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권대학 대거 미등록사태/1차 마감
◎등록률 서울대 93% “사상최저”·연고대 80%선/중·하위권대 대부분 50%선… 연쇄이동 불가피
97학년도 전국 160개 대학의 합격자 1차 등록을 29일 마감한 결과,복수합격자들의 이탈로 서울대·연세대·고려대 등 상위권 대학들에서 대거 미등록 사태가 발생했다.중·하위권 대학들의 등록률도 50%선에 그쳤다.
이에 따라 상위권 대학을 비롯,중위권 대학들은 예비합격자 가운데 결원을 메울 예정이어서 하위권 대학에서 중·상위권 대학으로,지방대에서 서울소재 대학으로 각각 합격자의 연쇄이동이 예상된다.
이같은 현상은 등록 마감일이 달랐던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같은 시기에 등록을 받은데다 전형일이 4차례로 나뉜데 따라 복수합격자가 많았기 때문이다.
서울대는 마감 결과 4천920명 정원에 4천564명이 등록,92.76%의 등록률을 보였다.미등록자 356명(7.24%)은 사상 최대 규모다.미등록자는 92년 17명,93년 20명,94년 15명,95년 36명,96년 230명이었다.
이들은 주로 복수합격한 연세대나 고려대에 등록한 것으로 보인다.법대·경영대·사회대·미술대·음악대는 100% 등록했다.
반면 간호대는 미등록률이 가장 높은 48%였고 농생대 35.5%,수의대 28.3%,생활대 20.7%,약대 10%가 등록하지 않았다.
연세대는 『이미 예비합격자 명단을 공개했기 때문에 1차 등록률은 무의미하다』며 등록률을 발표하지 않았으나 대략 80%가량이 등록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측은 신방·전산학과 등 상위권 학과의 합격생이 대거 서울대에 등록함에 따라 최고 150%까지 모집단위별 예비합격자들에게 전화와 전보로 추가합격을 통보할 예정이다.
고려대도 5천880명 정원에 4천785명이 등록,81.4%의 낮은 등록률을 기록했다.법과대학이 336명 모집에 328명이 등록,13개 단과대학 가운데 가장 높은 97.6%의 등록률을 기록했고,의과대학이 64.6%로 가장 낮았다.
그러나 서강대는 정원 1천702명의 96.7%인 1천647명,이화여대는 정원 3천986명의 93%인 3천707명이 등록하는 등 높은 등록률을 보였다.
포항공대는 최초합격자 숫자 및 예비합격자 등록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은 가운데 모집정원 146명 전원이 등록했다고 밝혔다.
정시모집 「라」군으로 이번 입시에서 최고의 경쟁률을 보였던 홍익대는 등록률이 50%선에 그침에 따라 학과별로 10∼15배까지 확보해 둔 예비합격자를 대상으로 추가 등록을 받을 예정이다.
숭실대는 입시 경쟁률이 9대1을 기록했으나 등록률은 54.8%에 머물렀고 동국대는 78.8%를 보였다.
대학 수석합격자들 대부분은 서울대를 선택했지만 일부는 장학금 등 각종 혜택을 받기 위해 수석 합격한 대학에 등록했다.
전체 수석합격자 가운데 이대 김지은양(미림여고3·의예),한양대 박현주양(대구과학고3·건축공학),성대 김문정군(한성과학고3·의예)은 서울대의 같은 과에도 합격,결국 서울대에 등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