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규환
    2025-10-17
    검색기록 지우기
  • 강신
    2025-10-17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79
  • [중국 명승지를 가다] (3.끝)장자방이 숨은 후난성 장자제

    [장자제(張家界) 김규환특파원] 4세기 동진(東晋)시대 때의 일이다. 한 어부가 전에 보지 못했던 강을 발견하고 상류로 배를 저어갔다.계곡의 주위에는 복숭아꽃이 만발했고,떨어진 꽃잎은 계곡 물을 아름답게 수놓고 있었다.계곡 한쪽에 동굴이 있어 들어가보니 새로운 세계가 펼쳐졌다.넓은 평야에 오곡백과는 무르익었고 사람들은 기쁨에 넘쳐 있었다.진시황의 폭정을 견디다 못해 피난해온 이들은 600년이 지났지만 바깥 세상의 일은 모르고 있었다.풍광이 뛰어나고 살기가 좋아 세상이 바뀌고 세월이 흐르는 줄도 모르고 사는 곳.무릉도원이 바로 여기에 있었다. 베이징에서 비행기로 2시간쯤 날아가면 도착하는 곳이 후난성 장자제(張家界).도원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무릉도원의 실제 무대이다.금강산의 빼어난 기암괴석,미국 그랜드캐년의웅장한 계곡,동굴 속의 석순과 종유석의 신비.이 모든 것을 한꺼번에보고 싶으면 장자제로 가면 된다. 장자제라는 이름은 한 고조 유방(劉邦)을 도와 천하를 평정한 책사장량(張良)이 죽음을 피해 살 곳을 찾다가 이곳에서 마을을 이뤘다는뜻에서 유래됐다. 시내 중심부에 뤼수이허(澧水河)가 흐르고 기암괴석에 둘러싸인 장자제는 원래 소수민족중 하나인 투자주(土家族)가살던 곳이어서 인구 150만의 60%인 90만명이 투자주들이다. 장자제에 도착하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게 톈먼둥(天門洞)이다.공항에 내리면 높은 산 한가운데 뻥 뚫린 구멍을 볼 수 있다.어린아이 주먹만하게 보이지만 실제로는 높이 150m,넓이 20m,길이 20m의 거대한 구멍이다.하늘로 통하는 문이라고 해서 톈먼동이라고 한다.지난해 세계 곡예비행 선수권대회가 열렸을 때 비행기 2대가 동시에 이구멍을 통과하는 묘기를 펼쳐 기네스북에 올랐다. 풍광의 압권은 톈즈산(天子山)과 황스차이(黃石寨)다.장자제가 ‘중국의 금강산’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텐즈산과 황스차이에 금강산보다많은 2만개 이상의 기암괴석들이 기기묘묘한 형상을 하고 있는 덕분이다.1,200여m의 톈즈산은 그리 높지 않지만,정상에서 내려다보면 마치 금강산과 그랜드캐넌을 합쳐 놓은 것과 같은 대장관을 연출하고있다. 황스차이는 3,100여개의 기암괴석 봉우리들이 저마다 뛰어난 자태를뽐내고 있다. 하늘 높이 치솟은 기암괴석의 봉우리 사이로 거울같이맑은 물과 협곡 등이 어우러져 비경을 이루고 있다.3억8,000만년전망망대해였으나 바닷물이 빠져나간 뒤 오랜 세월 동안 풍화·침식작용을 거쳐 이뤄진 기암괴석들이 한폭의 동양화를 연상케 한다. 용왕의 전설이 깃들어 있다는 황룽둥(黃龍洞)은 영국 지질탐사대가“세계 동굴학의 모든 내용을 망라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지금까지 발견된 동굴중 으뜸”이라고 평가했다.수천개의 석순과 종유석으로 이뤄진 이 동굴은 상하 4개층으로 돼 있고 아래 2층에는 사계절 내내물이 흘러내린다.동굴 안의 높이가 160m,동굴 길이는 20㎞(개발중이어서 관광코스는 3㎞ 정도)에 이른다.동굴 안에는 저수지 1개,시내 3갈래,폭포 3개,연못 4개 등이 어우러져 있으며 관광하는 동굴의 길도 무려 96갈래나 된다.눈길을 사로잡는 것은 ‘딩하이선전(定海神針)’으로 불리는 석순이다.중국의 세계 자연유산중 유일하게 1억원의보험에 들었다.꼿꼿하게 치솟은 석순의 높이가 무려 19.2m여서 금방이라도 부러질 것같다.하지만 보험사가 지질학자를 동원해 조사한 결과 부러지지 않을 것이라고 평가해 보험을 받아들였다. 황스차이 옆에는 수려한 계곡 진볜시(金鞭溪)가 있다.울창한 삼림속에 7㎞에 이르는 이 계곡의 양쪽에는 깎아지를듯 치솟은 기암괴석들이 아찔한 현기증을 일으키게 한다.황스차이가 기암괴석을 발밑에두고 내려다보는 풍경이라면,진볜시는 황스차이에서 바라본 풍경을하늘을 향해 고개를 90도 들어 쳐다보는 풍경이다.같은 기암괴석이라도 완전히 다른 모습으로 다가오는 셈이다. 계곡 물속에는 공룡의 흔적이 남아 있는 발이 달린 물고기 ‘와와어’가 살 정도로 물이 깨끗하다.계곡을 따라 한굽이 돌면서 ‘와’하고 감탄하고 또 한굽이를 돌면서 ‘와’하고 외친다고 해서 장자제관광을 ‘와와관광’이라고 한다는 말에 공감이 간다. 장자제의 민속 관광은 투자주의 전통민속 박물관인 수이화산관(秀華山館)이 해결해 준다.96년 개관한 수이화산관은 중국 유일의 개인박물관으로천추화(陳楚華)·궁다오수이 부부가 20여년 동안 수집한투자주 전통민속품의 결정체들로 구성돼 있다.고풍스러운 3층 건물로된 이 박물관은 투자주의 정서에 흠뻑 빠져들게 한다.박물관 관람은투자주의 생활상을 엿보는 재미 외에도 투자주 아가씨들이 불러주는애잔하고 아름다운 사랑이야기의 노래를 통해 투자주의 정취를 한껏느낄 수 있다. 못먹는 게 없다고 하는 중국 대륙이지만 장자제의 요리는 매우 독특한 맛을 낸다.야생동물이 많아 야생 닭,멧돼지 요리가 주종을 이룬다.그중에서도 가파른 절벽에 붙어 있어 줄을 타고 내려가 채취한다는스얼(石耳)버섯과 오골계나 야생 닭을 곁들여 끓인 요리는 그야말로일품이다. 한국인 관광은 지난해 5월부터 본격적으로 이뤄졌다.항공편은 아직직항노선이 없다.주로 상하이∼구이린(桂林)∼장자제 코스나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장자제 코스,베이징∼장자제 코스 등을 이용하면 된다. khkim@. *장자제의 '주인' 土家族. [장자제(張家界) 김규환특파원] 장자제(張家界)의 ‘주인’은 사실상 소수민족중 하나인 투자주(土家族)이다.장자제 인구의 60% 이상인90만명이 투자주들인데다 2,500여년전인 춘추전국시대 때부터 이 일대에서 자리잡고 살아왔다. 인근 후베이(湖北)성과 스촨(四川)성 등에 흩어져 살고 있는 투자주까지 모두 합하면 투자주 전체 인구는 570여만명에 이른다.인구로 따지면 중국내 55개 소수민족중 6위권으로 비교적 많은 편에 속한다.이덕분에 후난(湖南)성 샹시(湘西)와 후베이성 언스(恩施)에 투자주 자치주를 꾸려가고 있다. 20세기 초반만 하더라도 자체 언어를 사용했으나 지금은 잊혀지고한어를 쓰고 있다.일부일처제를 고수하고 있으나 사촌간에도 결혼하는 등 동성동본 결혼풍습은 그대로 남아 있다.주거양식은 과거 우리나라와 매우 흡사하다.70년대 이전의 우리 시골과 비슷한 초가집이나흙으로 만든 기와집에서 살고 있다.생산활동은 주로 농업에 의존하고있다. 투자주 남자들은 대부분 자그마한 체구를 가졌지만 매우 뛰어난 ‘전사’들이다.중국의 소수민족중 용맹한 민족으로는 통상적으로 투자주·카자흐족·몽골족·만주족 등을 꼽는다.하지만 그중에서도 투자주가 가장 용감한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중국 역사상 명나라 때 왜구의 침입,아편전쟁,의화단사건에서 국공내전,한국전쟁 등으로 끊임없이 이어진 전쟁터에서 제일 앞장선 민족이 모두 투자주들이다.그들은 돌격대·결사대·특공대 뿐 아니라 최후의 사수대까지 도맡아 왔다. 19세기 아편전쟁 때에는 투자주 출신의 천(陳)씨 부자가 사각포대를사수하며 최후를 마칠 때까지 무려 500여명의 영국군을 죽였다는 사실이 전설처럼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더욱이 한국전쟁 때 영하 20도가 넘는 차디찬 물속에 뛰어들어 북한의 어린이를 구하다가 장렬히산화한 이름없는 청년도 후난성에 거주하는 투자주 출신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현재 투자주출신 최고위직 관리로는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대외연락부장인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 타이완 “내년부터 中과 해상 직교역”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과 타이완(臺灣)간의 직접교류가 제한적이긴 하지만 내년 1월1일부터 반세기만에 시작된다.타이완 정부가 2001년 1월1일부터 중국 대륙과 ‘샤오산퉁안(小三通案)’을 실시할 것이라고 발표한 덕분이다. 장쥔슝(張俊雄) 행정원장(총리격)은 19일 중국 본토와 가까운 곳에있는 진먼다오(金門島)를 방문,“중국과의 직접 해상교통 및 무역관계에 대한 금지조치를 해제하는 내용의 ‘소삼통안’을 실시할 것”이라며 “타이완과 중국 대륙은 대결을 피하고 화해로 전환시켜야 하며 선린·우호·협력관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타이완 기업들은 앞으로 대(對)중국 교역시 홍콩을 경유할 필요가 없어져 양안간 물류비용만도 연간 10억달러 이상 절감될것으로 전망된다.또 진먼다오에 700명,마쭈다오(馬祖島)에 100명 등매일 800명의 중국 관광객이 타이완을 방문할 수 있으며 진먼다오와마쭈다오에 한해 중국 소비재의 수입이 허용되며 앞으로는 철강과 모래 등 중국 건자재의 수입까지 범위를 넓혀나갈 예정이다. 타이완 대륙위원회가 입안한 ‘사오산퉁안(案)’은 타이완의 진먼다오의 랴오루어완(料羅灣)항과 중국 푸젠(福建)성 샤먼(厦門)항,마쭈다오주의 푸아오(福澳)항과 푸젠성 푸저우(福州)의 마웨이(馬尾)항등이 우선적으로 직항 및 교역을 실시하도록 돼 있다. 이에 대해 중국측도 매우 환영하는 분위기다.중국은 그동안 통일에의 길을 열기 위해 타이완이 본토와의 직접적인 해상 및 항공 교통과우편 교환에 대한 금지조치를 해제하는 ‘삼통(三通,通商·通航·通郵)’및 ‘사류(四流,경제교류·문화교류·과학기술교류·체육교류)’를 강력히 촉구해왔으나,타이완이 흡수통일을 의식해 이 요구를 거부해왔다. khkim@
  • 中국방 25일 방북

    츠하오톈(遲浩田) 중국 국방부장(71)이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 50주년 기념행사의 참석을 위해 25일 북한을 방문할 계획이라고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이 20일 밝혔다. 조선 중앙TV·중앙방송 등 북한언론들도 이날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겸 국무위원인 츠하오톈 국방부장을 단장으로 하는 중국 고위 군사대표단이 북한을 곧 방문하게 된다고 보도,츠 부장의 방북을 확인했다. 외교통상부 고위관계자는 츠 부장 외에 리펑(李鵬)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 보다 고위급 인사의 방문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서울 홍원상기자 khkim@
  • 中국방부장 왜 訪北하나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25일 츠하오톈(遲浩田) 중국 국방부장(장관)의 북한 방문은 1950년 한국전쟁 당시 중국군의 파병 기념행사에 참석하는 목적보다 최근 급물살을 타고 있는 북미관계에 대한 의견조율에 무게 중심이 실리고 있는 것 같다. 베이징의 외교소식통은 20일 “츠 국방부장이 중국군의 한국전쟁 참전 5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하기 위해 평양을 방문하지만,이 행사를통해 북한과 중국이 혈맹관계임을 대내외에 과시하는 것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다”며 “7년여만에 평양을 방문하는 츠 국방부장은 양국간 군부 최고위급 지도자들의 교류를 정례화하는 물꼬를 틀 것으로기대된다”고 밝혔다. 따라서 외견상으로는 지난 6월 남북정상회담 직후 김일철 북한 인민무력상의 중국 방문에 대한 답방형식으로 이뤄지며,중국군의 한국전참전 50주년을 맞아 북한과 중국 양국의 군사적 우호·협력관계의 강화를 확인하는 성격을 띠고 있는 셈이다.중국군은 50년 10월19일 압록강을 건넌데 이어 25일 한국군 제6사단 2연대와 첫 교전을 벌여 승리를 거둠으로써,해마다 이날을 ‘한국전 참전 기념일’로 정해 기념하고 있다. 그러나 츠 부장의 북한 방문은 급진전되고 있는 북미관계에 대한 양국간의 심도 있는 의견 교환에 더 큰 비중을 두고 있다는 게 외교소식통들의 대체적인 견해이다.외교소식통은 “츠 국방부장은 조명록북한 국방위원회 제1부위원장의 북미 공동성명 발표 배경과 23일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의 평양 방문 이후의 북미관계의 진전상황,향후 전개방식,대응방안 등 여러 각도에서 북한과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북미관계의 급진전으로 북한에 대한 영향력 축소를 우려한 중국이 츠국방부장을 통해 향후 한반도 정세에 대한 ‘모종의 메시지’를 전달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이에따라 츠 부장의 방북에 리펑(李鵬)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 등 실력자가 동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 [베이징은 지금] 中‘한국전 참전50周’자화자찬

    중국 대륙은 지금 한국전쟁 참전 50주년 기념 열기로 뜨겁다.중국의한국전 참전 관련서적들이 불티나게 팔리고 좌담회도 성황을 이뤘으며,중국 언론들도 연일 특집을 내보내고 있다. 중국군은 1950년 10월19일 압록강을 건넌데 이어,25일 한국군 제6사단 2연대와 첫 교전을 벌여 승리를 거두는 등 한국군과 유엔군의 북진을 막아 북한을 구했다는 게 중국의 기본입장이다. 베이징 중심가 시단(西單)거리의 중국 최대 서점 투슈다샤(圖書大厦).1층 입구에 들어서면 바로 ‘위안둥(遠東) 조선전쟁’ 등 한국전관련서적 20여종이 진열돼 있는데 발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붐비고있다.18일에는 중국 국제전략학회가 개최한 ‘캉메이위안차오(抗美援朝) 50주년’ 좌담회가 성황리에 열렸다.한국전에 참전한 차이청원(柴成文) 장군은 “‘한국전의 승리’로 제국주의의 바람을 잠재우고중국의 국제적 지위를 향상시켰다”고 ‘열변’을 토하기도 했다. 중국 언론들도 대서특필하고 있다.인민일보(人民日報)는 한국전 참전을 “중국 인민이 침략에 대항해 국가을 보위하며세계평화를 지키기 위해 벌인 정의의 전쟁”이라고 보도했다.중앙TV방송국(CCTV)에서는 25일부터 한국전 참전 병사들을 만나 당시의 상황을 회고하는 등의 대형 기획특집물 ‘캉메이위안차오’를 방영할 계획이다. 중국에 한국전 참전기념 열기가 뜨거운 것은 19세기 서구 열강에 굴욕을 당한 중국이 사회주의 중국 건국 1년만에 참전,열악한 조건 속에서 미국을 상대로 승리를 거뒀을 뿐 아니라,군사력을 한단계 발전시키는 계기가 됐다고 보는데 따른 것.그러나 중국군의 참전으로 큰피해를 입은 우리로서는 씁스레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한국이 중국과 수교한지 8년이 지났지만 중국은 아직 이에 대한 어떤 입장도 표명한 바 없기 때문이다. 김규환 특파원 khkim@
  • [중국 명승지를 가다] 종교 본산 스촨성 청두

    [청두(成都) 김규환특파원] 중국 서부 스촨(四川)성의 성도(省都)청두(成都)에서 75㎞쯤 떨어진 곳에 위치한 칭청산(靑城山).해발 1,200여m로 그리 높지는 않지만 대나무 등 울창한 삼림으로 뒤덮여 사계절 푸르름을 자랑하고 있다.상록과 한데 어우러진 아름다운 산세는아늑하고 포근한 느낌마저 주고 있어 누구나 한번쯤 머물며 ‘탈속(脫俗)’하고 싶어지는 곳이다. 이 산자수명한 칭청산이 바로 인간의 ‘불로불사’를 이루기 위해수도하는 중국 도교의 발상지이다.유교 및 불교와 함께 중국 3대 종교중의 하나인 도교는 신선(神仙)사상과 노자·장자의 숭배 등 다양한 사상과 요소들을 결합시킨 종교.서기 2세기 무렵 후한(後漢)의 장도릉(張道陵)이 창시,포교에 나섰다고 한다.신도들이 교단에 들어올때 쌀 다섯말을 바치도록 해 ‘오두미도(五斗米道)’라고도 불려졌다.장도릉은 기도를 통해 모든 병을 고칠 수 있다며 교세를 확장했지만,4대손인 장각(張角)은 농민 반란을 일으켰다.이때 반란군들이 머리에 누런 띠를 둘렀다고 해서 ‘황건적(黃巾賊)의 난’이라고 한다. 칭청산에는 한때 70개에 이르는 도교사원(도관)이 있었을 정도로 번창했으나,지금은 30여개만 남아 있다.이중 장도릉이 도를 닦았다는톈스둥(天師洞)과 상칭꿍(上淸宮),위칭꿍(玉淸宮),차오양둥(朝陽洞),젠푸꿍(建福宮),위안밍꿍(圓明宮) 등이 대표적인 도교사원으로 꼽히고 있다. 스촨성에는 칭청산과 함께 불교의 명산으로 널리 알려진 어메이산(峨眉山)이 자리잡고 있다.어메이산은 당대(唐代)까지 도교의 주요 거점지역으로 도교사원이 많았으나,도교가 쇠퇴하면서 불교세력권으로편입됐다.산시(山西)성의 우타이산(五臺山),저장(浙江)성의 톈타이산(天台山)과 더불어 중국 불교의 3대 ‘영장’으로 불리고 있다. 어메이산은 특히 기이한 경치가 네군데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첫번째가 아미산 정상에 오르면 해가 발밑 아래에서 올라오는 일출이다.두번째는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산 정상에서 생기는 일종의 무지개인 불광(佛光),혹은 광배(光背)현상이다.세번째는 구름과 안개가 뒤섞이는 운해(雲海).때에 따라서는 티베트의 산들이 운해 저쪽으로 보이기도 한다.마지막으로 밤이 되면 도깨비불 천지가 될 정도로 인(燐)이 든 광석이 풍부하다.어메이산을 내려와 민장(岷江)을 따라 30㎞쯤 내려가면 러산(樂山)이 나온다.러산은 “천하의 산수경관은 스촨에 있고,스촨의 경관은 러산에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주변 풍광이 빼어나다.주변의 풍광을 감상하다가 동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링윈산(凌雲山)이 보인다.이 링윈산 기슭에는 벼랑의 거대한 돌을 깎아만든 미륵보살좌상이 하나 있다.세계 최대의 석각 대불인 러산다푸어(樂山大佛)이다. 당나라 개원초인 서기 713년부터 파기 시작해 100년 가까운 세월이걸려 정원(貞元)19년인 808년에 완성됐다고 한다.다푸어의 높이는 71m,머리 부위의 지름이 10m,어깨 넓이가 28m나 되는 실로 거대한 불상이다.러산다푸어의 위쪽에는 다푸어스(大佛寺)가 있다. 스촨성은 ‘종교의 본산’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을 뿐 아니라,토지가 비옥하고 물산이 매우 풍부해 중국을 모두 먹여 살리고 있다는 뜻의 ‘천부지국(天府之國)’이라고도 불리고 있다.비옥하고 광활한스촨평야를 보유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처음부터 천부지국은 아니었다.오히려 창장(長江·양쯔강)을 끼고 있어 상습적인 홍수피해 다발지역이었다. 황무지나 다름없던 스촨성 일대가 천부지국으로 된 것은 2,200여년전 전국시대 진소왕(秦昭王) 때 촉의 태수였던 이빙이 치수관개 사업을 벌인 덕분이다.이빙은 그의 아들과 함께 강 한복판에 진캉디(金剛堤)라는 인공 섬을 만들어 물줄기를 내강·외강으로 분류, 자연스럽게 물흐름을 약하게 만들었다.내·외강으로 나뉘어진 물을 다시 기하급수적으로 분리,모두 500여갈래의 인공강을 만들어 홍수피해를 없앰으로써 스촨성 일대를 천부지국으로 탈바꿈시켰다는 것이다.청두시의 서북쪽 50여㎞에 있는 두장얀(都江堰)이 그곳이다.두장얀은 지금까지도 1억에 가까운 스촨성 일대 농민들의 젖줄이 되고 있다.인공섬안에 이빙 부자의 뜻을 기리는 푸룽관(伏龍觀)이 건립돼 있는것도 이때문이다. 스촨의 역사를 말할 때 삼국지에 등장하는 제갈량을 빼놓고는 얘기를 할 수 없다.청두시 남쪽 외곽의 울창한 떡갈나무숲속에 제갈량을 기리는 ‘우호우츠(武侯祠)’라는 사당이 있다.제갈량이 살아 있을때 무향후(武鄕侯)에 봉해진 덕분에 무후라고 한다.우호우츠는 군주와 신하를 합묘한 매우 희귀한 형식.대문·이문(二門)·유비전·과청(過廳)·제갈량전 등 5중으로 돼 있다. 유비전에는 3m 짜리의 유비상이 서 있고,제갈량전에는 공명(孔明)과 그의 자손인 금니(金泥)상이 있다.제갈량전을 나와 동서쪽으로 가면 편전이 나온다.편전의 동쪽에는 관우 부자와 주창(周倉) 등이,서쪽에는 장비 자손 3대의 상이 있다.원래 이곳은 공명이 군주로 모신 유비의 묘였다.문 앞에는 지금도 ‘한소열제(漢昭烈帝·유비의 시호)’라고 붙어 있으나,스촨 사람들은 여전히 ‘우호우츠’로 부르고 있다.제갈량의 인기가 유비보다 높은 셈이다.항공편은 서울∼청두간 직항노선이 개설돼 있지 않아 서울∼충칭∼청두 노선이나 서울∼베이징(北京)∼청두 노선 등을 이용해야 한다. khkim@. * 스촨성 대표적 먹거리. [청두(成都) 김규환특파원] 중국에서는 구이저우(貴州) 사람들은 ‘매운것을 겁내지 않고’,스촨(四川)사람들은 ‘맵지 않은것을 두려워한다’는 말이 있다.그만큼 스촨성 사람들은 매운 음식을 즐겨먹는다는 얘기다.스촨성은 티베트에 가깝고 바다와는 멀리 떨어져 더위와 추위의 기온차가 심한 지역이 많아,식욕을 돋구기 위해 마늘·파·고추 등을 많이 넣은 매운 요리가 발달했기 때문이다. 중국의 4대 요리중 하나인 스촨요리가 무조건 매운 것은 아니다.물론 매운 맛이 기본이고 짠맛,단맛,쓴맛,시큼한 맛,고소한 맛,향기로운 맛 등 7가지 맛이 무지개처럼 한데 어우러진 것이 특징이다.대표적인 스촨요리로는 마파토푸(馬婆豆腐)·후이꿔로우(回鍋肉)·꿍바오지딩(宮保鷄丁)·위샹로스(魚香肉絲) 등이 있다.요리의 대부분은 한국 사람들의 입맛에도 잘맞아 즐길 수 있다. 한국 사람들에게도 널리 알려진 마파토푸는 뜨겁고 맵고 얼얼하며,연하고 향기로운 맛이다.기름으로 끓인 고기가루에 두부,콩을 발효시킨 것,두부장,고추가루 등을 함께 넣어 볶은 뒤 나중에 다시 고추가루를 뿌려 먹는 요리이다.후이꿔로우는 돼지 삼겹살에마늘쫑·마늘·양파 등 야채를 썰어 넣고 간장과 식초로 간을 맞춰 볶는 요리.제육볶음과 매우 비슷하다. 꿍바오지딩은 닭고기와 땅콩·고추·양파·생강 등을 조미용 술·간장·설탕·식초 등으로 맛을 내어 볶은 요리이다.위샹로스는 음식 이름에 물고기 향이라는 말이 들어 있으니 물고기가 들어갈 것으로 생각되지만 그렇지 않다. 돼지고기를 실처럼 가늘게 썰어 죽순·버섯·파·생강 등 야채와 식초·소금·간장·고추기름·설탕을 넣어 볶다가 육수와 전분으로 걸쭉하게 마무리한다.이 요리는 스촨요리 가운데 드물게도 맵지 않아매운 것을 싫어하는 서양 사람들이 즐기는 요리이다.
  • 金大中대통령 노벨평화상/ 각국정부·정상 축하메시지 쇄도

    [워싱턴 최철호특파원·베이징 김규환특파원·도쿄·파리 연합] 모리 요시로(森喜朗) 일본 총리를 비롯,각국 정부와 정상들은 13일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대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크게 이바지한 공로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며 일제히 축하 메시지를 전했다. ◆미국 김대통령의 노벨상 수상이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며 한반도민주주의 발전과 평화 안정을 위해 일해온 업적이 인정받은 것은 당연하다는 입장.국무부의 한 관계자는 김대통령이 해온 민주주의와 한반도 평화에 대한 노력이 국제사회로부터 인정받은 것이라면서,단절성을 보여오던 한국에서의 민주주의 발전과정이 계속성을 갖고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일본 모리 총리는 이날 “김대통령은 역사적인 남북 정상회담을 성공시켜 남북 화해와 협력을 향한 새로운 조류를 만들었다”면서 “이번 노벨상 수상은 이같은 빛나는 업적과 한국 발전을 위해 노력해온김대통령의 신념 및 열의가 평가를 받은 것”이라고 밝혔다. 고노 요헤이(河野洋平) 외상도“30년에 걸쳐 김대통령과 친교를 맺어온 친구로서 감개무량함을 금치 못한다”면서 “나 스스로도 한·일관계의 가일층 발전과 동북아시아의 평화를 위해 전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의 한 관리는 “김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은 지난수년동안 한반도와 동북아시아의 긴장완화와 평화,안정을 위해 간단없이 노력한 결과”라며 “이번 수상이 앞으로 한반도 평화와 안정체제 구축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그는 “김대통령의 평화상 수상으로 이제부터 대북 포용정책을 추진하는데 걸림돌이 제거돼 완전히 정착될 것으로 본다”며 “앞으로 남북통일을 앞당기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만 천수이볜(陳水扁)총통은 “진심으로 축하한다”면서 대만과중국도 남북한의 모습을 본받아 화해를 추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천총통은 이어 대만과 중국의 지도자들도 지혜와 창의성을 가지고있다면서,그들도 남북한 지도자가 지난 6월에 했던 것처럼 서로의 손을 맞잡고 새로운 역사를 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프랑스 자크 시라크 대통령은 축하인사와 함께 김대통령은 전쟁으로 고통스러워하는 한반도의 가장 어두운 시간에 희망을 가져온 인물이라고 평했다.리오넬 조스팽 프랑스 총리는 김대통령에게 보내는 축하 메시지에서 “김대통령이 수상하게 된데 대해 기쁨과 행복을 느낀다”고 말하고 “이같은 감정은 나뿐 아니라 프랑스 정부,프랑스 모든 국민들도 마찬가지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독일 게르하르트 슈뢰더 총리는 김대통령의 노벨 평화상 수상을 축하하면서,과거 한반도와 같은 분단국이었던 독일은 북한에 손을 내미는 김대통령의 노력을 관심을 갖고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khkim@
  • [중국 명승지를 가다](1)스촨성 충칭

    중국 대륙의 면적은 960만㎢.한반도보다 44배나 크다.나라가 광활하고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만큼 뛰어난 명승지도 많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곳이 더 많다.중국 4대 자연경관중의 하나로 ‘창장싼샤(長江三峽)’의 기점이자 종착지인 충칭(重慶),도고의 발상지 스촨(四川)성,‘무릉도원(武陵桃源)’의 본향인 후난(湖南)성의 장자제(張家界)를 3회에 걸쳐 소개한다. [충칭 김규환특파원] 중국 대륙 13억 인구의 ‘젖줄’이자 땀과 눈물이 섞인 창장(長江·양쯔강).티베트고원에서 6,000여㎞를 흘러 동중국해에 이른다.중국 서북쪽의 스촨(四川)분지에서 대하(大河)로서의 첫 면모를 드러낸 창장은 충칭에서 자링(嘉陵)강을 품에 안으면서거대한 물결을 이룬다.거대한 물결은 깎아지른 절벽과 수려한 산세를 자랑하는 추당샤(瞿塘峽)과 우샤(巫峽),시링샤(西陵峽)의 협곡을지나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으로 빠져나간다. 창장이 힘차게 굽이치는 선경(仙境)속의 추당샤·우샤·시링샤 세협곡을 ‘창장싼샤(長江三峽)’라고 부른다.유비(劉備)·조조(曹操)·손권(孫權)이 천하를 놓고 각축을 벌인 ‘삼국지(三國志)’의 역사적 현장이며,이백(李白)·두보(杜甫)·소동파(蘇東坡) 등 중국 최고의 시인들이 시작(詩作)활동을 한 주무대이기도 하다. 190여㎞에 이르는 이 창장싼샤는 충칭의 추당샤부터 시작된다.풍광이 웅대하고 산세가 험난하면서도 주위의 기암괴석들과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추당샤는 길이가 33㎞이며.강폭은 150m쯤 된다.하지만 강폭이 30m로 좁아지는 우샤에 이르면 창장의 물결치는 소리가 십리 밖에서도 들릴 정도로 물살이 세다.기이한 봉우리와 깎아지른 절벽,산높고 골 깊어 생긴 구름 안개가 절경을 이루고 있다.암초가 많은 시링샤에서는 내려가는 유람선은 쏜살같이 달리지만,올라오는 유람선은사다리를 오르는 것처럼 힘이 들어 연신 가쁜 숨을 내쉰다. ‘황토물과 기암절벽이 묘한 대조를 이뤄 빚어낸 천하제일의 비경,도도하게 흐르는 물살 위에서의 여유,갑자기 눈앞에 다가오는 천인단애(千인斷崖)의 절벽….감동과 스릴,인간 감정의 극심한 굴곡을 두루맛볼 수 있는 곳이 중국 서부의 관문 충칭이다.창장산샤의 출발점이자 종착역이기도 하다. ‘창장산샤’의 고조된 감정을 조금 가라앉히고 충칭 시내에 들어서면 한국 관광객들을 반갑게 맞는 곳이 항일 독립운동가의 피와 한이서린 대한민국 임시정부청사.해방되던 해인 1945년 1월부터 9월까지중국에서 27년 동안 처절한 독립운동을 벌였던 임시정부가 마지막으로 사용했던 뜻깊은 장소이다.지난달 새단장을 했으나,하늘 높이 치솟아오르는 충칭의 현대식 건물과 대비돼 지난날 독립운동가들의 신고(辛苦)의 삶을 되새겨 준다. 해외를 관광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바라는 점은 자국에서 느끼지못하는 ‘이국(異國)정취’일 것이다.이를 만족시켜주는 것이 거대한회교 사원풍의 런민다리당(人民大禮堂)이다.베이징(北京)의 런민다후이당(人民大會堂)보다 규모가 훨씬 더 웅장하고 화려하다.그러나 다리당을 설계한 설계사는 살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충칭에 런민다후이당보다 더 크고 화려한 런민다리당이 들어서고 있다는 얘기를 들은마오쩌둥 (毛澤東) 주석이 노발대발하며 공사를 막으라고 지시했다고한다. 중국 미술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다주(大足)로 가면 된다.충칭시에서 160㎞쯤 떨어진 다주에서는 둔황(敦煌)·룽먼(龍門)석굴보다 뛰어나다는 평을 듣는 석각(石刻)이 많아 중국 불교미술의 정수를 맛볼수 있다. 다주를 중심으로 인근 지역에 40여곳의 석굴과 암벽에 50,000여개의 석각이 새겨져 있다.이곳의 석각을 모두 본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일반인들은 석각기술이 뛰어난 바오딩산(寶頂山)이나베이산(北山)의 석각만 보면 충분하다. 다주에서 10㎞쯤 떨어진 바오딩산의 대표적인 석각은 누운 자세로조각된 석가열반상과 송대(宋代)에 새겨진 천수관음보살상이다.석가열반상의 높이는 5m,길이는 무려 31m나 된다.여기서 2㎞쯤 떨어진 베이산의 석각은 처음에는 10,000개 이상이었으나 세월이 흘러 많이 파손돼 그리 많지 않아 아쉬움이 남는다. 충칭 시내의 기온보다 5∼7도가 낮아 피서의 명승지로 불리는 진윈산(縉雲山)은 ‘아열대 식물의 보고’로 통한다.아열대 식물이 1,700여종에 이르고 페이아수(飛蛾樹) 등 수많은 희귀족 수목이 자라고있다.산 초입에는 석회질을 함유한 베이(北)온천이 자리잡고 있어,진윈산에 올라 아열대 식물들을 둘러보고 굽이굽이 흐르는 시내와 계곡을거쳐 내려와 온천욕을 하면 신선이 돼 하늘로 올라가는 ‘우화등선(羽化登仙)’이 되는 기분이다. 서울∼충칭간에는 주 1회의 직항노선이 개설돼 있고,서울∼상하이∼충칭 코스도 마련돼 있다. khkim@. *옛 대한민국 임정청사. [충칭 김규환특파원] 충칭(重慶)직할시 쉬중취(市中區) 롄화츠(蓮花池) 38호에 자리잡고 있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청사.광복군 창설 60주년을 맞아 재복원공사를 끝내고 한국 손님들을 반갑게 맞이하고 있다.지난달 한국의 독립기념관측과 충칭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구지진열관(舊地陳列館)측이 청사 5개동 전체의 낡고 헌 부분을 전면 개·보수하고 1호 청사 2층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사활동 전시실’까지새로 조성하는 등 나라 사랑의 정신을 되새기는 대표적인 해외 항일유적지로 떠올랐다. 상하이(上海)에서 수립된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32년 4월29일 농촌계몽 운동을 하다 망명한 윤봉길 의사의 상하이 홍구 공원 의거로 일본 제국주의의 탄압이 심해지자 항저우(杭州)·창사(長沙)·류저우(柳州) 등지로 피해다니다 40년 충칭으로 옮겨왔다.그해 9월 이곳에서 대한민국의 정식 군대인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고 연합국의 일원으로 인도·미얀마 등지에 참전하는 등 조국 광복을 위해 눈부신활약을 펼쳤다. 임시정부 청사는 대지 300여평(연건평 400여평)에 2∼3층짜리 건물5개동으로 돼 있다.상하이 임시정부 청사(약 48평)보다 규모면에서는훨씬 크다. 1호 청사 1∼2층에는 대한민국 임시정부 전시실이 마련돼있다.이곳에서는 광복군의 활약상을 담은 다큐멘터리 기록영화도 상영하고 있어 당시 광복군의 활약상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2호청사 1층은 임시의정원 회의실과 휴게실,2층은 외무부·외무부장실·외무차장실로 사용됐다.3호 청사 1층에는 내무부,2층에는 재무부,3층에는 김구(金九) 주석 사무실과 국무위원 회의실로 이용됐던 곳이다. 4호 청사 1층에는 외빈 숙소 및 주석 비서실이,2층에는 임시정부 요원들의 숙소로 사용돼왔다.마지막 5호 청사는 외빈 접대소와 관리사무소 등이 설치돼 있다.
  • 北·美 공동성명 발표후 각국 반응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정부는 북한과 미국간의 적대관계 종식을 선언한 것과 관련,동북 아시아지역의 평화유지에 크게 이바지할것이라며 북·미관계의 급속한 진전이 기대돼 매우 환영한다는 입장이다. 주방자오(朱邦造) 외교부 대변인은 12일 지난 수년동안 중국은 (북한과 미국간의) 관계개선을 환영하고 적극적으로 지지한다는 입장을견지해왔다고 밝히고 중국 정부는 두나라가 궁극적으로 관계를 정상화하기를 희망하고 있다고 말했다. 주 대변인은 특히 북미간의 적대관계를 종식한 조명록 북한 국방위원회 부위원장의 워싱턴 방문에 대해 “매우 순조로웠고 매우 성공적이었다”고 높이 평가했다. khkim@. [도쿄 연합] 일본정부는 12일 매들린 올브라이트 미 국무장관의 방북을 환영한다고 밝혔다.나카가와 히데나오(中川秀直) 관방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올브라이트 장관이 가까운 시일 내에 북한을 방문,김정일(金正日) 총비서와 회담하기로 한데 대해 “북미관계의 진전은 북한을 둘러싼 제반문제의 해결과 한반도의 긴장 완화 촉진 등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그는 이어 “(올브라이트 장관의 방북은) 일·북 관계에도 좋은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미국의 결정을 환영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모스크바 연합] 러시아는 북한의 미국과의 관계개선을 환영하며 “북한과 미국이 새로운 접촉은 러시아가 이 지역에서 펴고 있는 정책틀에서 벗어나지 않는다”고 알렉산드르 로슈코프 러시아 외무 차관이 12일 말했다. 로슈코프 차관은 북한 대표단의 미국 방문 결과 및 매들린 올브라이트 국무장관의 북한 방문 합의 등과 관련,이같이 논평했다.
  • 江澤民, 駐中北대사관 전격 방문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이 북한노동당 창당 55주년을 하루 앞둔 9일 베이징(北京)주재 북한대사관을 전격 방문했다. 이날 북한대사관에서 열린 노동당 창건 55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한장 주석은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에게 보낸 축하메시지를통해 앞으로 북-중 우호관계를 더욱 적극적으로 발전시켜나갈 것을다짐하는 한편 김 위원장이 최근 이뤄낸 대외관계의 뚜렷한 업적을높이 평가한다고 말했다. 장 주석의 북한대사관 방문은 97년7월 김일성(金日成) 총비서의 3년상 때 방문한 후 3년2개월만에 처음이다. 장 주석의 북한대사관 방문에는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외교부장과스광성(石廣生) 대외무역경제합작부장,쩡칭훙(曾慶紅) 당조직부장,다이빙궈(戴秉國) 당대외연락부장 등 당·정·군의 고위관리들이 대거동행했다. 이날 장 주석의 북한대사관 방문은 최근 남북관계 완화,북미관계 개선 조짐 등 한반도 주변여건이 급변하는 가운데 중국이 이제까지 북한과 맺어온 우호관계를 더욱 돈독히 해 앞으로도 한반도에서 북한을축으로 한 중국의 영향력을 계속 유지하고 중국의 이익을 지켜나가기 위한 포석으로 보인다. 북한이 올초 이탈리아와 수교한데 이어 유럽 9개국에 외교관계 수립을 공식 제의했고 조명록 국방위 제1부위원장이 미국을 방문,미국과의 관계도 급진전할 낌새를 보이자 국제정치무대에서 중국의 힘을 강화시켜준 ‘북한 카드’를 단속할 필요를 느낀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탕 외교부장과 스 대외무역경제합작부장이 장 주석을따라 북한대사관을 찾은 것은 북한에 대한 외교적 중시와 북한에의경제적 지원을 시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어 주목된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21세기 강대국’ 청사진 완성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공산당은 9∼11일 제15기 5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5중전회)를 개최한다.지난해 9월 4중전회 이후 1년여만에 열리는 이번 회의는 21세기의 ‘명실상부’한 강대국 도약을 위한 청사진을 마련하는 등 중국 공산당의 가장 중요한 의미를 띠는 정치적 행사다. 이번 회의에서는 우선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리펑(李鵬) 전인대 상무위원장 등 3세대 지도부 이후 4세대 중국 지도부의 인선 문제에 대해 본격 조율할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차세대 지도자들로 주목받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과 정치국 후보위원인 쩡칭훙(曾慶紅) 당조직부장을 승진시킬지가 관심의 초점이다. 승진인사 결정이 내려지면 2002년말∼2003년초 최종 확정될 차세대중국 지도부의 윤곽이 어느정도 드러나게 된다. 2001년3월 제9기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 4차회의에서 통과시킬‘국민경제 및 사회발전 10차 5개년(2001∼5년)계획의 대강(大綱)도심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공산당이 사활을 걸고 추진하는 서부대개발사업에 대한 각종정책과 지원방안이 주요 논의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장 주석이 최근 10차 5개년 계획과 서부대개발사업은 중국 대륙의장기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전략적 정책이라고역설하며 강력한 의지를 표명한 바 있다.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를 대비한 각종 경제개혁과 산업구조조정 등의 문제도 빼놓을 수 없는 사안으로 알려졌다. 국민들의 불만을 사고 있는 중국내 부정부패 만연 문제 역시 주요의제로 다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최고위급 관리 개입설’이 끊임없이 나도는 1949년 건국 이후 최대의 밀수스캔들로,300명에 가까운 관리들이 연루된 800억위안(약 10조4,000억원) 규모의 푸젠(福建)성 샤먼(厦門)사건에 대한 전모 공개범위 등에 대해서도 토의할 것으로 전해졌다. 파룬궁(法輪功)과 지하 기독교와 가톨릭,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등 변경지역의 분리주의자 등 공산당의 권력기반을 위협하는 세력에 대한 대응방안도 포함될 것으로 알려졌다. khkim@
  • [21세기 중국의 변신] (7.끝)후계구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21세기 중국 변신의 핵심 주역들은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 등 3세대 지도부를 뒤이어 13억의 중국인들을 통치하게 될 4세대 최고 지도부이다. 중국의 최고 지도부는 통상적으로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을 가리킨다.장 주석을 비롯,리펑(李鵬) 전인대 상무위원장,주룽지(朱鎔基) 총리,리루이환(李瑞環) 정협주석,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웨이젠싱(尉健行) 당 중앙기율검사위 서기,리란칭(李嵐淸) 부총리 등 7인이 그들.이들 가운데 고희(古稀)를 넘기는 5명이 2년 뒤 정치 일선에서 물러날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그러나 가장 관심을 끄는 대목은 장 주석의 거취문제다.3∼4세대간권력 교체의 열쇠를 쥐고 있는 데다 그동안 행한 그의 언행으로 볼때 ‘완전 퇴진’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지난달 유엔 밀레니엄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뉴욕에 들린 장 주석은 화교 및 유학생 대표들과 만난 자리에서 “2002년이면 당 총서기직 임기가 끝나고 2003년에는 국가주석직을 퇴임한다”고 공식 천명했다. 중요한 점은 장 주석의 이날 발언에서 자신이 보유한 3개 직책중 당 중앙군사위 주석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것.장 주석이 군사위 주석직에 대해 언급하지 않는 것은 ‘당·정 권한’을 넘겨주더라도 군사위 주석직을 당분간 유지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장 주석이 덩샤오핑(鄧小平)처럼 퇴임 후에도 당분간 ‘수렴청정(垂簾聽政)’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는 것같다고 홍콩 언론들이 분석한것도 이 때문이다. 장 주석이 천명한대로 2002∼3년 4세대 지도부에 권력을 이양한다면 후 국가부주석·쩡칭훙(曾慶紅) 당조직부장·리창춘(李長春) 광둥(廣東)성 서기·원자바오(溫家寶) 부총리·저우융캉(周永康) 스촨(四川)성 서기 등이 4세대 지도부를 구성할 가능성이 높다고 베이징 소식통들은 전한다. 이런 시나리오로 갈 경우 후 부주석이 장 주석의 바통을 이어받아최고 지도자가 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이다.그는 97년 국가부주석에 취임함으로써 권력승계의 준비를 시작했고 99년 군사위 부주석까지 겸임,군부에 대한 영향력도 강화시켜 그가 당서열 1위로 뛰어오르며 총서기직과국가주석직에 취임하는 것은 이미 굳어진 상태이다. 하지만 쩡 부장이 후 부주석의 라이벌로 등장할 가능성이 있다는 시각도 있다. 장 주석의 최측근 실세로 오래전부터 막강한 실력을 행사하고 있다는 얘기가 베이징 정가에서 흘러나오고 있다.물론 그가 당총서기가 될가능성도 있지만 아직은 희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쩡 부장은 현재 정치국 후보위원이기 때문에 9일부터 열리는 15기 5중전회에서 정치국위원이 되더라도 2002년말 제16차 당대회에서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진입하는 데는 약간 무리수가 따른다는 것.따라서쩡 부장은 국가부주석에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쩡 부장과 함께 장 주석의 강력한 지원을 받고 있는 리 광둥성 서기는 차기 총리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장 주석의 신임과 강력한 추진력,지방 현장경험이 풍부한 리 서기는 8월 열린 베이다이허(北戴河)회의에서 원 부총리를 제치고 총리로사실상 ‘낙점’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저우 스촨성 당서기의 약진도 점쳐지고 있다.국토자원부 부장(장관)을 하다가지방 및 서부개발의 현장경험을 쌓기 위해 스촨성으로 내려간 그는 2년동안 경험을 쌓은 뒤 부총리로 승진,‘원자바오-저우융캉’ 부총리 체제를 이룰 것으로 전해졌다. khkim@kdaily .com. *쩡칭훙 당 조직부장.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쩡칭훙(曾慶紅) 공산당 조직부장(61)은 중국 밖에서는 그리 잘 알려지지 않고 있지만,중국 대륙내에서는 자타가공인하는 ‘실세’.공산당 고위층이던 부모를 둔 덕택에 당·정 고위층에 넓은 ‘??시(關係)’망을 구축한 그는 정가의 움직을 꿰뚫어보고 장 주석이 집권 초기 경쟁자들의 집중적인 견제를 받을 때마다 정적(政敵) 제거를 위한 아이디어를 제공함으로써 장 주석의 최측근 실세로 자리잡았다. 중국 동남부 장시(江西)성 지안(吉安)출신인 쩡 조직부장은 63년 베이징공업학원 자동제어학과를 졸업했다.60년대 문화혁명때 광저우(廣州)생산기지 등으로 샤팡(下放)의 아픔을 겪었으며,84∼89년 상하이(上海)시 당조직부장 등을 거치며 당시 시장이던 장 주석의 신임을 톡톡히 받았다.이를 발판으로 중앙판공실주임 등요직을 거치며 99년 3월 당조직부장으로 승진했다.정치국 후보위원인 그는 15기 5중전회에서 사망한 스페이(謝非)를 대신해 정치국위원에 진입할 것으로 점쳐지고 있다. *후진타오 국가부주석.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58)은 중국 공산당이 공들여 길러낸 ‘준비된 차세대 최고 지도자’.현재 공산당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당서열 5위에 공산당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중앙서기처 서기,중앙당교 교장직을 겸직하고 있다. 당서열 1∼4위인 장쩌민 국가주석을 비롯,리펑 전인대 상무위원장,주룽지 총리 등이 이미 고희(古稀)를 넘었고 리루이환 정협 주석 역시 65세로 물러날 가능성이 높다.따라서 그의 ‘21세기 황제의 등극’은 시간문제인 셈이다. 동남부 안후이(安徽)성 지시(績溪)에서 출생한 후 부주석은 65년 이공계 최고 명문인 칭화(淸華)대 수리공정과를 졸업했다. 공청단 중앙서기처 서기를 역임한 그는 85∼93년 구이저우(貴州)성및 시창(西藏)티베트 자치구 당서기를 거치며 탁월한 능력을 인정받아 92년 정치국 위원,98년국가부주석,99년 당 중앙군사위 부주석에오르며 승승장구했다.
  • [아셈 정상들](2)주룽지 중국총리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72)는 옛 소련의 고르바초프처럼 중국에서 ‘변화’를 상징하는 지도자이다.변화의 이미지로 중국의 그 어떤대중스타보다도 인기가 높다.1988년 상하이(上海) 시장 취임 직후‘상하이 숭펑(雄風)’이라는 구호아래 간부 청렴수칙을 마련, ‘미스터 클린’이라는 별명을 얻었을 정도로 부정 부패에는 엄격하다.하지만 전통민속극인 경극(京劇)을 보면서 눈물을 흘릴 정도로 마음은여리다. 부모를 일찍 여읜 탓에 불우했던 어린 시절,50년대 말과 70년대 중반 ‘반당(反黨)우익분자’로 몰려 혹독한 시련을 겪은 주 총리가 ‘변화’의 상징으로 떠오른 것은 상하이 시장에 부임하면서부터.시정부 규모를 축소하고 합작기업 승인을 전담한 ‘원스톱’부서를 신설하고 외국자본을 끌여들여 광활한 산업지구인 ‘푸둥(浦東)개발’에박차를 가했다. 89년에는 베이징 톈안먼(天安門)사태의 여파로 상하이에서 민주화시위가 벌어지자 TV연설을 통해 학생들을 애국자라고 치켜세우고 군대를 동원하지 않을 것을 약속,충돌없이 시위대를 해산시켰다.이 덕분에 상하이 시민들의 ‘영원한 우상’이 됐다.중앙으로 발령받아 상하이를 떠날 때 시민들은 “당신의 영전은 상하이의 손실”이라며 아쉬워했다고 한다. 그의 변화에 대한 의지는 경제를 총괄하는 제1부총리로 있던 90년대중반 유감없이 발휘됐다. 통화팽창률이 연 50%에 이르는 등 초인플레현상과 부동산의 과열 투자를 막기 위해 거시조정 정책을 추진했다. 지방파벌들이 긴축정책에 강력히 반발하자 “100개의 관을 준비하라. 99개는 그들의 것이고 나머지 1개는 내 것이다”며 비장한 각오로 밀어붙여 경제를 ‘연착륙’시킴으로써 안정적인 고도성장의 밑바탕을마련했다. 특히 주 총리가 정치생명을 걸고 임한 지난해 11월의 미국과의 세계무역기구(WTO) 가입협상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는 점에서도 변화에대한 의지를 읽을 수 있다. ■프로필. ▲1928년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생 ▲51년 칭화(淸華)대 전기공정과 졸업 ▲84년 중국 공업경제학회 부이사장 ▲87년 공산당 중앙후보위원 ▲88년 상하이시장 및 당서기 ▲91년 국무원 부총리 ▲95년 중앙 정치국 상무위원 ▲98년 국무원 총리[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탕베이 행정원장 사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51년만에 정권교체를 이루며 개혁의 기치를높이 올렸던 타이완 천수이볜(陳水扁)의 초당파정권이 끝내 좌초하고말았다. 국민당 출신의 탕베이(唐飛) 행정원장(총리)이 3일밤 건강상의 이유로 전격 사임했다.5월20일 출범한 천 정권의 ‘좌-우 동거시대’는 불과 4개월 보름만에 막을 내린 것이다. 탕 원장은 취임 초부터 천 총통의 집권 민진당과 국정 전반에 걸쳐 갈등 을 겪었다. 특히 지난달 12일 타이완 국가안전국이 탕 원장 등 국민당 인사들을 정치사찰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결렬은 기정사실화됐다. 56억달러 규모의 제4 원자력발전소 건설을 둘러싼 반대(천 총통)와 찬성(탕 원장) 논쟁도 불씨가 됐다. 신임 행정원장에는 민주화 투쟁에 앞장서 온 변호사 출신의 6선의원 장쥔슝이 임명됐다. khkim@
  • 中, 한국유학생 유치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한국 경제가 회복됨에 따라 중국의 유명 대학들이 한국 유학생 유치작전에 본격 돌입할 예정이다. 중국 교육당국은 2일 한국 경제가 국제통화기금(IMF) 이전 수준으로 회복됐고 한·중관계도 나날이 발전함에 따라 워소우신(沃守信) 중국 유학서비스센터 주임을 단장으로 하는 한국 유학생 유치대표단을한국에 파견,오는 28∼29일 서울에서 ‘중국 유학설명회’를 개최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중국의 이같은 방침은 중국 내 전체 유학생(약 4만5,000명)의 25%에 가까운 1만1,700여명의 한국 학생들이 유학을 하고 있는 등 한국 유학생이 일본에 이어 두번째로 많은 데다 한국 경제가 급속한 회복세를 보여 한국 학생 유치의 적기(適期)로 판단하고 있는 데 따른 것. 이번 설명회에는 베이징(北京)대·칭화(淸華)대·중국 런민(人民)대·베이징 사범대·중국 정파(政法)대 등 베이징 소재 명문 대학을 비롯해 상하이(上海) 푸단(復旦)대·상하이 자오퉁(交通)대·저장(浙江)대 등 지방 유명 대학을 총망라한 중국 대륙의 39개 대학이 참가한다.khkim@
  • 한국 가수들 北京콘서트 무산

    중국 베이징의 국가올림픽체육센터에서 3일 오후 7시30분 열릴 예정이었던 한국 가수들의 ‘한류(韓流)열풍’ 콘서트가 공연 당일 전격취소돼 국제적 망신거리가 됐다.한국 가수의 이미지는 물론 한국 대중문화 공연의 신뢰성에도 큰 상처를 입힐 것으로 우려된다. 이 공연의 기획자로 베이징에 체류중인 메리트21 엔터테인먼트 김국진 사장에 따르면 “가수 섭외를 책임진 강모씨가 가수들에게 출연료를 지급하지 않아 가수들이 중국으로 오지 못했다”며 “강씨가 잠적해버려 자세한 내막은 알 길이 없다”고 말했다. 지난 9월말 베이징에 도착해 이같은 사실을 알았다는 김 사장은 함께 공연을 주최한 중국측 기획사와 함께 돈을 마련,한국에 보냈으나너무 늦어 결국 공연을 취소하기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당초 이날 공연에는 중국 청소년들 사이에 폭발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한 안재욱과 베이징에서 몇차례 콘서트를 해 얼굴이 알려진 클론,NRG를 비롯,이정현,베이비복스,티티마 등 6개팀이 무대에 오를 예정이었다. 이날 국가올림픽체육센터 주변에는 청소년팬 수백명이 몰려들어 환불을 받는 소동을 빚었으나 중국 공안(경찰)들이 질서를 유지해별다른 충돌은 일어나지 않았다. 5일 같은 시간 상하이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2차 공연도 무기한 연기됐다. 지난달 29일부터 1일까지 예매된 티켓은 800위안(한화 10만원)짜리티켓 등 7,000여장으로 추정된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임병선기자 khkim@
  • 中, 인터넷 정보 규제

    중국 대륙이 인터넷 정보에 대한 규제를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20일 국무원 제31차 상무회의를 통과한 인터넷정보를 통제·관리하는 ‘인터넷 정보서비스 관리법’을 1일 공포,이날부터 시행에 들어갔다.이 법은 지난 8월초 베이징(北京)에서 열린제16차 세계 컴퓨터회의에서 개막연설을 통해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이 “인터넷 상에서 쓰레기같은 정보들이 마구 흘러다니고 있다”고 강조한 뒤 제정된 것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21세기 중국의 변신] (6)WTO체제 준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대륙은 요즘 ‘세계무역기구(WTO) 체질’로 바꾸는 작업이 한창이다.WTO 가입 이후 밀려올 외국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것이다.중국의 WTO 가입은 지난 19일 미 상원이 중국에 항구적 무역지위를 부여하는 법안(PNTR)을 네달째 미뤄오다 통과시켰기 때문에 시간만 남은셈이다. 중국 정부는 우선 경제개혁 및 산업구조조정 노력의 하나로 주요 경제 부처의 ‘살빼기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이를 위해 국가경제무역위원회 산하의 10개 공업국중 야금·방직 등 8개 공업국을 연내 폐지하는 등 주요 경제부처 기구를 대폭 축소개편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만성적자에 시달리는 국유기업들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화공·화섬·전자·제약업체 등을 중심으로 대대적인 합병을 유도하고 있다.이미 34개의 항공사중 1차로 10개 항공사를 합병대상 기업으로 선정,중국 국제항공과 난방(南方)항공,둥방(東方)항공 등 3개 거대기업으로재편하는 합병안을 승인했다. 중국 정부는 이와함께 WTO 규약에 맞게끔 외국인 투자관계법 등 1,400여건의 관계법령들을 정비하고,중앙 및 지방정부의 경제부처 관리들을 대상으로 WTO 관련 교육·훈련을 시키고 있다.산업분야별로 WTO 관련 외국 전문가들을 초빙,세미나를 개최하고 선진국의 개방현황파악을 위해 경제관리들을 외국에 연수·시찰도 보내고 있다. 중국 기업들도 마찬가지다.500대 기업의 임원들은 최근 베이징에서WTO 가입에 따른 시장개방의 파급효과에 대해 세미나를 여는 등 부산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이들은 ▲비교우위 분야에 인력·자본의 집중 투자 ▲최고 경영진의 영어회화 능력 배가 ▲외국 기업들과의 합작 물색 ▲연구·개발(R&D)비 증액 ▲IT(정보기술)산업 인프라 구축▲해외 컨설팅사의 자문 등을 통해 생존전략을 찾는다는데 의견을 같이했다. 특히 외국 기업들과 정면 승부하기에는 미흡하다고 판단하는 중국기업들은 사업분야 별로 독특한 생존전략을 모색하는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중국 최대의 백화점인 상하이디이(上海第一)백화점은 지난해말 일본의 마루베니사와 합작,프랑스의 카르푸와같은 대형 할인점과 맞설 1,000만달러 규모의 하이퍼마켓을 만들 예정.외국 기업들이 진출 초기 중국내 유통망을 이용할 것으로 판단,자체 유통망 개선 작업도 병행하고 있다. 화장품 제조업체 자화(佳華)그룹은 경쟁력 있는 틈새 시장을 개척,승부를 걸 계획이다.최근 전통약품 제조공장을 인수한 자화는 720만달러를 투입,신약개발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구조조정을 위해 외국 컨설팅사에 용역을 의뢰하는 한편,중간간부들의 해외 MBA 과정 이수를 적극 권유하고 있다.타이핑양(太平洋)보험사는 경쟁시스템을 도입,자생력을 키우는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98년 실적주의를 채택한 이 회사는 실적이 좋은 지점장에게 최고 10배나 많은 보수를 주고 있는 반면 실적이 나쁜 지점장들은 퇴출시키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준비작업이 성공적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희박하다는회의적인 견해도 있다.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각종 개혁이 실업자를 양산,사회적 불안을 일으킬 가능성이 큰 탓에 제대로 실시하기가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에서다.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등 최고 지도부가 최근 열린 회의석상에서 경쟁력 강화방안과 국유기업 처리문제 등에서 WTO 가입 대비상황이 미흡하다고 관계자들을 강하게 질책한 것도 이 때문이다. khkim@. *石廣生 무역경제합작부장, 밀고 당기기 귀재.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스광성(石廣生) 대외무역경제합작부장(61)은 중국 대륙에서 해외 나들이가 가장 많은 사람으로 통한다.세계무역기구(WTO)가입협상 중국 대표라는 직책을 맡고 있어 중국의 WTO 가입 마무리 협상을 위해 세계 각국으로 동분서주하고 있기 때문이다. 대외경제 분야의 정통 기술관료 출신인 스 부장은 중국에서 자타가공인하는 대외협상 전문가.중국의 WTO 가입여부의 열쇠를 쥐고 있던미국과의 양자협상 테이블에서 ‘리무진 탱크’로 불리던 샬린 바셰프스키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의 담판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한덕분이다.앞서 96년 미국과의 지적재산권 협상에도 관여,무난한 타결을 이끌어내는 등 각종 대외협상에서도 혁혁한 공을 세웠다. 허베이(河北)성 창리(昌黎)에서 태어난 스 부장은 65년베이징(北京)무역학원 무역경제과를 졸업,말리 주재 상무관으로 전문 기술관료의 첫발을 내디뎠다.70년 이후 우진(五金)광산수출입공사 직원 및 벨기에 주재 상무관,우진공사 부사장 등을 오가며 경제정책과 경제 실무를 골고루 익혔다. 특히 대외무역경제합작부 상하이(上海)사무소에서 근무하며 당시 시장이던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과 시위원회 부서기이던 주룽지(朱鎔基) 총리 등과 ‘교분’을 쌓아 경제 실세로 급부상했다.88년말 상하이사무소 근무를 마치고 대외무역경제합작부 수출입국장으로 영전한 그는 91년 대외경제무역합작부 부장조리(차관보), 93년 부부장,98년 부장으로 승승장구했다. 98년 3월 부장으로 승진한 스 부장은 이후 WTO가입 협상에 매달려오면서 ‘대외협상의 도’를 터득했다.더욱이 바셰프스키 대표와는 3년 이상 얼굴을 맞대며 협상을 해 얼굴 표정으로도 상대방의 의도를간파할 수 있는 ‘가깝고도 먼 사이’로 발전했다. 그는 바셰프스키대표의 ‘칼날같은’ 차가운 얼굴과는 대조적으로 늘 웃는 얼굴을 하고 있으나,내면적으로중국인 특유의 멀고 깊은 계산과 뚝심을 감추고 있다는 평을 듣고 있다.이런 개성으로 밀고 당기는 협상장에서 판을 깨지 않고 지리하게 끌면서 유리한 입장을 선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 韓·中 경제협력 폭 넓히기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의 방한을 계기로 열리는 한·중정상회담은 남북정상회담 이후 남북 교류협력관계 진전을 위한 중국의 역할을 재확인하고 두나라의 우호협력 관계를 강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관측된다. 특히 주 총리의 이번 방한은 그로서는 처음인데다,중국을 이끌고 있는 정치국 상무위원 7명 가운데 서열 2위라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크다는 지적이다.주 총리의 방한으로 장쩌민(江澤民)국가주석을 포함,상무위원 7명 전원이 방한하는 셈이어서 양국관계가 정상 궤도에 진입했음을 의미한다. 김 대통령은 주 총리와 이번 회담을 갖게되면 5번째 회담이다.무엇보다 양국 최고지도층간 우의와 신뢰를 다지는 자리가 될 것이다. 두 정상은 6월 남북정상회담 이후의 남북관계 진전상황을 평가하고 이과정에서 중국측의 건설적인 역할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기대된다.김 대통령은 남북한과 미·중이 참여하는 4자회담을재개, 한반도 평화정착 방안이 본격 논의되어야 한다는 자신의 구상을 전달할 가능성이 높다. 주 총리가 중국경제의 최고 책임자라는 점에서 경제,통상분야의 협력관계를 전면 확대하는 방안도 논의될 전망이다. 특히 한·일정상회담에서 ‘정보기술(IT) 이니셔티브’선언을 채택했듯이 중국과도 지식정보화에 맞춰 정보기술에 대한 교류협력 방안이 도출될 것이다.나아가 최근 경의선 복원 착공식을 계기로 앞으로 전개될 한반도와 유라시아 대륙을 잇는 ‘철의 실크로드’에 관한 의견교환도 이뤄질 전망이다. 양승현기자. *주룽지 총리는 누구.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72)는 중국경제의 조타수.해박한 경제지식과 빠른 두뇌회전,강력한 리더십을 바탕으로 실물경제에 부합되는 정책을 개발함으로써 중국 경제의 고도성장을진두지휘하고 있는 인물이다. 후난(湖南)성 창사(長沙)에서 태어난 주 총리는 이공계 중국 최고명문인 칭화(淸華)대 총학생회장 출신.1957년 헝가리와 유고연방의실용주의적인 경제개혁을 찬양했다는 이유로 우파분자로 낙인찍혀 5년,문화혁명 때 5년 등 모두 10년간 샤팡(下放)돼 노동 개조를 당하는 수모를 겪으면서도 경제학책을놓지 않았다. 그는 78년 복권된 뒤 자오쯔양(趙紫陽)의 추천으로 87년 상하이시당서기,이듬해 상하이 시장으로 전격 발탁됐다.92년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선출된 주 총리는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장을 거쳐 93년 리펑(李鵬)총리로부터 경제분야를 넘겨받아 중국 경제의 총책임자로 부상했다. khkim@
  • [베이징은 지금] 中, 해외유출 유물 반환 총력전

    중국 정부가 해외에 유출된 국보급 유물을 되돌려 받기 위해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중국 국보급 유물 100만여점이 19세기 서구열강에 의해 약탈되고 전문 도굴꾼에 의해 밀반출돼 다른 나라 박물관에 소장돼 있기 때문이다. 북경청년보에 따르면 중국 회화의 정수로 꼽히는 중국 동진(東晋)시대 고개지(顧愷之)의 ‘여사잠도(女史箴圖)’가 대영박물관에 전시돼있는 등 국보급 유물 100여만점이 미국·영국·프랑스 등 세계 47개국 200여개 박물관에 소장돼 있다.둔황(敦煌)유물 5만여점중 80%인 4만여점은 외국 박물관에 전시돼 있을 정도다. 이 때문에 중국 정부는 국보급 유물을 되돌려 받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중국은 ▲민사·형사소송을 통한 반환 ▲정부협상을 통한 반환 ▲소장자 설득을 통한 반환 등 3가지 방법을 동원,커다란 성과를 거두고 있다.1994년 영국에 중국의 국보급 유물이 있음을 확인한 뒤 전문가를 파견,영국과 협상을 벌였으나 효과를 보지 못하자 96년 장팡빈(張方彬) 국가문물국장을 런던에 급파해 민사·형사소송을제기,되돌려 받는데 성공했다. 중국 정부는 청말(淸末) 8개국 연합군의 일원이던 러시아군대가 약탈해간 괴기·해학문학의 보고로 중국 8대기서(奇書)중 하나인 청나라 포송령(蒲松齡)의 ‘요재지이(聊齋志異)’ 그림을 한데 모은 ‘요재도설(聊齋圖說)’도 러시아와의 협상을 통해 반환받았다.특히 중국오대(五代)시대의 채색부조무사석각(彩色浮雕武士石刻)은 중국 정부가 미 뉴욕 소장가를 찾아가 도굴꾼에 의한 밀반출 사실을 부각시키며 설득,되돌려받은 것.허베이(河北)성 취양(曲陽)현에서 출토된 무사석각은 94년 도굴돼 미국에 밀반출된 사실을 확인한 둥바오화(董保華) 문물부국장이 뉴욕에 날아가 소장자를 만나 끈질기게 설득,기증받았다. 중국 정부는 이번에 반환받은 국보급 유물 70여점을 한데 모은 ‘국보귀국전’을 10월13일까지 베이징의 역사박물관에서 열고 있다.93년프랑스 미테랑대통령 방한때 원칙합의한 외규장각도서 반환이 정부의무성의로 진척이 없는 점을 생각하면 ‘타산지석’이 아닐 수 없다. △김규환 특파원 khkim@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