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규환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 강신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79
  • 韓國군함 10월 첫 訪中

    한국 해군함정이 오는 10월 24일부터 28일까지 사상 처음으로 중국 대륙을 방문한다. 한국 해군함정은 지난 98년 11월 홍콩을 방문한 적이 있지만, 중국 대륙을 방문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베이징의 한 소식통은 12일 “중국 정부는 최근 한·중 실무협의를 통해 상하이(上海)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가 끝난 직후인 10월 24일부터 5일동안 한국 해군함정의 상하이 방문을 허용한다는 방침을 한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이 소식통은 “한국 해군함정의상하이 방문은 한·중간의 군사외교가 실질적인 협력단계에진입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전했다. 방중단은 준장급 순항분대사령관이 지휘하며 한국형 구축함(4,000t급) 1척과 군수지원함(8,000t급) 1척,호위함(1,500t급) 등 3척으로 구성된다.방문단 규모는 해군사관학교 4학년 생도 150명을 포함,600여명이다.한국은 98년 12월 한·중 군사교류 협의 때부터 해군함정의 중국 방문을 중국측에 지속적으로 제의했으나 중국측은 그동안 북한을 의식해반대입장을 표명해왔다.그러나지난해 6월 남북정상회담의성공적 개최 등 남북관계가 화해·협력시대로 전개되면서같은해 10월 서울을 방문한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에 의해 해군함정 교환방침이 합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노주석기자 khkim@
  • 中, 연내 WTO 가입할듯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과 미국이 중국의 농업보조금지급문제 등 미해결 사안에 대해 합의함에 따라 중국의 연내세계무역기구(WTO) 가입 가능성이 한층 높아졌다. 스광성(石廣生)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장은 지난주 상하이(上海)에서 열린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 회의에서 로버트 졸릭 미국 무역대표와 회담을 갖고 중국의 WTO 가입과 관련,농업보조금 지급문제 등 미해결 사안에관해 ‘완전한 합의’에 도달했다고 관영 신화통신(新華通訊)이 9일 보도했다. 스 부장은 “이번 합의로 이달말 제네바의 WTO 본부에서 열리는 제 16차 중국가입 작업반회의의 중요한 여건이 마련됐다”고 강조했다.이에 따라서 중국과 유럽연합(EU)은 오는 28일 열리는 WTO 실무그룹 회의에서 중국의 WTO 가입을 위한막바지 이견 절충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상하이 주재 미국 영사관의 샬롬 에르난데스 대변인도 중국의 WTO가입에 관한 다자간협상의 ‘주요 이슈들’에 대해 중국측과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에르난데스 대변인은 중국의연내 WTO 가입을위해 미·중 양국이 다른 WTO 회원국들과긴밀히 협력하기로 합의했다며 “이번 합의는 11월 카타르도하에서 열리는 WTO 각료회의에서 뉴라운드 출범을 위한 우리의 노력에 힘을 싣는 계기가 돼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khkim@
  • 주룽지 中총리 칭화대 강단 떠나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73)가 17년 동안 정들었던 모교 칭화(淸華)대학 강단을 떠났다. 중국의 북경청년보(北京靑年報)는 8일 칭화대 전기기계공학과 출신인 주 총리가 모교의 경제관리학원 원장을 그만두고 떠나던 5일 주 총리의 제자들과 교우들은 석별의 정을나누느라 울음바다를 이뤘다고 보도했다. 주 총리는 이날 고별 강연에서 국내외 경제정세와 중·미관계 등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 뒤 강의가 끝날 때쯤 “내가 모교를 위해 한 일이 너무 보잘 것없다.이제 칭화를 떠나지만 칭화는 나의 마음 속에 영원히 남아 있을 것이다”며사직의 뜻을 밝혀 강연장을 숙연케 했다. 그는 사직 이유를 밝히지 않았지만,중·미관계와 세계무역기구(WTO)가입 등 현안에 대해 평소 강조해온 것처럼 ‘국궁진췌(죽을 때까지 경건한 마음으로있는 힘을 다한다)’하기 위한 것으로 알려졌다. khkim@
  • 中 IT과목 의무화

    중국 정부는 올해말 안으로 중국 대륙 전역의 모든 고등학교와 베이징(北京)·상하이(上海)·톈진(天津) 등 대도시의 모든 중학교에 대해 IT(정보기술)과목을 필수 이수과정으로 개설하기로 했다. 중국 왕잔 교육부 부부장(차관)은 7일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가 21세기 정보화 시대를 발맞춘 교육의 현대화를 위해올해부터 5년 안에 중국 전역의 모든 초·중·고교에 IT교육을 보급한다는 목표를 세웠다”며 “이를 위해 2001년 안으로 전국의 고교와 대도시의 중학교에 대해 IT과목을 필수이수과목으로 개설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고 북경신보(北京晨報)가 8일 보도했다. 왕 부부장은 또 2003년까지 경제가 발달된 중소도시의 중학교와 베이징 등 대도시의 초등학교에 대해서는 IT과목을 개설,이수하도록 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그는 특히 2005년말까지 모든 중학교와 경제가 발달된 중소도시의 초등학교에대해 IT과목을 필수 이수과정으로 개설하겠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美 새 대북정책…주변국 반응

    일본 정부는 이날 이렇다 할 공식 반응을 보이지 않았지만대체적으로 미국 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 한반도 전문가는 “경색됐던 한반도가 북·미 대화 재개 결정으로 돌파구를 마련하게 됐다”면서 “북한의 태도는 미지수이지만 사실 북한으로서도 기다려온 결정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미 대화가 지난해 10월 이후 중단된 북·일 수교협상을 재개하는 촉매제가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일본 언론들은 일제히 북·미 대화 재개 소식을 1면에 주요기사로 소개하면서 대화 채널이 다시 열린 것은 일단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북·미 관계의 급속한 해빙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나타냈다. [도쿄 황성기특파원 marry01@] 중국 정부는 7일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겠다는 미국 정부의발표를 환영한다고 밝혔다. 쑨위시(孫玉璽)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날 가진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은 북·미간 대화 재개 움직임을 환영한다”면서 “앞으로도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해 북·미 관계가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이에 앞서 구체적 논평 없이 부시미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4개월여에 걸쳐 대북정책을 검토한 뒤,미국은 앞으로 북한과 핵무기,미사일 개발 및 수출문제 등에 대해 협의해 나갈 것이라는 성명을 발표했다고간략한 사실보도만 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日 보호무역 보복 경고

    중국이 일본의 교과서 왜곡, 보호무역주의 흐름에 대해 대반격을 시도하고 있다. 스광성(石廣生)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장은 7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포럼을 마친 후 기자회견을 통해 “우리가 현재 진행하는 협의를 통해 결과를 산출할 수 있기를 희망하지만 일본측이 중국의 항의를 무시하고 행동을 고집할 경우 중국은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권리가 있다”고경고했다. 앞서 중국 정부는 6일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수입규제를하겠다는 입장을 밝히고,주룽지(朱鎔基) 총리는 일본과 독일이 치열한 수주경쟁을 벌이고 있는 상하이(上海)시와 푸둥(浦東)공항을 연결하는 고속철도 실험노선 건설에 공공연히 독일을 지지하고 나섰다. 중국 정부의 방침은 일본 정부가 교과서를 왜곡하고 지난4월 대파·표고버섯 등 3개 농산물에 대해 최고 226%의 고율 관세를 매기는 세이프가드(긴급 수입제한)조치를 발동한데 이어,대(對)중국 ODA(개발도상국 원조) 원조액을 대폭삭감할 것으로 알려진데 대한 ‘보복 조치’의 성격이 짙다. 지난 79년부터 일본과 가까운 중국대륙 연해부의 인프라건설을 위해 지원된 일본의 중국 ODA원조액은 지금까지 모두 145억달러에 이르고 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최대 닷컴도 ‘흔들’

    미국 나스닥 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륙 최대의 포털사이트인 ‘신랑왕(新浪網·sina.com)’의 왕즈둥(王志東·33) 회장이 돌연 사퇴를 선언했다. ‘중국의 빌 게이츠’로 불리는 왕 회장은 4일 미국에서열린 이사회석상에서 개인적인 이유로 회장·CEO(최고경영자)직 등에서 물러나는 대신 수석고문직을 맡기로 했으며,오는 6월말까지 신랑왕 직원의 15% 이상을 감원하겠다고 밝혔다고 북경신보(北京晨報)가 5일 보도했다.이에 따라 회장직은 왕옌(汪延) 중국본부 사장이,CEO직은 마오다오린(茅道林) 전 CEO가 각각 맡을 예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신랑왕의 이같은 조직개편은 신랑왕이 미국·한국 등 IT업체들처럼 뚜렷한 수익모델을 개발하지 못한 상황에서 무리한 시설 확장 등으로 자금난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다.신랑왕은 자금난을 타개하기 위해 1,200만명 이상의 회원을보유한 중화왕(中華網) 등과 합병을 모색하고 있으나,경영권을 둘러싸고 이사회와 직원들간에 이견을 보여 협상에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자본 해외로 샌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의 외환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서부대개발 등 ‘21세기 중국의 대역사(大役事)’를 성공시키기 위해 외자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중국 대륙에 오히려중국내 자본들의 해외 유출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기 때문이다. 홍콩의 경보(勁報)에 따르면 2000년 중국의 자본유출액은전년보다 2배 이상 늘어난 480억달러(약 62조4,000억원)에이른다.이 수치는 지난해 외국인의 직접투자액 407억달러를크게 웃도는 수준이다.더욱이 자본유출액이 해마다 증가하고있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 중국에서 자본유출이 크게 늘어나고 있는 것은 GDP(국내총생산·2000년 1,100억달러)의 30%선에 해당하는 엄청난 중국지하경제의 자금들이 ‘안전한 투자처’를 찾아 해외로 빠져나가고 있는 게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khkim@
  • 타이완 경제부장 3일 訪中

    타이완 행정원 린신이(林信義) 경제부장(장관)이 천수이볜(陳水扁) 총통 취임 이후 처음으로 3일부터 중국을 방문한다고 타이완 경제부가 29일 발표했다. 린 부장은 6월 6∼7일 상하이(上海)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통상장관 회의에 참석,회의를 전후해 중국 관리들과 만날 예정이다.현재 린 부장은 천 총통의남미 방문을 수행중이며, 방중을 위해 1일 타이완으로 귀국할 것이라고 타이완 정부는 밝혔다.중국의 APEC 소식통들도천 부장의 방중을 확인했다. 이에 앞서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은 지난 15일 APEC 각료 포럼에 참가하기 위해 베이징(北京)을 방문한 천보즈(陳博志) 타이완 행정원 경제건설위원회 주임위원(장관)과 극히 이례적으로 만나 주목을 받았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침묵 깨고 경고 메세지

    미군의 중국 연안 정찰활동 재개와 천수이볜(陳水扁) 타이완 총통의 미국 방문 등 미-중간 갈등속에서도 침묵으로 일관하던 중국이 강경 노선으로 선회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 4월 정찰기 충돌사건 이후 홍콩에 입항을 신청한 미 해군 소해정(掃海艇) ‘인천’호의 입항을 거부했다고 중국 외교부가 29일 밝혔다.미군 함정의 홍콩 입항이 거부된 것은 지난 99년 5월 미군에 의한 유고슬라비아 주재 중국대사관 오폭 사건후 처음이다. 주방자오(朱邦造) 외교부 대변인은 “외국 항공기와 선박의 입항 신청과 관련,중국측은 여러가지 요소들을 고려하여 입항을 허가한다”면서 “입항 거부 이유는 설명하지는 않을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주 대변인은 “우리는 줄곧 중국 연안에 대한 정찰을 반대해왔으며 미국측이 이번 교훈으로부터 배우고 관행을 바꾸기를 바란다”고 밝혀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조치임을시사했다.또 중국에 불시착한 미 정찰기를 해체하여 미국에돌려주려는 것은 기술적인 이유가 아닌 비행기의 성격에 따른 정치적인이유라고 덧붙였다. 천 총통의 남미 순방중 중국과의 평화적인 협상을 제시한데 대해,말장난을 하고 있으며 자신의 영향력을 높이기 위하여 외세에 의존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한편 중국 인민해방군은 타이완 부근의 동샨섬에서 지금까지의 군사훈련중 가장 큰 규모의 육·해·공군 합동 군사훈련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홍콩의 중국계 신문 문회보(文匯報)가 이날 보도했다.이를 위해 인민해방군은 이달 중순 중국저장(浙江)성에 주둔중이던 약 1만명의 병력을 동샨섬에 배치했으며 푸젠(福建)성과 광둥(廣東)성의 병력들도 이곳에이동배치되고 있다고 신문은 전했다. 이번 군사훈련에는 타이완의 독립 움직임과 최근의 외교적행보에 대한 강력한 경고 메시지가 담겨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중국 해군이 장양 칭다오(靑島) 북해함대 사령관의 지휘를 받아 지난 25일부터 27일까지 인도 뭄바이에서 실시된인도 해군의 연례 군사훈련에 참가하고,츠하오톈(遲浩田) 중국 국방부장이 24일 티프니스 인도 공군사령관과 중·인도간의 군사협력 및 교류 등 현안을 논의한 것도 인도를 끌어들여 미국의 미사일방어(MD)체제에 대항하기 위한 군사적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된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발 달린 호텔?

    대형 건물의 위치를 다른 곳으로 옮기는 중국 최대 규모의‘건물 수평이동 건축공법’이 성공적으로 끝났다. 28일 북경신보(北京晨報)에 따르면 중국 난징(南京)호텔은도시정화 사업의 하나로 도로의 폭을 넓혀주기 위해 20일부터 26일까지 호텔의 위치를 조금씩 옆으로 수평이동시켜 26m쯤 떨어진 곳에 다시 자리를 잡았다. 위치 26m를 옮기기위해 1회 15∼16㎝씩 170여차례 걸쳐 건물 수평이동 건축공법이 시행된 난징호텔은 6층의 중대형 건물.건축면적은 5,424㎡이며,무게는 8,000t이다. ‘건물 수평이동 건축공법’은 건물 밑에 쇠판을 깔고 받침목을 설치한 뒤 소형 기중기를 설치,건물을 통째로 들어올려 균형을 맞추면서 도르래를 이용해 건물의 위치를 옮기는 기술.한국에서는 아직 시도된 적이 없지만 미국 등에서실시되고 있으며,건물이 매우 튼튼하게 지어져 건물을 부수고 새로 짓는 것보다 비용절감이 예상될 때 주로 이용되는고난도의 건축 공법이다. 호텔측은 현재 건물 지하의 지반고정및 수도관 연결공사가진행중이며, 오는 6월말 다시 문을 열계획이라고 밝혔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hkim@
  • 한외교, 달라이라마 방한 허용 시사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25일 폐막된 제3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 외무장관회의에 참석한 한승수(韓昇洙) 외교통상부 장관은 26일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외교부장과의 회담에서 한국 정부가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방한을 허용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한 장관은 달라이 라마의 방한을 신중히 처리해달라는 탕 부장의 요청에 “한국에는 종교의 자유가 있고 1,000만명의 불교도가 달라이 라마를 초청,설법을 들으려는 만큼 정부로서도 막는 데 어려움이있다”고 답변했다. khkim@
  • 美 “정찰기협상 합의 한적 없다”

    중국 하이난(海南)섬에 억류중인 미정찰기 EP-3의 기체 반환방식이 합의됐다는 중국 외교부 발표를 미국이 24일 공식부인, 정찰기 반환 방식을 놓고 양국간 논란이 재연되고 있다. 도널드 럼즈펠드 미 국방장관은 이날 미국은 EP-3정찰기를분해하는 방안을 중국측에 제안하지 않았다고 확인하면서다만 정찰기 날개를 분리,동체와 날개를 대형 수송기로 반환하는 방안을 협의한 적은 있다고 설명했다. 럼즈펠드 장관은 “현재 협상이 진행중인 상태”라면서 “이와 관련해 중국측으로부터 어떤 공식입장도 통보받지 못한 상태”라고 중국측 합의 주장을 일축했다. 필립 리커 국무부 대변인도 “미국은 필요하다면 정찰기를분해, 수송기편이나 선박편으로 운송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는 앞서 천명한 대로 정찰기를 수리,비행을 통해 귀환하는 방안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미국 정부에서 이 문제를 총괄 지휘하고 있는 딕체니 부통령이 최근 언론을 통해 협상 타결 가능성을 시사하며 기체의 분해 반환도 괜찮다고 발언한 점에 비춰미 국무부가 중국측과 원칙적 합의를 해놓고도 미 국내 비판여론을 의식해 부인 발표를 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앞서 중국 외교부 주방자오(朱邦造) 대변인은 베이징에서기자들에게 “미국이 정찰기를 분해,본국으로 수송하는 방안을 제안해 이에 동의했다”면서 양측은 앞으로 기술적 부분에 대한 실무협의를 계속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워싱턴 최철호·베이징 김규환특파원
  • 2차 남북정상회담 강력 촉구

    한승수(韓昇洙)외교통상부장관 등 26개국 외무장관들은 25일 베이징(北京)에서 열린 제3차 아시아·유럽정상회의(ASEM)외무장관회의 폐막성명을 통해 “제 2차 남북 정상회담의 조기 개최를 강력히 촉구한다”면서 “특히 남북대화의 진전을통한 한반도 평화·안정과 통일실현에 전폭적인 지지를 재확인한다”고 밝혔다. 아셈 회원국 외무장관들은 지난해 서울에서 열린 아셈 정상회의에서 김대중(金大中)대통령이 제안한 아셈 외무장관회의매년 개최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차기 아셈 외무장관회의는2002년 9월 덴마크에서 열리는 제4차 아셈 정상회의에 앞서6월 스페인에서 개최하기로 했다. 한편 한 장관은 26일 다나카 마키코(田中眞紀子) 일본 외상과 회담을 갖고 교과서 문제와 관련,한국이 지적한 35개 항목의 재수정과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 불가방침을 강력히 요구할 예정이다.이어 탕자쉬안(唐家璇) 중국 외교부장과는 일본 교과서 및 고이즈미총리의 신사참배에 대한 공동대처 및 한·중간 우호증진 방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美·中 정찰기 반환 합의

    중국 정부는 24일 하이난다오에 억류중인 미해군 정찰기EP-3기의 기체를 분해한 뒤 미국측에 반환키로 합의했다고주방자오 중국 외교부대변인이 이날 발표했다. EP-3기는 지난 4월1일 중국군 전투기와 공중충돌한 뒤 중국 하이난다오에 비상착륙,지금까지 중국군 링수이 공군기지에 억류돼왔다. 주 대변인은 성명을 통해 기체반환 협상을 벌여온 미국측협상단이 기체를 분해한 뒤 반환할 것을 요청해와 중국측이이에 동의했으며 현재 기체 반환을 위한 기술적인 문제를검토중이라고 밝혔다. 기체반환을 위해 양측이 합의한 조건은 알려지지 않고 있다.EP-3기의 승무원 23명은 지난 4월11일 하이난다오를 떠나 본국으로 무사귀환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 아셈 외무 의장성명 오늘 발표

    25일 폐막되는 제3차 아시아·유럽회의(ASEM) 외무장관 회담 의장성명에 한반도 문제와 관련, 남북한 정상회담 이후화해·협력을 환영하고 지난해 서울 아셈정상회의의 ‘서울선언’취지에 따라 한반도의 평화정착 과정이 지속되기를바란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24일 베이징(北京) 차이나월드호텔에서 개막된 아셈 외무장관회의에서 한승수(韓昇洙)외교부 장관은 이같이 밝히고아셈 외무장관들은 페르손 스웨덴 총리의 북한방문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에 건설적 역할을 하는 디딤돌이 될 것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고 말했다. 앞서 한 장관은 태국·싱가포르·베트남·스페인·덴마크등 5개국 외무장관과 양자 회담을 갖고 최근의 북한 정세와개방여부,남북한 동향과 동북아정세를 설명한 뒤 한국의 대북화해와 협력정책에 대해 이해와 지지를 요청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함대, 타이완 침공 훈련

    중국 인민해방군은 지난달부터 타이완군이 주둔중인 남중국해의 둥사다오(東沙島) 인근 해역에서 모의 침공 훈련을실시중이며, 수일내로 대만해협 바로 인근의 둥산다오(東山島)와 난사(南沙)군도의 융싱다오(永興島)에서 2개의 대규모 군사훈련을 실시할 것이라고 타이완군의 탕야오밍(湯耀明) 참모총장이 24일 밝혔다. 탕야오밍 참모총장은 이날 타이완 입법위원(국회의원)들에게 행한 비밀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타이완 국방부도탕 부장의 비밀 브리핑후 중국의 잇단 군사훈련을 확인하는성명을 발표했다. 중국의 이같은 잇단 군사훈련은 천수이볜(陳水扁)타이완 총통의 미국과 라틴 아메리카방문 시기에맞추어 드러난 것이다. 중국측은 지난 95년 5월 리덩후이(李登輝)전 총통의 방미에 대한 보복으로 집중적인 군사훈련과 미사일 발사훈련을실시해 미국의 항공모함 전투단이 출동하는 등 타이완 해협이 국제적인 분쟁지역으로 불거졌었다. 국방부는 사태의 민감성을 감안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고 “중국군이 매년 4월부터 10월까지 타이완 해협 건너편에서 군사훈련을 실시한다”고 말했다. 국방부는 이번 군사훈련들이 타이완 해협에 위협이 되지않으며 천 총통의 방미와 관련이 없다고 주장했다. 리덩후이 방미에 따른 중국의 군사훈련 당시에도 타이완군은 초기에는 타이완인들을 안심시키는 비슷한 성명을 발표했으나 그후 사태가 극도로 악화됐었다. 한편 타이완 국방부는 키드급 구축함을 미국으로부터 구입키로 사실상 결정했다고 중국시보(中國時報)가 24일 보도했다.이 신문은 국방부 보고서를 인용,해군이 내년부터 시작해 2005년부터 2007년 사이에 키드급 구축함 4척을 미국으로부터 구입키로 했으며 구입예산으로 250억 타이완달러(7억4,783만달러)를 책정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홍콩 연합 khkim@
  • 美 외교압박에 속타는 中

    [워싱턴 최철호·베이징 김규환특파원] 미국이 중국을겨냥한 외교적 압박을 강화하자 뚜렷한 대응 방안을 찾지못한 중국이 속을 태우고 있다. 미국은 천수이볜(陳水扁) 타이완 총통의 미국 방문을 환영한데 이어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에게사실상 망명정부 수반 자격으로 조지 W 부시 대통령과 만나게 하는 등 중국의 입장을 철저히 무시한 채 외교적 공세를 늦추지 않고 있다.달라이 라마는 과거에도 2차례 백악관을 방문했지만 차나 마시며 환담하는 손님 자격의 비공식 방문이었다.게다가 미 하원은 다음달 3일로 만료되는 중국에 부여한 항구적 정상무역관계(PNTR) 자격 연장을반대하는 결의안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이 중국과 티베트 망명정부간 대화 재개 유도 등 외교현안을 거론하며 중국을 수세적 위치로 몰아넣고 있는것과 달리 중국은 미국에 대해 비난의 목소리만 높이고 있다.미국의 연이은 ‘중국 때리기’에 대응할 마땅한 카드를 찾지 못한 것이다. 23일 중국은 저우원충(周文重)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가 주중 마이클 마린미 대리대사를 소환,엄중항의했다.관영통신인 신화통신은 저우원충 부장조리가 “미 정부의 잘못된 행동은 중-미 코뮈니케를 심히 손상시켰고 타이완 독립을 주장하는 분리주의자를 자극,결국 중국 내정에간섭한 것”이라 항의했다고 보도했다.이어 미국의 그런행동들에 대해 강한 분노와 확고한 반대를 표현했다고 덧붙였다. 달라이 라마와 부시 대통령의 회담에 대해서는 외교부 주방자오(朱邦造) 대변인이 정례 브리핑을 통해 “티베트는중국 영토의 일부분이며 티베트 업무는 중국의 내정이므로 어떤 나라도 간섭할 권리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미국에 대해 대사 소환이나 고위 인사교류 중단조치 등 강도높고 구체적인 외교적 대응방안을 내놓지 않고 있다.현재로는 국익을 고려,감정을 최대한억제하는 철저한 현실주의 외교노선을 따르고 있다. khkim@
  • 中 공공관리학 석사제 도입

    중국 정부가 국가 공무원의 자질 향상을 위한 공무원 전문교육 제도인 ‘공공관리학 석사과정(MPA)’제를 처음 도입한다. 중국 국무원은 오는 10월 13∼14일 MPA 연구생 2,400명을선발하는 전국 24개 대학원이 국가고시를 치르기로 했다고중국 관영 신화(新華)통신이 21일 보도했다.서구에서 경영학석사 과정인 MBA와 로스쿨(법률학) 석사 과정 등과 함께 인문·사회 계통의 3대 전문 직업교육 과정인 MPA는 공공사무·공공관리,정책연구 등 공공부문에 대한 고급관리를 배출·양성하는 제도.학제는 4년 과정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천수이볜 “野와 연립정부 구성”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천수이볜(陳水扁) 타이완 총통이20일로 취임 1주년을 맞는다. 천 총통은 18일 취임 1주년 연설을 통해 “오는 12월 총선 이후 선거결과와 관계없이 야당과 권력을 공유하는 연립정부를 구성할 것”이라며 “그간의 정치 불화를 타파하고 경제 부흥을 꾀하기 위해 의회 구조를 재편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천 총통은 지난해 5월 반세기에 걸친 국민당 장기집권 체제를 깨고 집권에 성공했으나 이후 원전 건설을 둘러싼 충돌 등 계속된 여야간 극한대결로 정책추진에 난항을 겪어왔으며,이어진 경기침체로 대만 국민들의 정치 불신은 극도로 악화된 상황이다. 천 총통은 또 오는 10월 중국 상하이(上海)에서 열리는아시아 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비공식 정상회담에 참석해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과 역사적인 회담을 갖기를 희망한다고 제의했다.그러나 쑨위시(孫玉璽)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이에 대해 중국은 천 총통이 타이완을 대표해 APEC 회담에 참석하는 것을 절대 허용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 정부는 민주주의와 평등,평화원칙을 전제로하는 한 시점과 장소,의제를 불문하고 중국과 대화 또는협상할 용의가 있다”면서 “물론 장 주석과는 3통(通)문제를 비롯해 경제.무역 등 분야를 가리지 않고 직접 대화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천 총통은 TV로 생중계된 연설에서 “이제 내부의 소모전을 중단해야만 경제발전을 위한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며 연정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천 총통은 이미 취임초 국민당내 거물인 탕페이(唐飛) 전 행정원장을 내각의 파트너로 임명했으나 석달만에 퇴진하는 바람에 야심차게 추진했던 범국민정부 구상이 중도 좌절됐다. 타이완 정가에서는 천 총통의 연정 제의에 대해의회내 다수 확보에 실패하고 있는 민진당의 총선 결과에따라 그의 원대한 구상의 성패가 좌우될 것으로 관측하면서 조심스런 반응을 보이고 있다. 지난 1년 천 총통의 성적표는 외치에서는 만족할 만한 점수를 받았다.그러나 내치는 낙제에 가깝다는 평가를 받고있다.천 총통은 특히 타이완 중시를 내건 조지 W 부시 미행정부 출범 이후 인권 문제·군용기 충돌사건 등중국과미국간 갈등의 ‘틈새 외교’를 통해 짭짤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 외교적 성과의 대표적 사례는 타이완의 안보를 확보할 수 있는 자위력을 배가시켰다는 점이다.지난달말 워싱턴에서 열린 미·타이완간의 무기구매협상에서 미국으로부터 키드급 구축함,P-3C 대잠초계기 등 타이완의 해군력을 대폭확충할 수 있는 무기판매 약속을 받아낸 덕분이다.이지스구축함 구매에는 실패해 아쉬움이 남지만,만족할만한 성과를 얻었다는 게 군사전문가들의 분석이다. 그러나 국내 정치·경제 등 내치는 휘청거리고 있다.정·재계에 만연하고 있는 검은 돈 척결과 제4핵발전소 건설중단이 다수파인 야당의 제동으로 무산되는 등 정국은 바람 잘날이 없다.실업자는 10만명을 넘어섰고 증시는 시가총액의 절반으로 쪼그라들면서 탄탄한 타이완경제에 금융위기설까지 나도는 형편이다. khkim@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