화한인청년연맹에서 활동했다.1932년 이후 베이징으로 건너가 동북의용군 등의 항일단체에 가입해 톈진 일본총영사관 및 일본기선에 수류탄을 투척했다.1938년 김구 선생과 일본의 국제적 지위를 실추시키기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1943년부터 1945년까지 난징에서 한족동맹의장 겸 한국광복군 징모 제3분처 대장으로 활약했다.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 안창호 선생의 부인 이혜련 여사는 1909년부터 독립운동단체에 자금을 지원하고 1919년 미국 LA에서 조직된 부인친애회, 대한여자애국단에서 활동했다. 안 의사의 모친 조마리아 여사는 1907년 국채보상의연금을 기부하고 1926년에는 상하이 재류동포 정부경제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는 등 직접 독립운동에 헌신했다.
대통령표창이 추서된 정막래(丁幕來·1899∼1976)·이소선(李小先·1900∼?) 여사는 기녀 출신으로 1919년 경남 통영군 통영면 기생조합에서 동료와 함께 기생단을 조직해 독립만세 시위운동을 전개하다가 체포돼 각각 6개월간 옥고를 치렀다.
김상연기자 carlos@seoul.co.kr
●건국훈장 독립장 柳基石(중국방면) 李春塾(임시정부)
●건국훈장 애국장 具錫圭(의병) 權能道(만주방면) 金炳鉉(만주방면) 金士極(만주방면) 金相周(만주방면) 金瑞雲(만주방면) 金錫元(의병) 金錫弘(만주방면) 金演性(의병) 金用三(만주방면) 金龍玉(만주방면) 金龍澤(만주방면) 金允涉(만주방면) 金俊元(만주방면) 金昌鉉(만주방면) 金恒龍(만주방면) 盧秉漢(인니방면) 朴基運(의병) 朴貞鍵(중국방면) 朴定勳(만주방면) 朴琮植(국내항일) 方成柱(만주방면) 裵敬鎭(국내항일) 白圭三(노령방면) 白一龍(만주방면) 徐光道(의병) 徐允峯(만주방면) 孫亮燮(인니방면) 孫正彬(만주방면) 申英七(의병) 申應奎(만주방면) 申 훤(만주방면) 吳民聲(중국방면) 李灌鎔(국내항일) 李光河(만주방면) 李相寬(만주방면) 李錫吉(의병) 李成鎬(중국방면) 李元甫(국내항일) 李泰涉(만주방면) 李赫魯(국내항일) 李鉉稷(국내항일) 李華榮(의병) 任成祐(국내항일) 鄭天和(3·1운동) 鄭泰玉(국내항일) 趙正來(국내항일) 崔敬京(만주방면) 崔文武(만주방면) 崔文鳳(노령방면) 崔聖必(의병) 崔承觀(만주방면) 韓慶錫(학생운동) 韓大弘(만주방면) 許璋煥(국내항일) 玄思桂(만주방면) 黃甲用(의병) 黃稷淵(국내항일) 黃海龍(국내항일)
●건국훈장 애족장 姜極模(만주방면) 姜明秀(3·1운동) 高圭永(국내항일) 高德鳳(만주방면) 權靑松(의병) 金敬俊(3·1운동) 金光壽(3·1운동) 金大支(3·1운동) 金東赫(학생운동) 金伯春(3·1운동) 金尙俊(3·1운동) 金善明(3·1운동) 金聖化(의병) 金守日(의병) 金舜弼(3·1운동) 金億釗(의병) 金淵玉(3·1운동) 金玉男(국내항일) 金元成(3·1운동) 金應吉(의병) 金仁植(국내항일) 金日直(의병) 金點學(국내항일) 金重命(3·1운동) 金璨熙(3·1운동) 金昌道(만주방면) 金致聲(3·1운동) 柳冀宗(만주방면) 明雲行(3·1운동) 박그레고리(노령방면) 朴魯珀(일본방면) 朴 愛(노령방면) 朴永鎭(국내항일) 朴源炅(3·1운동) 朴應奎(3·1운동) 朴在坤(3·1운동) 朴鎭和(3·1운동) 朴瀅珍(국내항일) 白行俊(국내항일) 賓泰紋(국내항일) 石昌乾(국내항일) 孫銀國(3·1운동) 宋岩于(국내항일) 申甫鉉(의병) 申善明(3·1운동) 申昌熙(중국방면) 申鉉式(국내항일) 沈恒基(국내항일) 安承樂(국내항일) 安昌一(국내항일) 安興成(3·1운동) 楊楨(국내항일) 嚴鍾鎬(일본방면) 吳侑煥(일본방면) 禹錫麟(국내항일) 尹貞燮(3·1운동) 李景和(3·1운동) 李光善(3·1운동) 李圭駿(만주방면) 李起德(의병) 李德七(국내항일) 李鳳鎬(만주방면) 李相鎬(국내항일) 李相勛(일본방면) 李聖澤(의병) 李壽浩(3·1운동) 李永薰(국내항일) 李正洙(국내항일) 李廷讚(3·1운동) 李鍾國(국내항일) 李種七(의병) 李佐根(3·1운동) 李鎭浩(국내항일) 李春萬(3·1운동) 李學寧(3·1운동) 李海稙(국내항일) 李惠鍊(미주방면) 李彙環(국내항일) 林萬成(의병) 林民鎬(만주방면) 張命述(3·1운동) 田龍煥(3·1운동) 鄭貴錫(학생운동) 鄭億萬(3·1운동) 鄭龍奎(3·1운동) 鄭灝時(국내항일) 趙乃憲(국내항일) 趙炳直(3·1운동) 조마리아(중국방면) 朱昌燁(국내항일) 車基淑(국내항일) 車漢玉(국내항일) 崔光惠(3·1운동) 崔明根(국내항일) 崔鳳官(의병) 崔奉學(3·1운동) 崔世權(3·1운동) 崔仁根(국내항일) 崔昌達(3·1운동) 崔致煥(3·1운동) 韓明植(국내항일) 韓永乭(국내항일) 咸貞元(3·1운동) 洪性煥(국내항일) 黃宇烈(3·1운동)
●건국포장 姜賢哲(만주방면) 權泰鍾(국내항일) 金琪鎬(국내항일) 金命鎭(국내항일) 金武圭(국내항일) 金鳳植(3·1운동) 金相述(국내항일) 金商說(국내항일) 金成文(3·1운동) 金泳弼(3·1운동) 金玉錫(국내항일) 金又文(국내항일) 金潤吉(3·1운동) 金潤模(의병) 金應集(국내항일) 金益夏(국내항일) 金仁相(국내항일) 金在珍(일본방면) 金祚伊(국내항일) 金煥性(국내항일) 盧百容(국내항일) 朴魯順(노령방면) 朴同熙(3·1운동) 朴炳云(3·1운동) 朴瑞陽(만주방면) 朴舜永(국내항일) 朴昌奎(국내항일) 朴亨武(미주방면) 潘英璣(국내항일) 成奉眞(국내항일) 孫太俊(학생운동) 申敬愛(국내항일) 申相鎔(국내항일) 辛容祺(국내항일) 安應洙(3·1운동) 呂南壽(만주방면) 吳致燮(일본방면) 柳 琓(의병) 李敎寬(3·1운동) 李圭寅(3·1운동) 李圭昶(만주방면) 李德敏(3·1운동) 李鳳學(의병) 李時擧(만주방면) 李連珩(국내항일) 李源淵(국내항일) 李利奎(국내항일) 李 政(국내항일) 李澤新(3·1운동) 李亨益(3·1운동) 任秉準(3·1운동) 林永福(3·1운동) 林春一(국내항일) 張柱煥(국내항일) 張台成(국내항일) 全昌錫(3·1운동) 鄭在喆(3·1운동) 鄭在喆(국내항일) 蔡貫友(만주방면) 崔明杓(국내항일) 韓成傑(노령방면) 洪演欽(국내항일) 洪泳佑(국내항일) 洪昌欽(국내항일) 黃河一(노령방면)
●대통령표창 姜伯伊(3·1운동) 高泳國(국내항일) 高翊鎭(3·1운동) 具甲出(3·1운동) 具滋益(만주방면) 權永和(3·1운동) 權重倫(3·1운동) 權春根(3·1운동) 金觀奎(3·1운동) 金達潤(3·1운동) 金德順(3·1운동) 金德鉉(의병) 金東億(3·1운동) 金命順(3·1운동) 金尙得(3·1운동) 金善鎭(3·1운동) 金聖奎(3·1운동) 金成吉(3·1운동) 金成守(3·1운동) 金成漢(3·1운동) 金壽根(3·1운동) 金守鳳(3·1운동) 金淳同(3·1운동) 金順五(3·1운동) 金汝衡(3·1운동) 金永祚(국내항일) 金龍俊(3·1운동) 金雲峰(3·1운동) 金酉庚(3·1운동) 金仁植(3·1운동) 金任天(3·1운동) 金在龍(3·1운동) 金點成(3·1운동) 金濟龍(3·1운동) 金鍾煥(3·1운동) 金仲培(3·1운동) 金鎭萬(3·1운동) 金春京(3·1운동) 金弼相(국내항일) 金漢洙(3·1운동) 金炯卨(국내항일) 羅錫翰(3·1운동) 盧東根(3·1운동) 盧允彦(3·1운동) 都明洙(국내항일) 文京洪(3·1운동) 文琪植(3·1운동) 文祥範(3·1운동) 文在東(3·1운동) 朴光淵(3·1운동) 朴敏成(3·1운동) 朴秉秀(3·1운동) 朴星泰(임시정부) 朴性海(3·1운동) 朴承祚(국내항일) 朴榮奎(일본방면) 朴容九(3·1운동) 朴準祥(국내항일) 朴至陽(3·1운동) 白順奎(3·1운동) 徐相烈(임시정부) 徐成允(3·운동) 徐演喆(학생운동) 徐應燁(3·운동) 徐載錫(국내항일) 薛萬鎭(3·1운동) 宋景燮(3·1운동) 宋錫奉(3·1운동) 申光三(의병) 申機均(국내항일) 沈元燮(3·1운동) 安聖煥(3·1운동) 嚴學洙(의병) 廉德臣(국내항일) 吳昌文(3·1운동) 禹泰先(3·1운동) 禹宅洛(국내항일) 元順五(3·1운동) 柳明植(국내항일) 柳世根(3·1운동) 尹錫軒(3·1운동) 李謙重(국내항일) 李敎卨(3·1운동) 李根泳(국내항일) 李今福(국내항일) 李斗七(3·1운동) 李明彦(3·1운동) 李民植(3·1운동) 李鳳九(3·1운동) 李相萬(일본방면) 李相模(국내항일) 李尙發(3·1운동) 李石用(국내항일) 李小先(3·1운동) 李秀吉(3·1운동) 李始雨(3·1운동) 李龍煥(3·1운동) 李在璇(국내항일) 李正洙(3·1운동) 李致慶(임시정부) 林龍根(3·1운동) 林憲祥(3·1운동) 張星伊(3·1운동) 張星煥(3·1운동) 張順錫(3·1운동) 全中學(의병) 全鎭伯(3·1운동) 丁甲權(3·1운동) 丁莫來(3·1운동) 鄭萬山(3·1운동) 鄭相祚(3·1운동) 鄭聖璋(국내항일) 鄭永祚(3·1운동) 鄭在基(3·1운동) 鄭弘文(3·1운동) 車柱彬(국내항일) 蔡愛堯羅(3·1운동) 崔光哲(3·1운동) 崔基正(국내항일) 崔萬成(3·1운동) 崔祐億(3·1운동) 崔應洙(3·1운동) 崔益守(3·1운동) 崔仁寬(3·1운동) 表光天(3·1운동) 洪琪煥(국내항일) 洪思哲(3·1운동) 洪鎭玉(3.1운동) 黃乭伊(3·1운동) 黃萬模(3·1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