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규환
    2025-10-17
    검색기록 지우기
  • 강신
    2025-10-1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79
  • “평양 고구려벽화 내년 세계문화유산 지정”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유엔 교육과학문화기구(유네스코)의 마쓰우라 고이치로(松浦晃一郞)사무총장은 유네스코가 평양의 고구려 벽화를 이르면 내년에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할 수 있을 것이라고 22일밝혔다. 마쓰우라 총장은 19일부터 22일까지 평양에서 강능수(姜能洙)문화상등 북한고위 관리들과 이 문제를 협의한 뒤 베이징에서 내외신 기자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고구려 벽화가 완벽하며 뛰어난 세계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면서 세계문화유산 지정에 아주 낙관적인 견해를 표명했다. khkim@
  • 한인 38명 中서 여권사기 당해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한국인 38명이 중국에서 한국인 차모,김모씨 등에게 취업을 미끼로 집단적으로 여권 사기를 당해 베이징(北京)시 공안국이 수사중이다. 베이징시 후이차오(惠橋)호텔에 머물고 있는 피해자 조모씨(서울시홍은동) 등 32명은 지난달 4일부터 이달 중순까지 중국에서 무역 일을 할 수 있다는 차씨,김씨 등의 말에 속아 2명에서 6명씩 나누어 중국에 온 후 보따리 장사의 물건을 나르기 위해서는 무역인증을 만들어야 한다는 차씨 등의 말을 믿고 여권을 맡겼다. 그러나 차씨 등은 이들의 여권을 가지고 잠적했고 이달 14일 중국조선족 동포 2명이 피해자중 2명의 여권을 갖고 김포공항으로 입국하려다가 적발되면서 사건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산둥(山東)성 웨이하이(威海)시에서도 한국인 6명이 차모씨 등에게속아 여권을 빼앗긴 채 출국하지 못하고 발이 묶여 있다. 피해자들은 한국의 인터넷 사이트와 생활정보지 등에서 구인광고를보고 브로커 차씨 등과 연락,중국에 왔으며 차씨 등은 눈치채지 못하도록 피해자들이 나누어 오도록 하고,분산 투숙시키는 한편 숙소도여러 차례 옮겼다. 이번 여권 사기 사건은 지난 4월 동북지방인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에서 건축공사장 감독으로 취업시켜준다고 속여 중국에 오도록 한 후 30여명의 여권을 챙기고 달아난 사건에 이은 것이다. 한국 여권은 중국에서 인기있는 여권들중 하나로 인민폐로 5만∼6만위안(약 600만∼800만원)에 암거래된다. khkim@
  • 洪淳瑛 주중대사 부임 인터뷰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홍순영(洪淳瑛·63) 신임 중국 주재 한국대사는 14일 “앞으로 한국과 중국의 관계가 지금까지의 협력적 동반자관계에서 성숙하고 원숙한 동반자관계가 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홍 대사는 이날 베이징(北京) 부임후 대사관에서 특파원들과 처음만나 “신뢰,상호존중,상호이익에 기초해 모든 것을 다 이야기할 수있는 원숙한 동반자관계로 한중관계의 격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북한 난민문제 같은 것은 분단 상황하에서 지속될 수 밖에 없는 것이라면서 한·중간에 감정적 대립,정치적 대립이 안 생기도록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홍 신임 대사는 앞으로 대사직을 수행하면서 ▲한중관계 ▲남북한관계 ▲한중일관계에 중점을 두고 업무를 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 “한국이 북한과 평화공존 및 평화통일로 가는 과정에서 중국의 지지와 이해를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홍 대사는“한·중·일 3개국은 경제분야에서 공동체 인식을 가지고 공동체로서 외부에 대응해야 한다”면서 “이들 3개국간 경제공동체 수립을염두에 두고 중국과의 외교관계를 펴나가겠다”고 말했다. 홍 대사는 “중국이 국책으로 추진중인 중국 서부대개발 지원은 한국 정부차원에서는 지원에 한계가 있으며 한국의 민간 차원에서 도와주어야 한다”고 피력했다. 그는 이어 대사로서 주재국 정부에 할 말이 있다면 할 것이라고 말하고 “언론을 국정의 동반자로 생각하겠다”고 덧붙였다. khkim@
  • [베이징은 지금] 中학부모 기부금에 허리 ‘휘청’

    중국 대륙의 학부모들이 ‘기부금 악몽’에 시달리고 있다.사회적평등을 중시하는 사회주의 교육이념이 시장경제 체제의 진입으로 퇴색되면서 학부모들이 많은 돈을 주고 일류 대학 진학률이 높은 중점학교(국가의 집중관리를 받는 우수 학교)에 보내야 한다는 압박감에고통받고 있는 것이다. 중국 경제일보(經濟日報)에 따르면 이들 중점학교는 3만∼5만4,000위안(약 420만∼702만원)의 기부금을 받고 있다.특히 일부 학교에서는 무려 10만위안(1,300만원)의 기부금을 받는 중점학교까지 등장했다.중국의 학부모들이 중점학교를 선호하는 이유는 매우 간단하다.일반 학교와는 달리 중점학교는 많은 기부금을 받아 우수한 교사를 초빙하고 질좋은 교육 환경을 조성한 덕분에 베이징(北京)대·칭화(淸華)대 등 일류 대학에 많은 학생들은 진학시키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이 기부금 입학은 자기가 거주하고 있지 않은 지역의 학교에 진학하고 싶으면 일정액의 찬조금을 내면 입학을 허용해주는 제도.1978년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하면서 생긴 이 제도는 집을 옮기지 않아도 자기가 가고 싶은 학교에 진학할 수 있는 선의의 취지로 도입됐다. 하지만 이 제도는 도입 취지와 무관하게 나날이 기부금 액수가 늘어나 돈많은 사람들의 전유물이 되면서 서민층의 중국인들이 엄두도 낼 수 없는 10만위안 선까지 치솟으면서 사회적 위화감을 조성하고 있다.여기에다 일부 중점학교가 보다 훌륭한 교육환경을 조성한다는 미명하에 많은 기부금을 끌어들이기 위해 별도의 ‘찬조금반’을 만드는 등 교육의 불평등 현상을 가속화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못지 않게 교육열이 높은 중국의 학부모들은 자녀들만은 중점학교에 보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다.자신의 무능력으로 자녀들을 중점학교에 보내지 못한다고 느끼는 일부 학부모들은 정신병을 호소하기도 한다.자본주의 국가나 사회주의 국가나 ‘돈이 없이는’ 살기 어려운 세상인 것 같다. 김규환특파원khkim@
  • [21세기 중국의 변신](2)당·정’젊은 피 수혈’바람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젊고 창의적인 새로운 피를 수혈하라”.중국 공산당이 21세기 초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 ‘국제적인 흐름’에잘 적응하고 참신성과 청렴성을 겸비한 젊은 인재를 발굴하기 위해박차를 가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진취적이고 창의력과 청렴성을 겸비한 젊은 간부들을 중앙 및 지방의 당·정 고위직에 대거 발탁한다는 내용의 ‘680세대 충원’ 계획.공산당 조직부가 최근 국무원 및 각 성(省)정부이하의 고위간부 선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베이징(北京) 동부의 하계 휴양도시 베이다이허(北戴河)에서 열리는 공산당 최고 지도부 회의에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680세대’는 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 대학에서 공부한 세대를 가리키는 말.우리나라의 ‘386세대’에 해당하는 셈이다.‘680세대 충원’계획에 따르면 당조직부는 부장(장관급)과 성장(省長·장관급)은 40대 초반의 예비 간부를 최소한 1명,시장은 적어도 1명의 40세 이하 간부,현장(縣長·군수급)은 2명의 30세 전후 간부를 양성할 방침이다.특히 시장이나 현장은 58세나 55세,중앙부처 과장급 간부는 52세에 2선으로 물러나도록 하는 방안도 담겨 있어 고령 간부들의 퇴장과 신진세대의 등장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중국의 ‘녠징화’(年輕化·연소화) 바람은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이 지난 4월 아시아·유럽 순방 이후 70세 이상 중앙위원들을 대거퇴진시키고 40∼50대 간부들로 자리를 메꿀 것임을 강조하면서 본격화됐다.당조직부는 이에 따라 산둥(山東)성에서 전문가회의를 열어‘680세대 충원’계획에 대해 구체적인 논의를 가졌다.쩡칭훙(曾慶紅) 당조직부장은 “젊은 간부 발탁에만 그치지 말고 이들에게 상임 부부장(차관급) 등의 직책을 부여해야 한다”고 강조함으로써 정치권에태풍이 일 것임을 내비쳤다. 공산당이 고위간부들의 ‘녠징화’에 골몰하고 있는 이유는 간단하다.신세대들이 기성세대보다 새로운 정치환경에 대한 적응력이 높은데다,상대적으로 청렴해 부정부패 척결운동을 펴는데도 유리하기 때문이다.빌 클린턴 미 대통령(54)·토니 블레어 영국 총리(46)·천수이볜(陳水扁) 타이완 총통(49)·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49)등 세계의 지도자들이 40∼50대로 연소화됐다는 점도 감안됐다. 따라서 오는 2002년 가을에 열리는 16차 당대회에서 선출되는 당중앙위원들의 연령은 15차 대회 중앙위원들에 비해 5살 정도 젊어진 60세 안팎이고 정치국 상무위원도 70세를 넘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공산당은 고위직 관리에 대한 공개모집 제도의 활성화 등을 통해서도 연소화를 추진하고 있다.중국 최고 인민법원이 가장 앞서 실천하고 있다.최고 인민법원은 최근 반탐오회뢰국장(대법원 중앙수사부장)을 첫 공개모집한데 이어,7명의 심판정(재판장)·부정장(배석판사)도공개 모집하기로 했다. 지방 정부들도 여기에 동참하고 있다.헤이룽장(黑龍江)성은 대학 학력 이상의 지도층 인사들을 대상으로 부청장급 인사를 공개모집해 무려 30대 1의 경쟁률을 뚫은 45명을 선발했다.선발된 부청장급 인사의평균연령이 36세이며,최연소자는 29세였다.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에서도 지방 중소기업인 향진(鄕鎭)기업을 관리하는 국장과 인사청장등 고급간부를 공개모집,8명을 선발했다. khkim@. *40대기수 선봉 외교부 3인방.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40대의 연부역강(年富力强)한 인재의 산실중 하나는 중국 국무원 외교부이다.탕자쉬안(唐家璇) 외교부장은 이미환갑을 넘긴 62살의 나이지만,40대 후반의 젊은 인재들이 외교부의중추역할을 담당하고 있기 때문이다. 외교부의 40대 핵심라인은 세계 외교 중심지인 유엔과 미국을 무대로 맹활약하고 있는 선궈팡(沈國放) 미 뉴욕의 유엔대표부 대사와 ‘13억 중국의 입’으로 불리는 주방자오(朱邦造) 대변인,왕이(王毅)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급) 등이다. 선 유엔대표부 대사(48)는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과 같은 장쑤(江蘇)성 출신으로 영어에 능통하고 세련된 국제감각을 지니고 있다는평가를 받고 있다.특히 외교부 대변인 시절 유창한 영어 실력으로 세계 특파원들을 잘 요리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장 주석과 첸치천(錢其琛) 부총리와 같은 계열로 강한 추진력을 갖추고 있으며 임기응변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외교부내 유럽통인 주 대변인(47)도 장쑤(江蘇)성 출신으로 베이징(北京)외국어대에서 프랑스어를 전공했다.스위스 제네바대와 프랑스 국립행정학교(ENA)에도 유학했다.영어와 프랑스에 능통하고 98년 대변인이 되기 전 9년동안 외교부 번역실에서 근무했고 외교부 유럽과장·벨기에대사관 공사 등을 거쳤다. 중국의 경우 국가원수나 공산당 정부의 대변인이 따로 없는 탓에,우리나라로 치면 청와대·집권당·정부 대변인 등 3가지의 역할을 합한 중책을 맡고 있는 셈이다. 왕 부장조리(47)는 일본 대리대사를 지낸 일본통.95년 아주사장(국장)에 올라 중국 외교부내 최연소 국장으로 발탁됐다.문화혁명 후 시험을 거쳐 대학에 진학한 첫 세대로 일처리에 합리적이라는 평가를받고 있다.97년 2월 황장엽(黃長燁) 망명사건 때 당시 탕 외교부 부부장과 함께 한국과 북한의 협상 파트너로 활약했다.
  • 中 장젠, 세계 최장거리 수영 신기록

    중국인이 사상 처음으로 한반도와 마주보고 있는 보하이(渤海) 해협을 헤엄쳐 횡단하는데 성공,세계 남자 최장거리 수영신기록을 세웠다. 그 주인공은 베이징(北京)체육대학 부연구원이며 베이징시 철인3종 경기협회 비서장인 수영선수 장젠(張健·36).베이징체육대학 체육과를 졸업한 그는신장 176㎝, 체중 90㎏, 양팔 길이 184㎝이며,29살의 부인 리샤오나(李小娜)도 허베이(河北)성 수영선수 출신이다. 8일 오전 8시 랴오닝(遼寧)성 다롄(大連)시 뤼순(旅順)항을 출발한 장젠은10일 오전 10시22분 산둥성(山東) 펑라이(蓬萊)해안에 도착하기까지 이틀밤동안 한숨도 자지 않고 한시도 물속을 떠나지 않은 채 거친 파도와 상어떼등과 싸우며,109㎞(직선거리)의 보하이(渤海)해협을 50시간22분만에 헤엄쳐건너는데 성공했다.거친 풍랑을 자주 만나 밀려나는 바람에 그가 실제 수영한 거리는 직선거리보다 14㎞ 이상 늘어난 123.58㎞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産油대국 中國 석유수급 비상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석유생산 대국인 중국이 석유수급 대책마련에 비상이 걸렸다.국가전략 석유비축량이 1주일분을 겨우 유지할 정도로 바닥나고있기 때문이다. 홍콩 명보(明報)에 따르면 1999년 중국의 석유생산량은 약 1억7,000만t.반면 석유소비량은 매년 4% 정도 늘어나며 지난해 2억t선을 넘어섰다.따라서지난해 석유 4,500만t을 수입하는 등 석유수입량이 큰 폭으로 늘어나고 있다. 1990년대초 들어서만해도 중국은 석유생산 대국이어서 석유수출이 증가세를보였다. 하지만 1993년부터 중국내 석유생산이 소비수요를 따라가지 못해 처음으로 석유를 수입함으로써 석유수입국으로 전락했다.이후 석유수입은 해마다 큰 폭으로 증가하며 97년 3,384만t을 수입한데 이어,98년에는 4,000만t을넘었다. 중국이 석유수입국으로 전락한 것은 고도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경제의 급성장과 공업화로 국내 생산량으로는 급증하는 소비수요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탓.여기에 석유생산을 위한 첨단 기술 및 장비부족도 생산량 확대의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지난해말 현재 중국의 석유 매장량과 천연가스 매장량은 각각 203억t,2조2,000억㎥.하지만 유전개발은 매장량의 20%선에 그치고 있고,천연가스전 개발 역시 비슷하다.따라서 중국은 앞으로 석유생산을 위한 첨단기술및 장비를 확보하지 못하면 오는 2010년 석유 소비량(2억9,600만t)의 40%인 1억1,800t을 수입해야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이 때문에 중국은 대대적인 석유수급 대책 마련에 나섰다.새로운 유전개발에 착수하는 한편 공산품 값을 올리고 석유소비를 줄이기 위해 대(對)국민홍보에 열을 올리고 있다. khkim@
  • [베이징은 지금] 中에도 SOHO족 등장

    “왕링(王玲·여·31)씨는 지난해까지만 해도 베이징 주재 외국기업체에서광고관련 업무를 담당하면서 수입면에서 안정적인 생활을 해왔다.그러나 자신의 다섯살된 아이를 자식처럼 돌봐줄 사람이 없어 회사에 나가도 일이 손에 잘 잡히지 않았다. 자신의 아이를 돌보면서도 근무를 할 수 있는 일을 찾다가,우연히 친구들의 권유로 집안에서 자신의 근무경력을 이용,일정한 수입을 올릴 수 있는 소규모 창업이 가능하다는 얘기를 들었다.그래서 올초 다니던 기업에 사표를 내고 자신의 근무경험을 활용할 수 있는 광고관련 업무에 대해 자문을 해주는소호(SOHO)를 창업했다.” 중국에도 미국 등 선진국에서 보편화된 이른바 재택근무 자유직업인인 ‘소호족’이 등장했다.소호(SOHO·Small Office Home Office)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집이나 작은 사무실을 기반으로 한사람이 경영하는 소규모 사업형태.집안에다 전화·컴퓨터·팩스·프린터·비디오 등 멀티미디어와 사무용품 등을 설치,이를 이용해 각종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사람들이다.소호족은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광저우(廣州) 등 중국 대륙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급속하게 확산되고 있다고 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가 보도했다.소호족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이유는 규율을 엄격하게 지키고 복잡한 인간관계를 맺어야 하는 회사를 벗어나,보다 자유롭고 자신의 개성을 추구할수 있는 데다 자신의 창의력을 발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집안에서 근무하다보니 출퇴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데다 그리 많은돈이 들지 않는 소규모 창업도 가능하다는 것 등이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주요 업종은 여행정보 서비스·인터넷 펜팔·호텔 할인예약 서비스 등 단순업무에서부터 광고디자인·설계 및 법률사무소 업무 등 전문업종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그러나 소호족으로 자리를 잡기는 쉽지 않다.소호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반짝이는 아이디어 ▲한 분야의 전문기술 ▲엄격한 시간관리 ▲미래에 대한정확한 목표 설정 등이 필요하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김규환 특파원 khkim@
  • 천수이볜 “하나의 중국 수용 불가”

    천수이볜(陳水扁) 타이완(臺灣)총통의 신정부 출범 이후 ‘태풍 전의 고요’처럼 소강상태를 보이던 중국-타이완 양안(兩岸)관계에 다시 냉기류가 흐르고 있다.천 총통이 취임 후 처음으로 타이완이 독립국임을 천명한데 이어타이완 정부가 유엔 가입안의 총회 상정을 재추진하자 중국이 관영언론을 동원,강력히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천 총통은 4일 미국 경제주간 비즈니스 위크와의 회견에서 “타이완은 주권독립국가로 제2의 홍콩이나 마카오가 될 수 없는 만큼 중국 대륙이 요구하는‘하나의 중국’정책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공식 선언했다. 타이완 정부도이날 지난 7년 동안 좌절돼온 유엔 가입안의 총회 상정을 재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 여기에 미 정부가 오는 13일 카리브해 연안국 방문길에 나서는 천 총통에게로스앤젤레스에서 하룻밤 묵을 수 있도록 통과 비자를 발급, 양안관계의 냉기류 확산을 부추겼다.천 총통이 미국에 도착하는 날은 공교롭게도 미 민주당 전당대회 개막 하루 전날이어서,빌 클린턴 미 대통령과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등 미 행정부의 고위관리들이 이날 전당대회 참석차 로스앤젤레스를 찾을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 중국 정부는 언론을 통해 타이완과 그 동조세력을 맹공격하고 나섰다.인민일보(人民日報) 등 중국 관영언론들은 최근 일련의 행위는 ‘하나의 중국정책’에 대한 명백한 도전이며,주권국인 중국 정부에 대한 내정간섭이라고 성토했다.왕잉판(王英凡) 유엔주재 중국대표는 “타이완은 중국 대륙의 영토와 뗄레야 뗄 수 없는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1개의 성(省)이기 때문에 중국 정부가 전(全) 중국의 유일합법 정부”라면서 “따라서 타이완 문제는 한반도나 독일 문제와는 본질적으로 다른 만큼 논의할 가치조차 없다”고목소리를 높였다. 또다른 중국 관리도 천 총통의 발언이 미국을 경유하는 중남미·아프리카순방을 앞두고 타이완 문제를 국제사회에 이슈화시키기 위한 것이라며 그가‘독립주의자’로서의 마각을 드러냈다고 비난했다. 이에 앞서 중국은 97년 리덩후이(李登輝) 전 총통이 중미지역 순방길에 하와이에 들렀을 때와 샤오완장(蕭萬長) 전 행정원장의 미국 경유 여행 때 미정부가 비자를 발급하자 격렬하게 항의했다.특히 천 총통은 타이완 독립문제와 관련,정치상황에 따라 말을 바꾸고 중국측이 집요하게 요구해온 ‘하나의중국’ 원칙 수용을 교묘하게 회피,중국 정부의 심기를 불편하게 만들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華圈 내손안에” 실세50人 누굴까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홍콩·타이완을 한데 묶은 거대 중화권(中華圈)을 움직이는 실세들은 누구일까.홍콩 명보(明報)는 3일 정치·경제·문화등 사회 각 분야에서 중화권에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장쩌민(江澤民)국가주석 등 ‘파워인물 50인’을 선정,보도했다.이 가운데 중국이 23명,타이완이 19명,홍콩이 8명을 차지했다. ◆정계 중국의 당·정·군을 장악하고 있는 장 주석이 1위,‘중국 경제의 황제’로 불리는 주룽지(朱鎔基) 총리가 2위에 등극했다.천수이볜(陳水扁) 타이완 총통은 3위,둥젠화(董建華) 홍콩 행정장관은 9위에 각각 올랐다.장 주석의 후계자로 유력한 후진타오(胡錦濤)국가부주석은 6위,후의 강력한 라이벌로 장 주석의 최측근 쩡칭훙(曾慶紅) 당조직부장은 14위로 뛰어올랐다.89년 톈안먼(天安門)사태 때 실각당한 자오쯔양(趙紫陽) 전 당총서기가 50위에올라 눈길을 끌었다. ◆재계 홍콩 재벌 리자청(李嘉誠) 장강실업회장이 막강한 정계의 실력자들을제치고 파워인물 4위를 차지했다.타이완 재벌 왕융칭(王永慶) 타이완 플라스틱회장이 12위에 진입,타이완 경제를 견인하고 있음을 입증했다.중국과 타이완 양안(兩岸)간의 대화협상 창구인 중국의 왕다오한(王道涵)중국 해협회 회장과 타이완의 쿠전푸(辜振甫) 타이완 해기회 회장은 각각 8위, 17위를 차지했다.중국 대륙에서는 ‘인터넷의 총아’로 불리는 왕즈둥(王志東)시나콤 회장이 46위로 체면치레를 했다. ◆문화계 ‘붉은 수수밭’,‘친융(秦俑)’ 등으로 유명한 중국 영화감독 장이모우(張藝謀)가 37위,천 타이완 총통 취임식에서 타이완 국가를 불러 ‘중국 정부의 영구적 블랙리스트’에 오른 타이완 여가수 장후이메이(張惠妹)가38위,홍콩 액션배우 청룽(成龍)이 43위에 등재됐다. ◆언론계 홍콩 명보의 창립인 차량용(査良鏞)이 32위,타이완의 최대 유력지‘중국시보(中國時報)’의 회장 위지충(余紀忠)이 40위,사오이푸(邵逸夫) 중국 TV방송 행정주임이 47위에 올랐다. ◆종교계 ‘타이완의 테레사 수녀’로 불리는 쩡옌파스(證嚴法師) 타이완 불교 자제공덕회 창립자가 18위,싱윈파스(星雲法師) 불광산개산종정이 34위에각각 이름을 올렸다. khkim@
  • 中의 ‘여름 수도’에 가다

    베이징(北京)에서 동쪽으로 270㎞쯤 떨어진 보하이(渤海)만의 허베이(河北)성 친황다오(秦皇島)시 베이다이허.중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여름철 휴양도시로 해변을 따라 울창한 소나무 숲이 길게 늘어서 있는 해수욕장으로 유명하다. 베이다이허의 초입에 있는 일반인 해수욕장에서 남쪽으로 1.5㎞쯤 가면 울창한 숲 속에 보하이만의 푸른 파도가 넘실거리는 모습이 한눈에 들어오는야트막한 산자락을 만난다.이곳이 바로 베이다이취 중즈(中直)로 영도(領導·최고 지도부)들의 하계 별장이 모여 있는 곳이다.휴양소의 겉모습은 매우소박하다.주황색 지붕에 흰색 2층 건물로 꾸며진 휴양소의 주위는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고,1∼1.5m의 담장으로 둘러싸여 있다.숲 속에는 10∼20m 간격으로 무장 경찰들이 철통 같은 경계활동을 펴고 있어 일반인들과 관광객들의접근이 금지돼 있다. 베이다이허는 휴양지보다 중국의 ‘하계 수도’ 역할의 비중이 더 크다.중국의 지도부가 7월 말이 되면 이곳으로 옮겨 모든 업무를 처리하고 있기 때문.올해도 지난달 31일부터 장쩌민(江澤民)국가주석 등 최고 지도부가 모여보름 동안 휴식을 취하며 국사(國事)를 논의하는 베이다이허 회의가 시작돼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이번 회의에서는 ▲2002년 이후의 후계 권력체제 ▲서부 대개발 ▲샤먼(厦門)밀수사건 등 공개적으로 논의하기 어려운 부정부패 척결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의 경제운용 등이 주요 의제이다.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후계 권력체제.장 주석이 2002년 당·정·군의 최고 지위 중 몇개를 내놓느냐는 점이다.현재의 권력체제는 장 주석과 주룽지(朱鎔基)총리 등 상하이(上海) 출신의 인맥으로 구성된 상하이방(幇)이 중추를 이루고 있다.따라서 차기 후계자로 유력한 후진타오(胡錦濤)국가 부주석에게 모든 권력을 넘겨주기는 힘들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후 부주석은 상하이방이 아니어서 그에게 모든 권력을 주면 상하이방이 와해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중국 최고 지도부의 베이다이허 휴가생활은 지극히 평범하고 평온하다.오전에는 국사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하고 오후에는 각자 자유시간을 즐기고 있다.오전에는 최고 지도부(정치국 상무위원)나 국무원,정협 등이 자기 소속 그룹끼리 서로 만나 격식 없는 자유 토론을 갖고,오후에는 가족들과 수영을 즐기거나 손자·손녀의 재롱을 보기도 하고,독서 등으로 소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침 일찍 장 주석이 “차를 같이 마십시다”라고 하면 베이다이허 회의는시작된다.시작은 느슨해도 회의가 진행되면 중국의 최고 현안들을 진지하게토론한다.난상토론을 벌이다가 큰소리가 오가기도 한다.리펑(李鵬)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상무위원장은 전인대 대표로,리루이환(李瑞環)은 정치협상회의(정협) 대표로 각각 참석,소속 의견을 개진하기 때문에 모든 권력을 장악한 장 주석도 독단적인 결정을 내릴 수 없다.현안 해결 방식은 상무위원 7명의 만장일치가 원칙이다.이런 회의 운영 방식이 언뜻 독재로 흐르기 쉬운이 공산주의 지도체제에 민주적인 원칙을 잡아주는 중심 축이기도 하다. 김규환 특파원 khkim@kdaily.이com
  • 中 베이다허 회의 금명 시작

    중국은 금명간 당·정·군 원로들과 현 지도부가 해마다 베이징(北京) 동부 하계 휴양지인 보하이(渤海)만 인근의 베이다허(北戴河)에 모여 갖는 ‘베이다허 회의’를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28일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21세기들어 처음 열리는 베이다허 회의는 올 가을에 열릴 예정인 15기 당중앙위원회 4차 전체회의(4중전회)에서 집중 토의될 예정인 차기 당지도부 인선에 대한 사전 정지작업이 진행될 전망이다. 회의에서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과 쩡칭훙(曾慶紅) 당조직부장,우방궈(吳邦國)·원자바오(溫家寶) 부총리 등의 제4세대 지도자들이 부상할 것으로 예상된다.특히 최근 스페이(謝非) 정치국위원의 사망으로 공석인 된 자리에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의 측근인 쩡 부장의 정치국위원 진입 여부가결정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회의는 고위간부의 세대교체(年輕化)를 강력히 추진하는 한편,부패청산 작업에 대한 집중 논의도 있을 것으로 알려졌다. 장 주석은 지도부의 부정부패 문제가 심각한 상황에 도달했다고 판단,지난 4월 아시아·유럽 순방이후 16차 당대회에서 70세 이상 중앙위원들을 퇴진시키고 40∼50대의 젊은 간부들로 자리를 메울 것임을 강력히 내비쳤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權丙鉉 駐中대사 문답

    권병현(權丙鉉)대사와 주창준(朱昌駿)북한대사의 26일 만남은 베이징 주재북한대사관에서 오전 9시부터 1시간 가량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서 이뤄졌다.권대사는 주대사가 “인사를 와줘 고맙다”는 인사를 전했다고 말하고 주대사가 일흔을 넘긴 나이에도 매우 건강해 보였다고 밝혔다.이 자리에는 한국대사관의 박준우 정무참사관과 엄기성 정무과장이, 북한대사관의 태훈일참사관과 정현우 3등서기관이 각각 배석했다. 다음은 권대사가 소개한 이날주대사와의 대화 내용이다. ■주대사와 나눈 얘기중 주요한 내용에 대해 간략히 말해달라. 북한당국은 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의 평양방문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고 주대사가 전했다.북한은 남북한 정상이 합의한 남북 공동선언의 5개항을 성실히 이행하는 문제가 앞으로 가장 중요하다며 북한당국은 5개항을 성실히 준수할 것이라고 주 대사가 밝혔다. 주대사는 특히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남측을 방문할 것이라고 밝히고 부장급(장관급)회담도 예정대로 잘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이산가족방문 준비도 성실히 이행되고있고 언론사 사장단의 북한방문도 실현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주대사가 전했다. 주대사는 또 ‘외교단장 형식이 아니면 내가 안 만날 것을 우려했느냐’고물으며 ‘그러지 않아도 만났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계기를 통해 앞으로 남북 대사끼리 서로 자주 만나자고 말했다. ■김 국방위원장의 서울방문시기에 대해 언급이 있었는지. 구체적인 언급 없었다. ■앞으로 남북한 대사의 만남은 정례화되는 것이냐. 정례화는 아니다.이번 만남으로 물꼬를 텄다고 본다.주대사는 남북 정상들이 만났는데 우리들이 못만날 일이 어디 있느냐며 전세계 남북한 대사관끼리대화협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임인사 요청은 언제 했나. 10일전쯤 된다.월요일인 24일 통보를 받았다. ■북한대사관에서 무슨 선물을 받았나. 베이징에 주재하는 대사들 중에서 원하는 사람 몇이서 돈을 모아 은으로만든 종을 선물해 주어서 오늘 북한대사관에서 받았다. ■재임기간중 주대사를 몇번 만났나. 대사들간의 만남 행사장을 포함 5∼6번 정도 만났다,98년 중반쯤 처음 만났을때 주 대사는 아무 말도 않고 손만 꽉 잡았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남북 “국제무대 협력” 합의

    지난달 김대중(金大中)대통령과 김정일(金正日)북한 국방위원장의 역사적인평양 정상회담 이후 남북이 ‘대결외교’에서 벗어나 본격적인 ‘화해외교’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26일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이 열리는 방콕에서 남북 외무장관이 분단 이후 사상 첫 회담을 가졌고 중국 베이징(北京)에서는 주중 남북 대사가 북한대사관에서 처음으로 회동,앞으로의 협력관계를 강조했다. 이정빈(李廷彬)외교통상부장관은 이날 오후 백남순(白南淳)북한 외무상과방콕 쉐라톤호텔에서 40분간 만나 국제무대에서 남북이 상호 협력하는 것을골자로 하는 공동발표문을 채택했다. 이 장관은 ▲남북 재외공관간의 상시 협의 채널 구축 ▲유엔과 아세안지역안보포럼 등에서의 외무장관회담 정례화 및 협조 ▲북한의 아시아개발은행(ADB),아·태경제협력체(APEC) 등 국제기구 가입 지원 등을 제시했다.또 북한과 미·일과의 관계 개선을 위해 지원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백 외무상은 “앞으로 이같은 남북 협력 사안에 대해 의논해 나가자”는 입장을 제시했다. 이 장관은 백 외무상에게 북한의 미사일 개발에 대한 국제적 우려를 해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뜻을 전달했으며,백 외무상은 미사일 개발은 평화적인용도라는 점을 재확인했다고 배석했던 당국자가 전했다. 백 외무상은 오는 9월 유엔 밀레니엄 총회때 외무장관회담뿐 아니라 만찬과오찬을 함께하자는 이 장관의 제의에 대해 “기꺼이 응하겠다”고 말했다고이 당국자는 덧붙였다. 앞서 이날 오전 권병현(權丙鉉)주중 한국 대사는 다음달 7일 이임하기 앞서주중 외교사절단 단장인 주창준(朱昌駿)북한 대사를 예방, 이임 인사를 했다.주중 한국 대사가 북한대사관 내로 태극기를 단 승용차를 타고 들어간 것은처음이다. 이날 권 대사가 “전세계 남북 대사관끼리 대화 협력하는 게 어떠냐”고 제의하자 주 대사는 “남북 정상이 만났는데 우리들이 못만날 일이없으며 다른 대사관도 나와 같은 권한을 가졌으므로 가능하다”고 밝혔다. 주 대사는 “통일되면 대사관을 같이 쓸 수 있다”고 말했다.주 대사는 88년 9월부터 주중 북한 대사로 있는 외교 실세로 알려져 있다.한편 동남아국가연합(ASEAN)과 한·중·일 외무장관은 이날 6월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를 지지하는 의장성명을 발표했다. 베이징 김규환 방콕 오
  • [베이징은 지금] 대형사고 잠못 이루는 中대륙

    중국 대륙이 요즘 대형 안전사고가 빈발하는 바람에 곤혹스러워하고 있다.경제성장 위주의 정책에 따른 안전불감증이 만연하고 있는 탓이다. 관영 광명일보(光明日報)에 따르면 최근 중국 전역에서 10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대형 안전사고 건수는 60여건으로 모두 1,300여명이 사망했다.4월 이후에만도 6건의 대형 사고가 발생,370여명이 숨지고 140여명이 크게 다치는등 대형 안전사고가 줄을 잇고 있다. 지난 4월15일 산시(山西)성 쿠(古)현 융러(永樂)향에서 대형 가스폭발사고가 일어나 43명이 죽고 1명이 중상을 입은데 이어,22일 산둥(山東)성 칭저우(靑州)시에서 대형 화재가 발생,38명이 사망하고 20명이 크게 다쳤다. 이에 당황한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각급 간부들의 안전사고 문제에 대한책임을 태산보다 더 무겁게(엄중하게) 다스리겠다”고 불호령을 내렸지만 아직까지 별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5월에 소강국면을 보이던 대형 안전사고가 6월들어 잇따라 발생했기 때문이다. 지난달 22일 스촨(四川)성 허장(合江)현에서 유람선이 침몰하는 바람에 130명이 몰사했고,같은 날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도 비행기 추락사고로 49명이 사망하는 등 하루동안 179명이 숨지는 대형 참사가 빚어졌다. 또 30일 광둥(廣東)성 장먼(江門)시에서도 폭죽공장 폭발로 37명이 사망·실종됐고 121명이 중상을 입었다.지난 7일에는 광시(廣西)장족(壯族)자치구의 류저우(柳州)시에서도 버스가 다리 아래로 추락하는 바람에 모두 79명이숨을 거뒀다. 중국에 대형 안전사고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야오첸 뿌야오밍(要錢不要命·돈이 목숨보다 더 중요하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물질 만능주의가팽배해 있는 것이 가장 큰 원인이다. 이러한 현상은 지방에 내려 갈수록 더 심해 대부분의 지방 중소기업들은 안전사고에 대한 개념조차 없다. 경미한 처벌도 안전사고를 부채질하는 요인이다.광둥성 폭죽공장 폭발사고의 경우 겨우 5위안(약 650원)의 벌금만 물렸으나 귤을 몇개 훔친 사람은 50위안의 벌금을 물어야 한다. 김규환 특파원 khkim@
  • [베이징은 지금] 中 파룬궁 아직도 ‘의기양양’

    중국 정부와 파룬궁(法輪功)간의 ‘힘겨루기’가 장기화될 전망이다. 중국정부가 파룬궁에 대해 강력한 척결의지를 거듭 밝히고 공안(경찰)당국을 통해 단속활동을 펴고 있으나,파룬궁 수련자들은 톈안먼(天安門)광장 등 대륙곳곳에서 숨바꼭질 시위를 벌이며 강력한 저항을 벌이고 있기 때문이다. 파룬궁 불법화 1주년을 맞은 22일 인민일보(人民日報)·광명일보(光明日報)등 중국 관영언론들은 거의 한면을 할애,“반과학적이고 반인류적이며 반사회적인 사교조직 파룬궁을 뿌리뽑아야 한다”는 논평을 일제히 보도했다.중국 중앙방송(CCTV) 등도 “리훙즈(李洪志·미국 거주)와 파룬궁은 사악한 종교교단을 중국 정부에 반대하는 정치집단으로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해외반(反)중국단체들의 도구가 되고 있다”고 비난했다. 공안당국은 앞서 20일 파룬궁 간부들에 대한 체포 작전에 들어갔고,파룬궁수련자들의 시위가 잦았던 톈안먼 광장과 중국 권부(權府)의 중심지 중난하이(中南海)를 중심으로 단속 활동에 들어갔다.당국의 발표에 따르면 파룬궁수련자들은올 6월말까지 140여명이 형사처벌을 받았다. 이에 맞서 리훙즈는 이날 인터넷을 통해 파룬궁의 합법화를 요구하는 “나는 평화적인 방법으로 중국 정부에 진실을 호소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처럼 파룬궁의 열기가 수그러들지 않는 것은 시장경제 체제의 진입에 따른 부산물인 ▲실업자 급증 ▲빈부격차의 심화 ▲부정부패 만연 등으로 중국인들이 정신적인 구심점을 잃으면서 잠재적인 불만이 쌓여가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파룬궁과의 투쟁은 매우 복잡한 것이어서 장기간동안 철저하게진행시키지 않으면 안된다”고 한 신화통신의 논평은 앞으로도 파룬궁 척결이 쉽지 않음을 읽을 수 있는 대표적인 사례다. 김규환특파원 khkim@
  • ‘부패와의 전쟁’ 中정부 공직사정 수사국장 첫 공모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부정부패와의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정부가공무원 사정(司正) 수사의 핵심요직 인물을 공개모집하고 나섰다.중국 중앙정부가 핵심 요직을 공개채용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모집 대상은 최고인민검찰원 반탐오회뢰(反貪汚賄賂·반탐) 총국 국장급.우리나라의 대검찰청 중앙수사부장과 비슷한 자리다.중국은 초기단계 수사는공안(경찰)이 맡는다.하지만 반탐총국은 뇌물수수·독직 등 공무원 범죄에대해서는 초기단계부터 수사를 할 수 있다. 반탐총국 부국장의 지원자격은 반탐총국의 근무경력이 11년 이상 돼야 하며,국가사회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치는 사건들을 수사한 건수가 30건을 넘어야 한다.선발기준도 매우 까다롭다.업무협조 및 정책결정능력,전문지식,종합분석력,언어표현력 등 5개 부문의 관문을 통과해야 된다. 이번 공개모집은 공무원 인사제도 개혁을 통해 능력있는 인사를 선발하려는 의지로 분석된다.특히 강력한 형집행에도 불구,끊임없이 되풀이되는 공무원의 부패사슬을 끊기 위해 사정수사의 독립성과 공정성도 확보하겠다는 강력한 의지도 담고 있다. khkim@
  • 北, 미사일개발 포기 시사/ 美‘中‘日 반응

    * 미국측 반응. 미국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북한 미사일과 관련, 18일 언급한내용에 대해 즉각적인 논평을 자제한 채 신중한 자세를 보이고 있다. 조 록하트 백악관 대변인은 19일 “좀더 자세히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면서 “추가논평에 앞서 푸틴 대통령 언급관련 보도내용을 검토해봐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미국은 북한 미사일 계획 포기 의사와 관련,외교경로를 통해푸틴 대통령의 정확한 발언내용과 의도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는 판단이다. 미행정부는 북한이 개발포기 의사를 간접적으로 알려 10억달러 대가의 필요성을 높이려한다는 측면에 대해서는 명분도 없고 대량살상무기의 개발을 조장하는 결과가 나타날 수도 있다는 부정적 시각을 갖고 있다.미국은 북한의미사일 기술은 98년 8월 북한의 발사실험에서 3단계추진에서 실패한 것으로파악하고 있어 추진 기술의 북한유입을 주목한다. 국가미사일 방어망 계획(NMD)이 현안인 미국으로서는 러시아가 중국과 반 NMD노선을 천명한 것이나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과의 회담 이후 나온 발언내용에 대해 향후 자체 운신의 폭을 염두에 둬 발언수위를 조절해야하는 어려움도 있다. 워싱턴 최철호특파원 hay@. *중국측 반응. 중국은 북한이 평화적인 우주탐사용 로켓발사체의 기술을 제공받으면 미사일 개발프로그램을 포기하겠다는 보도와 관련, 일단환영하는 분위기이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중국 정부가 그동안 북한 등 주변국의 미사일 등대량 살상무기 개발프로그램이 아시아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저해할 수 있다는 원칙을 고수해왔다”며 “특히 미국과 함께 21세기 양강(兩强)구도 진입을 꿈꾸고 있는 중국은 동북아지역의 정세가 불안정해질 경우,초강대국 진입이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에서 직간접적으로 주변국들에 대해 대량 살상무기개발프로그램의 중단을 촉구해오고 있다”고 밝혔다. 이 때문에 중국은 러시아와 공동 보조를 통해 미국의 국가방위체제(NMD)구축이 세계 힘의 균형을 깨고 새로운 군비경쟁을 촉발할 가능성이 있다고보고강력히 반대하고 있다는 것이다. 북한의 미사일 유보 의사와 관련,중국 정부는 아직까지 구체적인 입장을 표명하지 않고 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일본측 반응. 일본정부는 북한의 미사일 개발포기 보도에 대해 공식논평을 자제하고 “북한의 진의를 좀더 지켜보자”는 신중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언론들의 반응도같은 맥락이다. 아사히(朝日)는 20일자 해설기사를 통해 “북한에게 미사일은 자주권과 생존권이 달려 있는 문제”라고 지적,“김 국방위원장이 회담중 어떤 문맥에서이런 발언을 했는지 확실히 밝혀지지 않는 한 ‘미사일 개발 포기’는 액면그대로 받아들이기 어렵다”고 말했다. 아사히는 “두 정상이 무기로서의 ‘미사일’과 우주위성을 쏘아올리는 ‘로켓’이라는 용어를 회담에서 두 정상이 분리해 썼을 가능성이 있다”고 덧붙였다. 요미우리(讀賣)는 “미국이 추진하는 NMD 계획에 대한 북·러의 대응전술이숨겨져 있다”면서 “러시아는 북 미사일 개발을 억제한 역할을 함으로써 NMD 계획 포기나 규모축소를,북한은 미사일 포기대가를 미국에 요구할 수 있게 된다”고 말했다. 황성기기자
  • 푸틴, 오늘 북한 방문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은 18일 중·러 전략적 동반관계를 강화하고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억제하기 위한 양국정상회담을 마친 뒤 중-러 관계가 새로운 발전단계로 접어들었다고 선언했다. 장 주석은 이날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예정보다 두배 이상 길어진 3시간여의 정상회담을 마친 뒤 이같이 말했다. 이에 앞서 장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공동성명을 발표,미국에 국가미사일방위(NMD) 체제를 포기할 것을 촉구했다.두 정상은 공동성명에서 “러시아와중국은 세계의 전략적인 균형을 깨뜨릴 수 있는 미사일 파괴 방위체제를 구축하려는 국가들을 관심있게 계속 지켜보고 이를 저지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취할 것을 국제사회에 호소한다”고 말했다. 장 주석과 푸틴 대통령은 이날 NMD에 반대하는 공동성명 외에도 ▲중·러쌍무관계에 대한 공동선언 ▲금융협정 ▲에너지 공동개발조약 ▲고속뉴트론실험로 공동건설협정 등 5개 협정을 체결했다. 푸틴 대통령은 19일 오전 북한으로 출발하는데 장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남북정상회담 이후 싹트기 시작한 남북 관계개선 분위기를 한반도의 평화정착으로 이어가기 위해 중국과러시아가 취할 협력방안 등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를 한 것으로 알려졌으나구체적인 내용은 밝혀지지 않았다.khkim@
  • [베이징은 지금] 中 주식시장 ‘상한가 메들리’

    중국대륙의 주식시장이 폭발적 활황장세를 보이고 있다.지난해 12월말 1,360선을 맴돌던 상하이(上海) 증시의 주가는 연일 급등세를 보이며 17일 장중한때 1,997,93을 기록하는 등 2,000선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선전(琛?) 증시도 99년말 400선이던 주가가 큰폭의 오름세를 타며 600선을 가볍게 넘었다.상하이 증시와 선전 증시가 지난 6개월여 동안 각각 47%,52% 이상 급등함으로써 주식시장에 거품이 일고 있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올 정도이다. 중국의 증시가 활황세를 보이는 것은 중국의 각종 경제지표가 호황을 구가하고 있는 덕분이다.1·4분기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당초 예상치보다 훨씬 높은 8.1%를 기록했다.이에 따라 중국 당국은 올 경제성장률 목표를 당초 7%에서 8%로 1%포인트 상향 조정했다. 대외수출도 크게 증가했다.상반기의 수출액은 1,145억달러로 전년동기보다38.3%나 급증했다.무역흑자도 지난해 동기보다 50% 가까이 늘어난 123억달러를 기록했다. 외국인투자도 큰 폭으로 늘고 있다.상반기중 외국인투자액은지난해 같은기간보다 24.6%가 는 242억달러이다.외환보유고는 1,568억달러를 기록,지난해말보다 21억달러 늘었다. 20여개월째 지속되던 극심한 디플레현상에서도 벗어날 전망이다.6월 소비자 물가상승률이 0.1%로 나타나 오름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베이징 주재 한국대사관의 이두호(李斗浩) 재경관은 “아직 중국 경제가 디플레를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그러나 “중국의 대도시를 중심으로 소비수요가 되살아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중국 증시의 폭등세가 머지 않아 조정을 받을 것이라는 시각도 만만챦다.중국의 하반기 기업 구조조정이 끝나면 내재가치가 있는 기업들의 대량상장으로 물량공급이 크게 확대돼 주가상승의 발목을 잡을 것이란 얘기다. [김규환특파원]khkim@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