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규환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79
  • 세계 정계거물들 한자리 모인다

    세계 정계 거물들이 오는 9월 베이징(北京)에 모여 ‘21세기의 중국 및 동북아의 주변 정세’를 논의한다. 중국 인민외교학회는 다음달 10∼12일 헬무트 콜 전 독일총리와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 등 세계 정계 거물과국내외 석학 등 2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1세기의 중국과 세계’를 주제로 국제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29일 밝혔다. 이번 국제 세미나에는 콜 전 총리와 키신저 전 장관 외에한승주(韓昇洲) 전 외교통상부 장관,부트로스 갈리 전 유엔사무총장,가이후 도시키(海部俊樹) 전 일본 총리,즈비그뉴브레진스키 전 미 백악관 안보담당보좌관,호크 전 호주 총리,‘국제 헤지펀드의 대부’인 조지 소로스 미 퀀텀펀드 회장 등 세계 정계거물 50여명이 참석한다. 중국측에서는 리자오싱(李肇星) 외교부 부부장,다이샹룽(戴相龍) 중국 인민은행장,슝광카이(熊光楷) 중국 인민해방군부총참모장 등이 참석한다. 특히 이번 세미나에서는 중국의 금융개혁과 과학기술 발전계획,국유기업 개혁,서부대개발사업,대외 무역합작 및 투자환경 등 중국의 21세기발전전략에 대해 심도있게 논의할 예정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중국은 美에 우호적”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이 한 미국 관광객이 보낸편지에 대해 직접 쓴 정감어린 답신이 화제다. 장 주석은 지난 5월 이 미국인이 중국 대륙을 여행한 뒤감상을 적은 편지에 대해 “중국인들은 미국인들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갖고 있다”는 내용의 자신이 직접 쓴 답신을지난 1일 보냈다고 인민일보(人民日報) 등 중국 관영 언론들이 27일 1면기사로 보도했다. 뉴욕주에 사는 이 관광객은 중국 여행으로 얻은 좋은 경험과 몇가지 건의 사항을 편지에 적었다.장 주석은 답신에서“두나라 국민들간의 왕래는 두나라 관계를 양호한 방향으로 발전시키는 기초가 된다”며 “미국 친구들이 좀더 많이중국을 보러 오기를 희망한다”고 적어 미국에 대해 우호적인 자세를 갖고 있음을 보였다. 그는 “중국에는 백번 듣는 것보다 한번 보는 것이 낫다(百聞不如一見)는 속담이 있다”면서 “당신이 중국에서 경험한 것처럼 중국인민은 미국인들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갖고 있고 중·미관계가 우호·협력관계로 발전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철인’ 장젠 헤엄쳐 천지 횡단

    ‘철인’으로 불리는 중국의 장젠(張健·37) 베이징(北京) 체육대 부연구원이 28일 백두산(중국명 長白山) 천지를 수영으로 횡단하는 데 성공했다. 수영선수 출신인 장씨는 지난해 8월 중국 보하이(渤海)해협을 50시간22분 동안 수영으로 횡단,세계 최장거리 수영신기록을 세운데 이어 지난달 29일 도버해협을 12시간만에 헤엄쳐 건넌 인물이다. 장씨는 28일 오전 11시(한국시간 낮 12시)쯤 백두산 천지의 자하봉을 출발,북한과 중국의 국경선을 이루는 중앙선과 200m 떨어진 중국쪽 수역을 따라 3,370m를 헤엄쳐 1시간여만에 백두산 서쪽 현설애 아래에 도착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북한과 중국이 절반씩 차지하고 있는 백두산 천지는 해발 2,189m에 위치하고 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안정 우선” 사상통제 강화

    중국 대륙에 ‘사상통제’ 바람이 휘몰아치고 있다.중국정부가 당내 보수파 활동을 원천봉쇄한데 이어 분신자살을기도한 파룬궁(法輪功)수련자들에 대해 중형을 선고하고,티베트 불교의 최대 강원(講院)인 세르타르사원에 머물고있는 승려와 비구니들에게 강제퇴거를 통보하는 등 사상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중국 정부의 이같은 방침은 내년 제16차 당대회 때 장쩌민(江澤民) 주석의 ‘3개대표(三個代表)’이론을 당지도방침으로 격상시키기 위해서는 보수파 세력이 걸림돌인 만큼사전에 제거하고,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치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을 앞두고 사회적 안정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당중앙 선전부는 최근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을비판한 당내 보수파 세력의 활동을 봉쇄하라고 지시했다. 선전부는 ▲마르크스주의의 발전이론을 통한 장 주석의 ‘3개대표’이론 홍보 ▲지방 및 군부에 장 주석에 대한 지지 확보 ▲보수파 잡지 발행 정지 등 6개 항목의 지시를내렸다.이에따라 장 주석의 사영기업인 공산당 입당 허용방침을비판한 보수파 이론지 ‘진리의 추구(眞理的 追求)’와 ‘중류(中流)’가 정간당했다. 중국 광시(廣西)장족자치구 류저우(柳州) 중급법원은 23일 살인죄로 기소된 파룬궁 수련자인 란윈창(蘭雲長)에 대해 사회교란과 치안문란,고의 살인죄 등을 적용해 사형선고를 내렸다. 베이징 중급 인민법원도 1월 톈안먼(天安門)광장에서 집단분신자살을 기도한 파룬궁 수련자 4명에 대해서도 집단분신 모의와 선동, 방조함으로써 고의 살인죄를 저지른 사실을 인정해 무기징역과 징역 15년 등의 중형을 선고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장쩌민 새달3일 訪北 발표

    중국은 27일 장쩌민(江澤民) 중국 공산당 총서기 겸 국가주석이 김정일(金正日) 북한 노동당 총비서 겸 국방위원장의 요청으로 9월3일부터 5일까지 북한을 공식 방문한다고발표했다. 장 주석은 지난 90년 3월 당총서기 자격으로 평양을 방문한 이후 11년만이다. 중국 공산당은 27일 관영 중앙방송(CC-TV)을 통해 이같이밝히고 “장 주석의 북한 방문이 공식 친선방문”이라고강조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北·中 혈맹관계 9년만에 복원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의 방북은 1992년 한·중 수교 이후 중단됐던 두 나라 정상들이 상호 교환방문함으로써 그동안 냉각됐던 북·중관계를 이전의 혈맹관계로 올려 놓는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원만하던 북·중관계는 92년 한·중 수교 이후 급랭했다. 옛 소련의 붕괴로 북한의 ‘가치’를 높여주던 중·소 경쟁관계가 종언을 고함과 함께 중국이 북한에 실용주의정책을 추구하면서 한·중 수교가 이뤄진 것.한·소 수교로 고립감에 빠져 있던 북한은 한·중 수교가 이뤄지자 중국에배신감을 느껴 정상간의 상호방문을 중단,양국관계가 ‘견원지간’으로 변한 것이다. 하지만 북한은 중국이 사회주의체제를 고수하는 유일한강대국인 데다,홍수 등 자연재해 등으로 경제난이 가중돼중국의 원조가 절실한 상황이어서 중국에 대해 불만 표현을 자제할 수 밖에 없었다.이때 94년10월 핵문제 타결로북·미관계가 협상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동북아 정세를 유리하게 이끌기 위해서는 ‘북한카드’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중국은 북한에 관계 회복을 위한 ‘신호’를 적극적으로 보냈다. 경제난과 외교적 고립상태에 빠졌던 북한으로서도 중국과의 장기적인 냉각상태가 지속되면 ‘체제 생존’에 위협이된다고 보고 99년 김영남(金永南)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을 베이징에 파견,최고 지도자급 인사교류에 물꼬를 터 중국과의 관계개선 의욕을 보였다.특히 지난해 5월말과 올 1월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이 중국을 두 차례비공개 방문, 중국과의 관계를 동맹관계 수준으로 한 차원격상시켰다. 장 주석의 이번 북한 방문은 김정일 위원장의 2차례 방중에 대한 답방 형식을 띠고 있지만,북·중 관계는 물론 한반도 주변정세에 큰 변화 바람을 몰고올 전망이다.북한은양국간 전통적 혈맹관계를 복원,대미 협상력을 높여 조지W 부시 행정부 출범 이후 경색된 북·미 대화가 이뤄지는계기로 삼으려 하고,중국도 한반도에 관한 영향력이 지대함을 대내외에 과시,동북아 주변정세에 대한 발언권을 높이는 발판으로 삼는다는 복안인 것이다. 특히 북·중 양국은 최근 경색된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돌파구 마련방안을 논의하는 한편 지난 7∼8월 러시아 방문 이후 장 주석의 북한 방문을 십분 활용,‘미국이 추진중인 미사일방어(MD)체제에 대해 반대한다’는 북·중·러3국 공동연대를 통해 미국에 대한 공세를 강화하려는 의도도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북·중관계 일지. ■1990.3 장쩌민(江澤民) 중국 공산당 총서기 방북■91.3 리펑(李鵬) 중국 국무원 총리 방북■91.11 김일성(金日成) 북한 주석 방중■92.4 양상쿤(楊尙昆) 중국 국가주석 방북■99.6 김영남(金永南)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 방중■2000.3 백남순(白南淳) 북한 외무상 방중■2000.5 김정일(金正日) 북한 국방위원장 비공개 방중■2000.9 다이빙궈(戴秉國)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 방북■2001.1 김 위원장 상하이(上海) 비공개 방중 ■2001.3 쩡칭훙(曾慶紅) 중국 공산당 조직부장 방북. ■2001.9.3∼5 장 주석 방북.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위안화 환율 변동폭 확대”

    중국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가입 이후 환율통제의 자유화를 위해 위안(元)화 환율의 변동폭 확대 방안을 마련하고그 시행시기를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통화정책의 입안자인 이캉(易綱) 중국 인민(중앙)은행 화폐정책위원회 부비서장은 25일 대외경제정책연구원이베이징에서 주최한 ‘WTO체제 하의 중국 경제 및 동아시아’라는 주제의 국제세미나에 참석,위안화 환율의 자유화 문제와 관련해 “중국은 WTO 가입 후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확대를 계획하고 있다”고 분명히 밝혀 그 시행시기를 저울질하고 있음을 강력히 시사했다. 중국 정부의 통화정책 담당자가 위안화 환율의 변동폭 확대 계획을 구체적으로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중국의 WTO 가입이 외국 자본 유입과 중국의 대외무역에미치는 영향에 대해 장리칭(張禮卿) 중국 중앙재경대 금융학과 교수는 “중국이 WTO에 가입하면 올림픽 특수 등에 힘입어 외국인들의 대중국 직접투자액은 지금보다 2배 이상인연 800억∼900억달러 규모로 늘어나고, 중국의 대외무역 규모도 해마다 1,000억달러 가까이 급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시중(金時中) 영남대 교수는 중국의 WTO 가입이 한국에미치는 영향과 관련,“단기적으로 관세인하 등에 힘입어 중국에 대한 수출이 늘어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장기적으로는 중국 제품의 경쟁력 강화로 한·중간에 치열한 경쟁이 이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따라서 한국 경제는 첨단산업 육성이나 효율적인 경영시스템의 도입을 통해 산업구조를 고도화함으로써 중국과의 상호보완성을 극대화해야 한다고 김 교수는 주장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타이완 경제 中에 개방”

    ‘서두름을 경계하고 인내심을 갖고 대처한다(戒急用忍)’는 타이완의 대(對)중국 경제정책이 ‘적극적으로 개방하고유효적절히 관리한다’(積極開放有效管理)는 쪽으로 바뀐다. 타이완 총통 직속 경제발전자문위원회는 26일 전체회의를열어 1996년 제정한 대중국 경제정책을 5년만에 수정하기로결정하고 천수이볜(陳水扁) 총통에게 미화 5,000만달러 이상의 중국 투자 금지 규정을 철폐하고 중국 진출에 따른 각종 규제들을 완화하라고 촉구했다. 타이완의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해 천 총통 지시로 올해 구성된 경제발전자문위원회는 여야 의원들을 비롯,정부관리,기업인,학자 등 영향력 있는 120명으로 구성됐다.천 총통은앞서 경제발전자문위원회가 건의한 제안들을 적극 수용할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전체회의는 이밖에 타이완 정부가 ▲세계무역기구(WTO) 규정에 따라 중국의 타이완 투자 규제를 완화하고 ▲타이완은행들이 중국 대륙 내에 지사나 사무소를 설치토록 허용하고 ▲양안간 신속하고 편리한 송금 체체를 구축해야 한다고건의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 정부 “日 특단대책 없으면 고이즈미 訪韓 거부”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24일 경색된한국, 중국과의 관계 회복을 위해 오는 10월 중국 상하이(上海)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 이전에한국과 중국을 방문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이날 여름휴가를 마치고 집무에 복귀한뒤 노가미 요시지(野上義二) 외무성 차관에게 APEC 정상회담 전에 서울과 베이징을 방문할 수 있도록 양국 정부와 일정 조정에 착수하라고 지시했다. 고이즈미 총리는 오는 9월 하순 싱가포르, 인도네시아 등동남아 국가를 순방할 예정이어서 한,중 방문은 양국 정부가 동의한다면 10월 초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 당국자는 26일 “아직 일본 정부로부터 고이즈미 총리의 방한이나 한일 정상회담 개최를 공식제의받은 바 없다”면서 “고이즈미 총리의 방한에 앞서 교과서 왜곡과 신사참배 문제에 대한 책임있는 해명과 특단의조치가 먼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주방짜오(朱邦造) 중국 외교부 수석대변인은 25일 교도통신에 고이즈미 총리의 중국방문 수용 여부는 일본이 지난 세기 침략으로 희생된 이웃 아시아 국민들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 실질적인 행동을 보여주느냐에 달려 있다고 밝혔다. 도쿄 황성기·베이징 김규환특파원·박찬구기자marry01@
  • ‘풍요와 빈곤’ 중국의 두얼굴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대륙에 ‘풍요와 빈곤’이 극명하게 교차하고 있다.경제가 고도성장세를 유지하는 데다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권을 획득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을 앞두고 있는 중국에 한푼의 돈이 아쉬워 피를 파는 매혈로 에이즈 감염환자들이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22일밤 베이징(北京)의 공런티위창(工人體育場).올림픽 개최권 획득,오는 10월 아시아·태평양 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 개최 등으로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중국의 장쩌민(江澤民) 주석은 흡족한 웃음을 띠며 “제21회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개막을 선언한다”며 자신감 넘치는 목소리로 외쳤다.장 주석의 개막사가 끝나자마자 이곳을 가득 메운 6만여명의 관중들이 일제히 폭죽을 터뜨리며 환호성을 올려 축제무드가 고조됐다. 곧바로 형형색색의 화려한 축포를 쏘아올리고 중국 고유의 민속공연,인민무장경찰의 퍼레이드가 이어지면서 축제 분위기는 절정을 향해 치달았다.중국으로서는 유니버시아드대회가 2008년 올림픽의 리허설로 상정,‘슈퍼 파워의 중국’을 대내외에 과시하는 무대가 된 셈이다.그러나 23일 궁런티위창 인근의 기자회견장.인다쿠이(殷大奎) 중국 위생부 부부장이 다소 가라앉은 목소리로 준비한 자료를 읽어내려갔다.인 부부장은 “현재 중국의 에이즈 감염자수는 60여만명”이라며 “이중 3만∼5만명은 매혈에 따른 에이즈 감염자”라고 밝혔다.그동안 에이즈 감염자들의 대부분이 마약사용자들이라고 주장해온 중국 정부가 농촌지역 주민들이한푼의 돈이 아쉬워 피를 팔다가 에이즈에 감염됐다는 것을 처음 인정했다. 중국 대륙의 중남부 허난(河南)성 상차이(上蔡)현의 경우매혈 주민 1,300여명중 43%인 550여명이 에이즈에 감염된것으로 드러났다.인근의 원러우촌과 원잉촌도 피를 판 주민들의 33%,20%가 에이즈에 감염된 것으로 밝혀졌다.특히 중국 정부가 99년 이 지역의 에이즈 집단감염 사실을 확인했으나 ‘농산물 판매에 악영향이 있다’는 등을 이유로 공표하지 않아 에이즈의 확산을 불러온 것으로 알려져 충격을주고 있다. khkim@
  • 베이징시는 지금 침안뱉기 운동중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베이징(北京)시가 오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을 성공적으로 치르기 위해 침뱉기 등의 고질적인 악습 타파에 두팔을 걷고 나섰다.올림픽 경기장 건설이나 공해문제의 해결보다 길거리 등 공공장소에서 가래침을뱉어내는 중국인들의 고질적인 습관을 고치는 것이 급선무라고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류치(劉淇) 베이징시장 등 관계자들은 22일 하계 베이징유니버시아드 개막을 앞두고 침뱉기를 비롯,욕설,새치기,밀치기,사과 안하기 및 미소 안짓기 등 중국인들의 여러가지나쁜 버릇들을 일소하기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류 시장은 “이 악습들이 중국의 정신문화의 중대한 흠을 반영하는 탓에 이를 근절함으로써 베이징의 새로운 이미지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베이징시는 침속의 박테리아를 보여주는 현미경 사진을 전시하는 등 ‘침뱉기 근절센터’ 1,000여개소를서둘러 설치하는 한편,‘침뱉기 근절노력은 국민들의 정신과 도덕적 기준을 고양시킨다’는 내용의 홍보도 펼치고 있다.중국 정부는 지난 1980년대 초에도덩샤오핑(鄧小平)의지시로 베이징 시내에만 20만명의 보건요원들을 배치,침을뱉는 사람에 대해 벌금을 부과하는 등 대대적 캠페인을 벌였다. khkim@
  • 美, 타이완해협에 핵잠함 파견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미국은 지난 달 타이완 해협에 핵잠수함 로스앤젤레스호를 보내 중국 인민해방군의 미사일 발사훈련을 감시했으며 중국도 정찰위성으로 미 함정들의 훈련을 면밀히 관찰한 것으로 알려졌다. 홍콩 일간 명보(明報)는 20일 타이완 석간 연합만보(聯合晩報)를 인용,로스앤젤레스호가 지난 달 인민해방군의 훈련지점인 타이완 인근 푸젠(福建)성 둥산다오(東山島)일대에서비밀리에 미사일 사격훈련 상황을 감시했다고 보도했다. 연합만보는 또 해군 관계자 말을 인용,핵잠수함이 필리핀싱가포르 등 동남아 국가들과의 연합훈련 후 진주만으로 귀환하기 전 타이완 주변해역을 통과했다면서 이는 인민해방군의 신형 미사일 발사실험 시기와 거의 일치한다고 보도했다. 관측통들은 또 “인민해방군이 펑후(澎湖)열도 등 타이완섬 침공을 상정,사상 최대의 훈련을 벌인 시기에 로스앤젤레스호가 타이완 해역을 통과한 것은 시기적으로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은 미국의 타이완 해역 전함 파견과 관련,언론을 통해자국의 대응력을선전하고 있다. 홍콩의 중국계 일간 문회보(文匯報)는 이날 중국이 자국 연안에서 활동중인 미국의 중형급 군함들에 대한 정보 수집 능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 장쩌민주석 새달 3∼5일 訪北

    중국의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 겸 당 총서기가 9월3∼5일 북한을 방문할 것으로 보인다고 중국 소식통들이 20일 밤 말했다. 장 주석의 조기 방북은 9월 중·하순 열릴 예정인 당 제15기 중앙위원회 6차 전체회의(15기 6중전회)와 10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정상회의 개최및 준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한 조치라고 소식통들은 말했다. 이들은 북측도 김정일(金正日) 국방위원장의 러시아 방문에 이어 장 주석의 방북을 통해 김 위원장의 위상을 국내외에과시하고,북·미,남북한 관계를 풀어나가는 수순에 들어갔다고 말했다. 베이징 김규환 특파원 khkim@
  • “한국스타 얼굴과 닮게”타이완 ‘韓流성형’ 바람

    타이완 여성들이 선망하는 미인형은 한국의 탤런트 이영애와 김희선? 한류(韓流)바람이 불고 있는 타이완의 여성들이 너도나도 한국의 TV탤런트나 영화 배우들의 얼굴과 닮게 성형수술을 해달라며 병원을 찾고 있다. 타이완의 유력지 중국시보(中國時報)는 19일 타이완 여성들의 이같은 성형붐을 소개하고,이는 현재 타이완에서 한국의TV 연속극들이 절찬리에 방영되고 있고 한국가수들이 크게인기를 끌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타이베이 시내 중심가의 국태(國泰)의원 성형외과 뤼쉬옌(呂旭彦)주임은 “타이완에는 유명 인기인들의 얼굴 모습들을본뜬 성형수술이 10여년전부터 성행했지만 한국인들의 얼굴이 이처럼 대인기를 끌기는 처음”이라면서 “김소연,이영애,김희선 등의 얼굴 모습을 가장 선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인기를 끄는 얼굴형은 홍콩의 인기 연예인 임청하(林靑霞)와 비슷한 이영애의 얼굴. 또 다른 성형외과 의사인 쑤마오런(蘇茂仁)은 “한국 인기연예인들의 얼굴은 당연히 참고가 되지만 얼굴 구조는 태어날 때부터 한계가 있다”며 타이완 여성들의 이같은 성형 바람의 허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경제 경계론 급부상

    ‘중국 경제 경계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역동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중국 경제가 2008년 올림픽 개최와 세계무역기구(WTO)가입이라는 호재에 힘입어 경제성장에 가속도를 붙여 아시아 주변국들의 경제회복을 더디게 하는 위협적인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는 게 ‘중국경제 경계론’의 요체다. ‘중국 경제 경계론’은 지난 5월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표한 ‘2001년 일본 통상백서’를 통해 처음으로 공식 제기됐다.일본은 통상백서에서 “일본이 아시아 경제를 이끌어가는 시대는 끝났다”며 “중국이 풍부하고 값싼 노동력을 무기로 섬유 등의 저가·저기술 상품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IT산업 등 첨단산업에서도 빠른 속도로 경쟁력을 갖춰가고있다”고 분석했다.통상백서는 특히 “중국의 올림픽 개최로 외자유입이 급증하고 연말 WTO에 가입함으로써 시장경제가진전되면 중국 산업경쟁력은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중국 경제 경계론’을 폈다.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도 18일 “중국 경제는 아시아 금융위기 때 위안(元)화의 평가절하를 단행치않아 아시아 경제의 버팀목 역할을 했지만,지금은 최대 경쟁자로 등장해 주변국들을 압박하고 있다”고 지적하면서 경계론을 부추겼다.중국 경제를 경계해야 할 이유로 올림픽 개최와 WTO 가입을 통한 외국인 투자 독식,사업 및 고용창출의 기회 박탈등을 꼽았다.중국은 전자·정보기술(IT)산업 등 첨단산업에서도 저임금과 기술혁신을 통해 싱가포르·홍콩·타이완·한국을 위협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투자은행인 ING베어링은 20일 중국이 WTO에 가입하면 값싼해외 수출시장을 놓고 다른 아시아 국가들과의 무역마찰이심화될 공산이 크다고 우려했다.팀 콘돈 ING베어링 수석연구원은 “중국 경제가 개방되면 경제구조의 융통성이 떨어지는 나라들이 저가의 수출시장에서 중국의 강한 도전을 받을 수 있다”며 “그중에서도 일본·타이완·말레이시아·태국 등 경제구조가 경직된 아시아 국가들이 중국과 맞부딪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올초 일본이 송이버섯 등 중국산 농산품 3개 품목에 대해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 장벽을쌓고 중국이 자동차 등 일본공산품에 특별관세를 부과,중·일 통상마찰을 빚고 있는 것을 대표적 사례로 꼽았다. 따라서 세계 각국은 중국의 WTO 가입을 앞두고 중국 제품에 대해서만 특별 세이프가드를 취할 수 있는 다국간 합의를이끌어낼 것으로 알려졌다.특별 세이프가드를 통해 WTO 가입후 중국제품의 수입급증 가능성을 사전에 쐐기를 박겠다는강력한 의지의 표현인 셈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부수고 넓히고…中 ‘바꿔’ 열풍

    베이징시가 이달초부터 좁은 도로는 넓히고 낡은 건물은부수어 새로운 현대식 건물을 짓는 도시정비 사업을 본격시행하면서 온통 거대한 공사장으로 변하고 있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개최와 세계무역기구(WTO)의 가입을 앞두고 국제적 위상이 높아진 중국이 베이징을 중심으로 도시정비 사업·국제화 등의 부문에 집중 투자함으로써 중국 대륙에 ‘바꿔’ 열풍이 세게 불고 있는 것이다. 베이징시는 오는 2008년까지 230억달러를 교통과 환경시설,주택 건설 등 도시 인프라사업에 투자하고 있어 문화시설과 휴식공간도 늘어나고 있다.3년여만에 베이징을 다시찾은 제레미 페이지(47)는 “베이징이 ‘빛의 속도’로 변모하고 있다는 말이 실감난다”고 혀를 내둘렀다. 중국 변화의 바람은 ‘도시정비’라는 하드웨어뿐 아니라‘국제화’라는 소프트웨어로 빠른 속도로 옮겨가고 있다. 중국 정부는 탁월한 국제감각을 지닌 외부 인사를 영입하고 선진국에 연수를 보내며,대학생·일반인들 사이에는 유학과 외국어붐이 일고 있다. 특히 선진금융 시스템을 도입하기 위해 지난 3월 홍콩 증권감독위원회 부주석이던 스메이룬(史美倫·여)을 중국 증권감독위원회 부주석으로 영입한데 이어,장기적으로 1만명의 금융인들을 미국에 파견,선진금융기법을 익히도록 할계획이다. 정부 부문에 못지 않게 대학생들 사이에는 유학열기가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다.중국 중앙 및 지방정부는 15일 5만여명의 지원자중 국비 유학생 4,900여명을 선발했다.중국최고의 명문대학인 베이징대와 칭화(淸華)대학의 경우 올해 졸업생 가운데 30% 정도가 유학을 떠났다.7월초 베이징대 국제관계학과를 졸업한 장메이(張美·22)는 “취직을했으나 장래를 생각해 좀더 공부를 하고 싶어 일본 유학을준비중”이라고 말한다. 일반인들의 외국어 학습붐도 거세게 일고 있다.영어전문학원인 쑤저우(蘇州)국제외국어학원의 경우 지난해는 수강생이 2,700여명이었으나 올해에는 67.5%가 늘어난 4,000명을 넘어섰다.베이징시 당국이 베이징 올림픽을 성공적으로치르기 위해 정기적으로 영어시험을 보기로 결정한 때문에공무원들과 택시 운전사들 사이에는 영어학습 열기가 높다. 택시기사인 리바오환(李寶桓·35)는 “하루에 4∼5시간 이상 영어회화 테이프를 듣지만 실력이 늘지 않아 고민”이라고 털어놓는다. 변화의 바람은 일상생활 속으로 파고들고 있다.중국 경제의 고도성장으로 휴대폰·컴퓨터 등 각종 ‘생활필수품’의 보급률이 폭발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정보산업부에 따르면 7월말 현재 중국의 휴대폰 보유자는 1억2,060만명을 기록,미국(1억2,010만명)을 제치고 세계 1위로도약했다.1990년 1만8,000명에 불과하던 휴대폰 보유자 수가 11년만에 1만배 가까이 늘어난 셈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美 항모 남중국해 훈련 돌입

    미국 제7함대 소속 칼 빈슨호와 콘스텔레이션호 등 항모2척이 중국 인민해방군이 대규모 군사훈련중인 둥산다오(東山島) 인근 남중국해에서 훈련에 돌입,이들 둘러싼 긴장이 고조되고 있다. 홍콩 일간 명보(明報)와 차이나 데일리 등 중국 언론들은19일 미태평양사령부의 항모 파견 목적이 ‘대대적인 무력시위’에 있다고 논평했다. 이에 맞서 중국은 미군의 대잠수함 정찰기인 P-3C의 홍콩 착륙을 ‘관련 요인’들을 고려,불허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이날 보도했다.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관련 요인들이무엇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중국은 현재 병력과 전투기,군함,미사일 등을 동원해 지난 12일부터 둥산다오 근처에서 군사훈련을 실시 중이며지난 12일 시작된 이 훈련은 다음 주까지 계속될 예정이다. 미 7함대사령부는 “무력시위를 위해 (항모를) 파견한 게아니며 인민해방군의 훈련 시기를 택해 타이완 지지 의사를 보이기 위한 것도 아니다”고 설명했다.7함대 대변인은두 항공모함이 이 해역을 우연히 지나갔을 뿐이라고 해명했다.콘스텔레이션호는 샌디에이고를 출발해 걸프 해역으로 향하던 중이었으며 칼 빈슨호도 중동지역으로 향하고있었다고 7함대측은 주장했다. 반면 영국의 한 군사 평론가는 홍콩 영자지 사우스 차이나 모닝 포스트 회견에서 “미국이 인민해방군 훈련중 항모를 파견한 것은 우연으로 볼 수 없다”고 단정한 뒤 “미국은 타이완의 장래가 자국의 이해에 부합된다는 점을보여주기 위해 항모를 남중국해에 파견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칼 빈슨호와 콘스텔레이션호 훈련에는 구축함 3척,순양함2척, 프리깃함 2척, 잠수함 3정 등 13척의 군함과 F/A 18전투기 등 항공기 150대, 승무원 1만 5,000여명등 대규모장비와 병력이 참가했다. 미국은 지난 96년 3월에도 타이완 총통선거를 앞두고 중국이 미사일 발사 훈련을 감행,타이완 해협에 전쟁 위기가고조되자 양대 항모를 급파,무력 시위를 벌였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클린 사이버 2001] (19)각국 인터넷문화와 법적규제

    인터넷 인구의 폭발적인 증가와 함께 개인정보 유출,음란사이트 난무,불법복제,자살 사이트 등 각종 부작용 또한 걷잡을 수 없이 생겨나고 있다.하지만 미국등 선진국은 선진국대로 표현의 자유를 존중한다는 명분으로,그리고 후발국들은 후발국대로 부작용에 대비할 법적,제도적 장치가 제대로 마련돼 있지 않은 실정이다.미국,유럽,일본,중국의 사이버 문화 실상을 소개한다. ◆미국. [워싱턴 백문일특파원] ‘표현의 자유’를 보장한 미국의사이버 환경은 한마디로 ‘천국’이다.‘닷컴 문화’의 본고장답게 온라인 공간에 대한 연방 차원의 법적 규제는 전혀 없다.인터넷 이용자의 사생활 보호를 위해 1999년 3개의 법안이 미 의회에 상정됐으나 통과되지는 못했다. 인터넷 사용은 폭발적으로 느는데 법적 보호장치가 미비하다보니 각종 폐해가 드러나고 있다.가장 대표적인 것은 개인정보의 유출과 음란물(포르노) 사이트다.언어폭력이나 유언비어 유포 등은 상대적으로 적다.특히 인터넷 소프트웨어는 일반 상점에서 무료로 구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에미치는 영향은 심각하다.아메리카 온라인(AOL)의 경우 28달러만 내면 인터넷,채팅,e메일 등 각종 서비스가 가능하다. 미국에서 물건을 살 때 전화번호나 우리나라의 주민등록번호같은 ‘사회안전(social security)번호’를 요구받는 경우가 있다.문제는 ‘오프라인’에서만 머물던 이같은 개인정보가 전산망을 타고 본인도 모르게 다른 인터넷 망에 올라간다는 것이다.온라인 거래를 위해 일단 개인정보를 등록하면 다음부터는 출처불명의 숱한 e메일이 쏟아진다. 비아그라를 능가하는 신약이 나왔다든지,성적기능 향상을위한 수술을 권유하는 의약광고는 하루에 3∼4개씩 메일로보내진다.관광상품이나 새 컴퓨터 프로그램 안내메일은 이따금 생활에 보탬이 된다.항공료 및 호텔 예약은 인터넷요금이 10∼30%정도 싸다. 그러나 미성년자가 봐서는 안될 음란물 광고나 불특정 다수인을 상대로 한 컴퓨터 바이러스의 공격은 피해가 크다.5∼10달러만 내면 매일 포르노 사진을 보내주겠다는 광고는청소년들을 현혹시키는 사회문제로 떠올랐다. 최근 백악관과 미 국방부 등전 세계 컴퓨터망은 웜 바이러스 ‘레드코드’의 공격 표적이 됐다.미연방수사국(FBI)산하 국가인프라보호센터(NIPC)가 바이러스 피해를 예방하고 있지만 사후 관리에 불과하다.그러나 연방정부도 지난해 국세청을 해킹,세금 탈루자의 개인정보를 확보하는 등 사이버 환경에 대한 법적 체제는 전반적으로 미흡한 수준이다. 피해자가 신고하지 않는 한 음란물 사이트에 대한 당국의단속은 거의 불가능하다. 부시 행정부가 음란물 사이트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려는 법안을 모색중이지만 의회와 민간단체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다. 이들은 ‘표현의 자유’를 내세운다.유해 사이트나 정보유출로 인한 사생활 보호는 법으로 통제할 것이 아니라 소프트웨어 개발 등 기술적 방법으로 해결해야 한다는 주장이다.법적 통제는 헌법에 보장된 개인의 권리를 침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mip@. ◆유럽. ‘보다 안전한 인터넷 환경을 위한 행동계획’(Safer Internet Action Plan·SIAP). 유럽연합(EU)집행위 내 기업 및 정보화 사회 추진위원회가 시행하고 있는 건전사이버 문화 권장 및 규제를 위한 프로젝트 명칭이다. 99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오는 2002년까지 잡힌 예산만 2,500만유로(약 2,300만달러).정치·경제 뿐 아니라 사회·문화분야에서 하나의 통합체를 지향하고 있는 유럽답게 집행위 차원에서 공동 규제안을 제정, 각 회원국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등급제 실무는 정보통신 관련 대기업 연합체인 ICRA(Internet Content Rating Association)가 맡고 있다.현재 약 14만개 사이트에 등급이 부여돼 있다.월 평균 4,000여개 사이트에 추가로 등급이 부여된다. 유럽 인터넷 인구는 1억1,300만명.전 세계 인터넷 인구의27.8%를 차지한다. 유럽의 사이버 사회도 무차별 배달되는 각종 광고성 정보,음란 사이트,인종차별 조장 사이트 등으로 혼탁하다.유럽은 개인정보 유출 등 인터넷 규제 강도가 미국보다 강한 편이다.최근엔 개인정보 보호지침을 따르지 않는 업체들은 아예 서비스를 못하게 차단하는 법률을 제정했다. SIAP의 주요 활동은 유해 인터넷 사이트 신고를 위한 핫라인 설치와 사이트의 등급제 및 여과 시스템 개발.부모·교사에게 인터넷의 잠재력과 함께 해악을 주지시키는 일도 한다. 시민단체의 인터넷 감시활동도 활발하다.인터넷 해악에 노출된 이들을 위한 민간 치료센터도 운영되고 있다. 지난 93년 덴마크의 코펜하겐에 세워진 ‘루도마니’는 최초의 인터넷 중독치료센터로 유명하다. 김수정기자 crystal@. ◆중국.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대학가 1번지인 베이징시 서쪽 하이뎬(海淀)구의 베이싼환루(北三還路)일대는 인터넷문화가 급속히 확산되면서 사이버대학가로 탈바꿈했다. 베이징대 인근의 인터넷바인 ‘페이위(飛宇)인터넷 1번가’는 700명을 수용할 수 있는데도 하루종일 빈자리가 없을정도로 대학생들로 붐빈다. 대학 1∼2학년들은 채팅이나 e메일을 주고 받기에 여념이없고,3∼4학년들은 ‘263자오위(敎育)’나 ‘중화런차이’등 유학·취직사이트에서 눈을 떼지 않고 있다.바의 책임자인 류첸(劉乾) 주임은 “인터넷바의 인기는 대학가만의 독특한 현상이 아니다”라며 “중국 전역에 6만여개의 인터넷바가 운영되고 있다”고 밝혔다. 인터넷학교도 등장했다.칭화(淸華)대 등 인터넷대학 37개가 이미 설립됐다.중국 정부는 2005년까지 전국 모든 대학을 연결하는 사이버교육망의 구축을 확정했다.사이버 교육망이 완성되면 500만명의 대학생들이 혜택을 볼 수 있다.중국의 네티즌은 5월말 현재 13억인구의 2%를 조금 넘는 3,000여만명.네티즌수로는 아직 걸음마 단계이지만,폭발적인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중국 신식(정보)산업부는 지난해말 2001년의 인터넷인구를 2,700만명으로 예상했다가 6개월도안돼 수치를 수정 발표한 것도 이 때문이다. 사이버문화가 대륙을 휩쓸면서 사회적 부작용도 심각하다. 심각한 문제중 하나는 사이버 연애 중독으로 인한 부작용. 지난 4월 장시(江西)성 난창(南昌)시에서는 한 여학생이 사귀던 사이버 애인과 결별한 뒤 음독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파문을 일으켰다.채팅 등에서 쓰이는 사이버언어와 불특정다수에 대한 비난·욕설 난무도 심각한 부작용이다.하지만현재 이러한 부작용을 막을 대책은 전무하다. khkim@. ◆일본. [도쿄 황성기특파원]일본의 인터넷 인구는 등록자 숫자로 볼 때 2,200만명 안팎이다.여기에 휴대전화를 통한 인터넷 이용자를 더하면 4,700만명에 이른다는 게 일본 총무성 추산.전 인구의 3분의 1 정도가 인터넷을 이용하는 셈이다. 인터넷 망의 본격적인 보급이 이뤄진 것은 99년부터.이제겨우 초고속 통신망인 ADSL의 보급이 시작돼 지난 6월말 현재 신청건수는 2만9,000건에 불과하다.인프라 만으로 따지면 일본은 한국에 크게 뒤져 있다.저팬 야후를 경영하는 재일 동포 실업가 손정의(孫正義)씨는 얼마 전 집권 자민당의 IT회의에 참석,“지나친 행정규제로 광 파이버를 일본 전역에 까는 데 3만년이 걸릴 것”이라고 일침을 놓기도 했다. 인터넷 보급이 늦은 만큼 사이버 상에서의 범죄와 악질적행위도 최근 부각되기 시작했다. 소프트웨어의 불법 복제는 한국 만큼 횡행하지는 않지만은밀히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보급된 인터넷 망의 주류가 통합서비스 디지털통신망(ISDN)이어서 개인이 인터넷 상에서 소프트웨어를 복사하려면 엄청난 시간이 든다.만일 ‘백지영 비디오’가 떠돌아 다닌다 해도 그것을복제하기란 상당한 인내를 필요로 한다. 이런 복제 행위보다는 기업이나 대학,연구기관의 컴퓨터망에 침입해 혼란을 일으키는 해킹이 크게 늘고있다. 일본 경찰청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해킹 건수는 지난 한해의 9배에 달하는 959건이었다.그래서 일본 정부는 ‘부정접근 금지법’을 제정해 단속하 있지만 컴퓨터 범죄가 끊이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인터넷 상에서 몇년간 큰 사회문제가 됐던 것은 자살과 만남 사이트.일본에서는 3년전 자살 사이트를 통해 몇 건의자살 사건이 일어나 사회문제가 되자 지금은 거의 자취를감췄다. 최근 대유행인 만남 사이트는 주로 휴대전화의 인터넷을통해 이뤄진다.지난 5월 20대 남자가 이 사이트를 통해 알게 된 여성 2명을 살해하는 끔찍한 사건이 일어났다.인터넷을 통한 원조교제도 지난해보다 46배나 늘어나는 등 인터넷보급에 따른 폐해가 급증하고 있다. marry01@
  • 中 보수파잡지 잇단 정간

    중국 공산당내 보수파 목소리를 대변하는 잡지들이 잇따라정간당하는 수난을 겪고 있다. 중국 당국은 좌파 이론지인‘진리의 추구(眞理的 追求)’에 이어 ‘중류(中流)’에 대해서도 발간정지 처분을 내렸다고 홍콩의 명보(明報)가 16일 보도했다.딩관건(丁關根) 공산당 중앙선전부장이 베이다이허(北戴河)회의 개회직전 심사를 통해 ‘진리의 추구’와‘중류’의 발행중단 결정을 내렸으며, 이들 잡지는 8월호이후 발간이 정지돼 사실상 무기 휴간에 들어갔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이들 잡지의 잇따른 정간은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의 ‘삼개대표(三個代表) 이론’과 장 주석의 공산당 창당 80주년 기념식에서 행한 연설 ‘7·1강화(講話)’중 사영 기업인들의 입당방침에 대해 강력히 반대의견을 개진한 것이 그이유인 것으로 알려졌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장쩌민·푸틴 전화회담…中·러 협력방안 논의

    장쩌민(江澤民)중국 국가주석은 1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갖고 우호협력 증진방안을 논의했다고 관영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오는 10월 상하이에서 열리는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담에서 다시 만나게 될 두 지도자는 이날 양국간 우호협력 증진방안과 함께 국제적인 공동 관심사도 논의했다고신화통신은 전했다. 통신은 그러나 두 정상간 구체적인 대화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