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촌 부활 중심엔 ‘청년’이 있다
지금은 홍대에 밀렸다고 하지만 본래 젊음의 거리는 ‘신촌’이었다. 워터슬라이드 페스티벌과 물총축제, 차 없는 거리 등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면서 옛 명성을 조금씩 찾아가고 있다. 하지만 1990년대 청년들로 넘치던 모습은 아직 멀었다.
서대문구는 신촌 지역을 더 활기차게 만들기 위해 청년과 대학의 아이디어를 빌리기로 했다.
구는 올해 1학기 정규 강의를 통해 신촌도시재생활성화를 연구·공부하는 ‘대학·지역 연계수업 공모’를 진행한다고 3일 밝혔다. 분야는 도시공학, 건축, 인문, 경제, 사회, 복지, 문화예술, 서비스디자인 등이다.
문석진 구청장은 “서대문이 가지고 있는 자원 중 하나가 대학을 기반으로 한 연구인력과 창의력이 넘치는 학생들”이라면서 “도시재생과정에 이들의 전문성과 기발한 아이디어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2014년 ‘서울형 도시재생시범사업’ 대상 지역으로 선정된 신촌은 ‘청년과 지역이 함께하는 신촌 만들기’라는 주제로 2018년까지 문화, 경제, 주거재생, 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연계수업 학과로 선정되면 정규 수업을 통해 신촌의 경제, 문화, 주거, 복지, 공동체 활성화 방안을 제안한다. 또 야외탐방이나 공개수업을 하고 5월에는 지역연계 수업 성과를 신촌 주민, 상인 등과 공유하는 타운홀미팅에도 참여한다. 수업 성과물은 사진, 영상, 보고서, 모형 등으로 기록해 구에 제출해야 한다.
선정된 학과에는 조사비와 연구활동비가 지원된다. 구는 강의의 공익성과 지역연계성, 학생 참여도, 지역네트워크 활성화 등을 기준으로 7곳을 선발해 1개 학과에 최대 250만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자세한 내용은 구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김동현 기자 moses@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