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길수가족 처리 전망
중국 외교부는 장길수군 가족 일행이 베이징의 유엔 난민고등판무관(UNHCR) 사무소로 들어간 지 사흘째인 28일 대변인 브리핑을 통해 향후 처리 방향에 대해 입장을 밝혔다.
이날 장치웨(章啓月) 대변인이 밝힌 브리핑의 주요 내용은 이들을 난민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것과,그럼에도 불구하고 인도적인 차원에서 이 문제를 풀어나가겠다는 두가지로 요약된다.이러한 서로 상반되는 듯한 두가지 방침에서 현재 중국 당국이 이 문제를 두고 겪고 있는 고민의 일단을 엿볼 수 있다.중국 정부는 우선 북한과의 관계,이들에게 난민지위를 부여할 경우 초래될 탈북자들의 대규모난민요청 사태 등을 감안할 때 난민지위 부여는 곤란하다는 입장을 정리한 것 같다.
그러나 국제여론,이들의 난민지위를 인정하겠다는 UNHCR의 확고한 태도,그리고 난민지위 인정 및 한국송환을 요구하는 한국정부와의 관계 등을 고려,최소한 북한으로 되돌려 보내지는 않겠다는 의지를 피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중국 당국은 이들을 특별 케이스로 간주해 난민지위를 인정하지 않으면서 제3국 추방 등의 조치를 모색할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베이징 관측통들은 전망하고 있다.
현재 대상 국가로는 필리핀,싱가포르,몽골 등이 후보로 거론되고 있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표면적으로는 ‘정중동(靜中動)’의자세를 취하면서도 내부적으로는 비교적 발빠르게 대응책마련에 부심한 것으로 보인다.이는 오는 7월13일로 다가온2008년 하계올림픽 유치 결정을 앞두고 이 문제가 국가대사인 올림픽 유치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해서는 안된다는 절박함이 작용한 때문으로 보인다.
따라서 장길수군 일행의 거취는 빠르면 내주중,늦어도 7월13일 이전 제3국으로의 신병인도가 이루어질 것이란 희망적인 관측들도 나오고 있다.다만 중국 당국은 이번 사건처리가 ‘탈북자 난민 불인정’, ‘북한 강제송환’이라는원칙을 포기한 것이 아니라 특별 케이스라는 점을 분명히못박음으로써 정치적 부담을 줄이려 할 것으로 보인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