뭐! 외국인이 ‘엘리베이터’를 노려? / 현대家 손잡는다
정주영 전 현대 명예회장의 타계와 현대차,현대중공업의 계열분리 이후 느슨해졌던 현대가(家)의 결속력이 정몽헌(MH) 회장의 타계를 계기로 급속히 회복되고 있다.
맏형인 정몽구(MK) 회장은 정몽헌 회장의 장례식을 묵묵히 진두지휘하는가 하면 정씨 일가 친척들도 모처럼 한자리에 모여 그간의 소원한 관계를 어느정도 회복한 것으로 알려졌다.
효과는 금방 나타났다.정 회장 사후 외국인들이 현대그룹의 지주회사인 현대엘리베이터 주식을 집중 매집,적대적 M&A(인수합병) 조짐이 나타나자 현대가 기업들이 일거에 지분을 매입,‘백기사’ 역할을 했다.현대가의 이같은 신속한 조치에 시장도 놀라는 표정이다.일부 계열사 직원은 “역시 현대답다.”며 눈물을 글썽이기도 했다.
●어디를 넘봐
정 회장 타계 직후인 지난 8일까지만 해도 현대엘리베이터 지분율이 2%에도 못미쳤던 외국인들은 11일 이후 주식을 집중 매집했다.13일에는 지분율을 무려 11.21%로 늘렸다.
곧바로 시장에서는 적대적 M&A나 ‘그린메일(경영권이 취약한 기업의 주식을 매집,이를 비싼값에 다시 사줄 것을 요구하는 행위)’의 징후로 해석됐다.‘제2의 소버린’이 나오는 것이 아니냐는 분석도 나왔다.그러자 한국프랜지와 현대백화점,현대시멘트 등 현대 기업들이 나서 일거에 현대엘리베이터의 자사주 43만주(7.66%)를 사들였다.정몽헌 회장 장모인 김문희씨 지분 18.57%를 포함,우호지분 37.43%는 변함이 없지만 현대엘리베이터 자사주가 의결권 있는 주식으로 바뀌면서 경영권 방어가 한층 수월해졌다.여차하면 현대차나 현대중공업도 가세하겠다는 태세였다.
이에 대해 정씨 일가의 물밑 접촉이 있었다는 얘기도 전해진다.현대엘리베이터가 외국인 손에 넘어가 현대상선 등 현대계열사들이 줄줄이 이들의 영향권에 드는 것을 방치할 수 없다는 것이다.
현대 관계자는 “장례식이 끝나자마자 MH 계열사가 M&A 대상이 된 것을 방치할 수 없다고 판단한 듯하다.”고 말했다.
현대차는 백기사 군단에 가세할 것이란 추측이 나돌자 14일 채양기 재무담당부사장(CFO)을 통해 “가족사와 경영은 별개”라며 “현대엘리베이터 주식을 매입한 사실도없으며,현대엘리베이터에 대한 직·간접적인 지원은 절대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더 이상은 ‘글쎄’
현대가에는 아직도 숙제가 많다.특히 정몽구 회장의 고민은 적지 않다.현대엘리베이터 문제는 정몽헌 회장 계열기업의 지배가 아닌, 경영권 방어가 목적이었다.그래서 ‘자동차도 좌시하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내 힘을 실어준 것이다.그러나 정몽헌 회장 이후의 후계구도 설정에는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문제는 대북사업이다.현대차는 계속 손사래를 치고 있다.고민은 남북경협이 정주영 명예회장의 유업이라는 점이다.현대의 한 관계자는 “현대차는 대북사업을 철저히 경제적 논리에 입각,처리한다는 것이 원칙”이라면서 “사업을 희생하면서까지 남북경협에 나서겠느냐.”고 말했다.
현대가의 또다른 고민은 모기업인 현대건설을 어떻게 하느냐는 것이다.과거 100여개 현대 계열기업의 모태인 현대건설은 2001년 출자전환 이후 은행이 대주주인 상태다.올해 초에는 정몽구 회장 소유의 현대차가 건설 부문을 인수하는 문제도 고려했지만 시장의인식이 좋지 않아 그만뒀다.
김성곤기자 sungg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