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규환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79
  • 中 “내수 확대·개방 가속”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는 국채발행을 통한 적극적인 내수확대 정책 실시로 올해도 지난해와 같은 7%대의 고도 경제성장을 지속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주 총리는 5일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 등 당·정·군주요 간부들과 2900여명의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개막된 제9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5차회의 ‘정부공작(사업)보고’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이를 위해 ▲1500억위안의 국채를 발행,적극적인 내수확대 정책을 실시하고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이후의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며 ▲경제구조조정과 경제체제개혁을 적극 추진하는 등 8대 업무를 중점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주 총리는 “중국이 WTO에 가입함에 따라 일부 산업과 기업들이 단기간 내에 심각한 도전과 비교적 큰 충격을 받을 것”이라며 경제와 정부의 비효율과 부패 제거 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타이완 문제에 대해 주 총리는 “타이완독립을 반대한다.”고 밝혔으나 무력이나 군사적인 위협은 가하지 않았다. 주 총리는 “중국과 남북한 관계는 안정적으로 발전하고있다.”며 “중국,미국,러시아,유럽연합,일본과의 관계는발전과 개선을 이뤘다.”고 말했다.그는 또 파룬궁(法輪功)과 극단적인 종교세력,민족분열세력,테러세력을 단호하게 척결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hkim@
  • 中 국방비 17.6% 증액

    중국의 제9기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국회) 제5차 회의가 5일 개막된다.11일간의 일정으로 열리는 이번 대회는 올 가을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의 제3세대 지도부에서 제4세대 지도부로 세대교체가 예상되는 제16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를 앞둔 민감한 시기에 열려 주목을 끌고 있다. 특히 전인대에 참석할 대표들은 3일 중국이 무기 현대화에보조를 맞추기 위해 올해 국방비를 지난해보다 17.6%나 증액한 1660억위안(약 200억달러)으로 결정할 것이라고 말해 주목된다. 이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약 1.6%에 해당하는 규모다.중국의 지난해 국방예산은 1041억위안으로 GDP 대비 1.37%였다. 이들은 “군의 방위 및 전투력을 향상하고 현대기술의 변화에 따른 세계적 상황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적절히 비용을늘리고 있다.”며 “샹화이청(項懷誠) 재정부장이 6일 올해예산 초안 및 지난해 예산 집행 상황을 보고하는 자리에서올해 국방비의 252억위안(약 30억달러) 증액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주룽지(朱鎔基) 총리는 개막 첫날인 5일 정부 공작보고를통해 ‘7%의 경제성장 지속’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국채 발행 등 적극적인 재정정책을 실시함으로써 내수를진작하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할 계획이다. 중국은 지난해 당초 목표(7%)를 웃도는 7.3%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나,9·11 미국 테러사건 이후인 4·4분기에는 6.6%로성장률이 크게 떨어졌다. 장쩌민 주석의 ‘삼개대표’(三個代表·공산당이 선진적인생산력과 문화,인민의 이익을 대표한다)론을 공산당 규약에포함시키기 위한 사전정지 작업도 활발히 이뤄질 전망이다. 장 주석은 사영기업인의 공산당 가입의 근거가 되는 ‘삼개대표’론을 당대회를 통해 당규약에 포함시킴으로써,일선에서 물러나더라도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복안인 것으로 전해졌다.따라서 전인대가 삼개대표론을 ‘인민의 의사’라고 추인하는 기회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셈이다. 이와 함께 사유재산보호 개헌 추진 작업도 이번 전인대에서 논의될 게 확실하다.중국 관영 영자지 차이나데일리는 2일중국 기업가들을 대표하는 경제단체 중화전국공상업연합회(中華全國工商業聯合會)가 헌법상의 사유재산 보호 명문화를추진 중이라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중화전국공상업연합회가 사유재산 보호 명문화를 위한 헌법 개정을 제안했으며,3일 개막되는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政協)에서 사유재산 보호 문제를 발의할 것”이라고 전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후진타오, 장쩌민 제쳤다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부주석의 ‘차기 지도자 굳히기’가 본격화됐다. 중국 국영 CCTV(中央電視臺)는 27일 밤 7시(한국시간 8시)프라임타임 뉴스에서 고위관리들의 동정을 서열 순으로 보도하는 관례를 깨고 후 부주석의 연설을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의 동정에 앞서 톱뉴스로 보도했다. 이날 보도는 특히 후 부주석의 연설이 지난 26일 중국 명절인 원소절(元宵節·정월 대보름)을 맞아 행한 평이한 내용인데도 27일 베트남을 공식 방문한 장 주석의 동정을 제쳤다는 점에서 후 부주석을 부각시키려는 중국 공산당의 노력이 가열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후 부주석은 연설에서 자신이 후계자로 선출될 것으로 보이는 “오는 가을 당 제16차 전국대표대회를 몸과 마음을 합쳐 열심히 일하며 맞이하자.”고 관리들에게 촉구했으며 장쩌민은 옆에서 아주 만족스러운 미소로 후진타오의 연설을 지켜보고 있어 의미심장함을 더했다. CCTV의 이같은 조치는 후를 후계자로 굳히기 위해 치밀하게 계획된 보도이자 화면 조작으로 관측되고 있다.이뉴스는특히 장쩌민 부재시 후가 국내 정치를 장악할 수 있다는 메시지를 전달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CCTV의 밤 7시 뉴스는 중국 전역에 동시에 보도되는 저녁뉴스의 꽃으로 국내외 중국 전문가들과 정보기관이 집중적으로 모니터하는 주요 프로그램이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韓人대상범죄 기승/ 구멍뚫린 在外국민 ‘안전’

    중국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살인·강도 등 강력범죄가 잇따라 발생,충격을 주고 있다.특히 올들어 2월말까지 3명이나 피살당하는등 살인사건 희생자가 1999년 7명,2000년 3명,2001년 5명보다 급증 추세여서 관계당국의 안전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실태와 원인. 지난 한해동안 베이징(北京) 주재 한국대사관 영사부에 접수된 한국인 범죄 피해자는 모두 339명. 이들중 살인·강도·납치·감금 등 강력범죄 피해자들의 대부분은 돈과 얽혀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5일 새벽 중국 허난(河南성) 난양(南陽)시 전핑(鎭平)현.사무실 2층에서 잠을 자던 김모(58)씨는 갑자기 들이닥친 중국인 청년 괴한 3명에 의해 칼에 찔러 현장에서 숨졌다.김씨가 피살당한 것은 사건 전날 현지 은행에서 런민비(人民幣) 35만위안(약 6000만원)을 인출한 것이 외부에 알려져 변을 당한 것으로 중국 공안(경찰)당국은 추정했다. 2월 16일 톈진(天津)에서 피살당한 방직기계공장 운영업자이모(62)씨의 경우는 숙소에 둔 금고가 파손된 점으로 미뤄금품을 노린 강도살인 사건으로 추정되며,26일 새벽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살해된 김모(44)씨도 중국인 접대부와 접대비 문제를 둘러싸고 다툼을 벌이다가 변을 당했다고공안당국이 말했다. 앞서 1월30일에는 관광객 이모(50)씨 등 2명이 매춘여성 2명에게 유인된 뒤 공안을 사칭한 불량배들에게 금품을 털렸다. 한국인 개인사업가들의 중국내 투자가 늘어나면서 채권·채무를 둘러싼 납치·감금 등 강력범죄 피해도 잦아지고 있다. 주중 대사관의 한 관계자는 “중국에는 채권을 돌려받기 위한 납치·감금 행위를 정당한 자구행위로 보는 경향이 있어납치사건이 많다는 점에 주의를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여권을 노린 강력범죄도 크게 늘어나고 있다.한국 여권은 암시장에서 점조직을 통해 밀매되는데,미국비자가 있으면 8만위안(1280만원),일본비자는 6만위안(960만원),보통여권은 4만위안(640만원)을 호가한다는 소문이다. 공안당국은 분실된 여권의 70% 가까이가 여권밀매조직으로넘어가 해외 불법체류를 위해 사용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지난 1월24일 관광객 김모씨등 8명은 여권밀매 조직의 ‘공짜 중국 관광’이라는 유혹에 속아 베이징에 온 뒤 여권을빼앗기자 공안당국에 신고했다가 오히려 여권밀매조직을 방조했다는 혐의로 구류당해 있다.지난해 8월 김모씨 등 32명은 “200만원씩 월급을 주겠다.”는 유혹에 넘어가 중국에입국한 뒤 여권을 빼앗겼다. 이처럼 한국인 상대의 강력범죄가 늘어나고 있는 것은 지난해 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치·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을 통해 한국내 중국붐이 일면서 중국에 체류하는 한국인수가 급증하고 있는 탓이다. 한국인의 중국 관광객은 해마다 20% 이상 급증하고 있으며지난해의 경우 160만명을 넘어섰다.여기에다 1만 6000명의유학생과 상사 주재원,자영업자 등 10여만명이 중국 대륙에퍼져 있다.따라서 관광객 등 유동인구를 포함하면 평균 20만명이 중국인들과 호흡을 하고 있는 셈이다. 중국이 인종·문화적인 측면에서 한국과 이질감이 적어 조심하지 않는 것도 강력범죄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외모가 비슷해 외국인이라는 느낌이 들지 않는데다,중국어를몰라도 어렵지 않게 중국 동포(조선족)의 도움을 받아 의사소통이 가능하기 때문이다.겉모습에 별로 신경을 쓰지 않는중국인들의 행색과 한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싼 물가가 중국을 얕잡아보게 만들어 ‘긴장감’을 느슨하게 한다. 이준규(李俊揆) 주중 대사관 총영사는 “현금을 많이 갖고다니면 범행의 표적이 되므로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며 “관광객·출장자 등 단기 체류자는 주중 대사관의 전화번호를 꼭 소지하고 다니는 게 바람직하며,외진 곳이나 대도시의후미진 지역을 혼자 관광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안전수칙. 베이징(北京)주재 한국 대사관은 지난달 20일 강력 범죄의한국인 피해자가 늘어남에 따라 범죄의 사전 예방을 위해 ‘중국 체류시 안전수칙’을 대사관 홈페이지(www.koreaemb.org.cn)에 올렸다.안전수칙의 주요 내용을 소개한다. ◆장기 체류자의 안전수칙. ●돈이 많다는 사실을 주위 사람들이 눈치채지 못하게 할 것. ●가까운 사람들에게 행방을 알리고 비상연락망을 갖춰라. ●범죄발생 우려가 있는 가라오케·사우나의 출입을 될 수있는 대로 삼간다.특히 현지인과 술을 마신 뒤 다른 장소에동행하지 말 것. ●이유없는 호의나 접근을 경계하고 낯선 사람과 동석할 때는 다른 사람과 함께 할 것. ◆관광객의 안전수칙. ●호텔 객실문은 반드시 잠그고 귀중품은 금고 등에 보관하라. ●희귀물품이나 보약을 사라며 접근하는 사람을 조심할 것. ●술을 마신 뒤 떠들거나 현지인들과 다투지 말라. ●비싼 옷·장신구,또는 큰돈을 몸에 지니고 외출하지 말 것. ●약속하지 않은 사람이 공항에 영접나온 경우 일단 경계하고 환전 때에는 은행이나 호텔을 이용할 것. ●여권은 반드시 몸에 지니고 절대로 남에게 빌려주지 말 것.
  • 中 한인상대 범죄 주의보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에서 한국인을 상대로 한 강력범죄가 잇따라 발생함에 따라 현지 체류자나 관광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26일 산둥(山東)성 칭다오(靑島)에서 김모(43)씨가 괴한들에게 집단 구타당해 뇌출혈로 숨지는 등 3명이 피살되고,3건의 강·절도사건이 발생하는 등 올들어 한국인 상대 강력범죄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27일 베이징(北京) 주재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김씨 사건외에도 1월5일 허난(河南)성 난양(南陽)시에서 옥기(玉器)가공 무역업자인 김모(57)씨가 강도들에게 피살당한데 이어,2월16일 톈진(天津)에서 방직기계공장을 운영하던 이모(62)씨가 숙소에서 살해당하는 등 올들어 3건의 한국인 피살사건이 발생했다. 이에 앞서 1월30일 중국에 관광온 이모(50)씨가 공안(경찰)을 사칭한 불량배들에게 강도를 당했고,2월16일에는 유학생 이모씨 등 2명이 달러를 인민폐로 바꾸려다 길거리환전상에게 네다바이 절도를 당했다.특히 관광객 김모씨등 8명은 여권 밀매조직이 ‘공짜로 중국 관광을 시켜준다.’는 허황된 유혹에속아 베이징에 온 뒤,이들에게 여권을 빼앗기자 공안당국에 신고했다가 오히려 여권밀매조직을 방조했다는 혐의로 구류를 살고 있다. 중국에서 한국인 상대의 범죄가 잇따르고 있는 것은 지난해 올림픽 유치·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을 통해 한국내 중국붐이 일면서 중국을 방문하는 한국인 수가 크게 늘어난 데다,중국에서는 인종·문화적인 측면에서 이질감이적어 주의를 소홀히 하는 경우가 많은 탓이다.이에 따라주중 한국대사관은 20일 한국인들의 사건사고를 줄이기 위해 대사관 홈페이지(www.koreaemb.org.cn)에 ‘중국 체류시 유의사항’을 올려 주지시키고 있다. khkim@
  • 타이완 집권 민진당 ‘작은 정부’ 추진

    타이완(臺灣)은 보다 효율적인 정부를 구현하기 위해 입법원(국회)의 의석수와 정부 조직을 대폭 축소할 방침이다. 타이완(臺灣) 집권 민진당과 야당인 타이완단결연맹(台聯黨)은 입법원 의석수를 현행 225석에서 절반 규모인 113석으로 줄이고,36개의 부처와 위원회로 구성된 정부 조직을25개로 대폭 줄이는 방안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했다고 타이완의 연합보(聯合報)가 25일 보도했다.민진당의 이같은 조치는 작은 정부의 실현을 통해 효율성을 극대화하기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민진당과 대련당은 개원한 입법원 회의부터 법안 지지세력을 규합해 나갈 계획이다.대련당의 한 관계자는 이 조치가 여러 세력들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는 데다,거대 야당인 국민당도 이 법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어입안을 낙관한다고 밝혔다.국민당은 그러나 법안의 구체적 내용이 공개되기 전까지는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이와 관련,타이완 전문가들은 지난해 12월1일 총선에서 87석을 확보하며 다수당이 된 민진당은 최근 대련당과 일부 무소속의 지지를 모아 예산수정안을 뒤집는 승리를 이끌어낸 적이 있어 이번 의원수 감축안과 정부조직 개편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전인대·정협 특권화 비난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언론들이 전국인민대표대회(全人大·국회) 대표와 정치협상회의 위원들이 ‘특권’을 누리고 있다고 맹렬히 비판하고 나섰다. 오는 3월3일부터 열리는 전국 전인대와 정협의 ‘량후이(兩會)’를 앞두고 지방 ‘량후이’를 진행하는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들이 그들에게 부여된 권리를 지나치게 남용해 차량을 통제하고 최고급 음식으로 포식하는 등 특권층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청년보(中國靑年報)는 23일 각 지방의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들이 ‘량후이’기간 동안 회의 진행을 원활하게 한다는 명목으로 교통통제를 받아 회의에 참석하고, 호화판 연회를 갖는 등 이들이 소수 특권계급화돼 가고 있다고 강력히 비난했다. 물론 ‘량후이’가 국가대사인 만큼 원활하게 진행돼야 하더라도,회의시간을 맞추기 위해 일반 국민들의 교통을 통제하는 등의 특권을 누리는 것은 권력을 남용한 행위라고 지적했다. 이에 앞서 인민일보(人民日報)의 자매지인 경화시보(京華時報)도 베이징(北京)시의 ‘량후이’기간 동안 베이징시 전인대 대표들의 ‘특권화된 생활’을 고발했다. 전인대 대표는 아침 출근시간의 러시아워임에도 교통경찰들의 도움을 받아 베이징 중심대로인 창안(長安)거리를 한번도 막히지 않은 채 통과해 ‘유유히’ 회의장으로 들어가는 것은 물론 점심 때에는 최고급 음식을 ‘상다리가 부러지도록’ 차려 먹고 있는데, 이는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이 제창한 ‘공산당이 대표가 중국 인민들의 근본이익을 대표한다’는 등의 삼개대표(三個代表)론에도 크게 어긋난다고 강조했다. 전인대 대표와 정협 위원들이 '특권'을 누릴 수 있는 것은 무엇보다 이들이 사실상 중앙 및 지방 당정의 고급간부직을 겸임하고 있는 등 실권을 장악하고 있기 때문이다. khkim@
  • 타이완 국방부장 새달 방미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탕야오밍(湯曜明) 타이완 국방부장이 오는 3월 민간 차원의 ‘미국과 타이완 방위’ 세미나에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타이완의 연합보(聯合報)가 23일 보도했다. 신문은 탕 부장이 이 세미나에서 기조 연설을 하게 되는 폴 월포위츠 미 국방차관을 만날 것이라고 밝혔다.탕 부장도민간기구인 미·타이완위원회로부터 초청장을 받았다고 국방부 관계자들이 확인했다.탕 부장의 방문이 실현되면 지난 1979년 미·타이완 단교 이래 처음있는 타이완 국방부장의 정식 방미로,중국의 강력한 반발이 예상된다. 오는 3월10일부터 12일까지 플로리다주 마이애미에서 열리는 ‘미·타이완 방위’ 세미나는 9개 주요 국방·항공그룹이 후원하며,탕 부장은 타이완의 무기수요 등의 문제를 집중 거론할 예정이다.
  • 中정치 ‘칭화대 인맥’ 뜬다

    중국 정치에 ‘칭화방(淸華幇)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계기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의 후계자 지위가 기정사실화됨에 따라 그동안 중국 정치에서 ‘상하이방(幇)’세력이 위축되는 대신 칭화대의 인맥으로 구성된 ‘칭화방의 시대’가 도래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홍콩 경제일보는 23일 후 부주석이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으로부터 미국 방문 ‘허락’을 얻은 것은 차기 국가주석자리를 사실상 확보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후 부주석이 부시 대통령의 칭화대 연설장에 동행,‘10분 연설’로 대내외에 깊은 인상을 남김에 따라 ‘후진타오시대’를 눈 앞에 뒀다고 23일 논평했다. 경제일보는 특히 ‘칭화방의 칼끝이 상하이방을 위협한다’는 제목의 분석기사를 통해 주룽지(朱鎔基) 총리가 90년대중반 총리로 임명되면서 일어나기 시작한 ‘칭화대 신드롬’이 후 부주석의 지위 공고화로 본격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계내 칭화대 출신 대표주자들인 주 총리와 후 부주석은 각각 1947년과 1959년 대학에 입학했으며,92년에 열린제14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는 7인의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나란히 승진해 칭화대 위력을 과시했다. 지난해 4월29일 개교 90주년을 맞이한 칭화대는 지난 1949년 중국 공산정권 수립 이후 부부장(차관급) 이상의 고위 관리를 300명 이상 배출했다. 지금까지 정치국 상무위원 4명,정치국 위원이나 후보위원 11명,중앙위원 및 후보위원 53명,국무원 총리 1명,부총리 6명이 배출됐다. 대표적인 칭화대 인맥으로는 우방궈(吳邦國) 부총리,쩡페이옌(曾培炎) 국가계획발전위원회 주임,저우샤오촨(周小川) 증권감독위원회 주석,톈청핑(田成平) 산시(山西)성 당서기,예쉬안핑(葉選平) 정협(政協) 부주석,자춘왕(賈春王) 공안부장,쉬룽카이(徐榮凱) 윈난(雲南)성장,우관정(吳官正) 산둥(山東)성 당서기,시진핑(習近平) 푸젠(福建)성장,쑹바오루이(宋寶瑞) 경제체제개혁 판공실 부주임,장푸선(張福森) 인사부장,천위안(陳元) 국가개발은행장 등.과거의 인물로는 정치국상무위원 출신의 야오이린(姚依林)과 쑹핑(宋平),정치국원을 지낸 후차오무(胡喬木)·리시밍(李錫銘) 등이 있다. 반면 장 주석 등 상하이를 정치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 정치세력인 ‘상하이방’에는 리란칭(李嵐淸) 부총리,황쥐 서기,쩡칭훙(曾慶紅) 당 조직부장,원자바오(溫家寶) 부총리,천즈리(陳至立) 전 교육부장 등이 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베일벗은 中 차세대 지도자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22일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의 가장 유력한 후계자로 꼽히는후진타오(胡錦濤·59) 국가부주석과 처음 공식적으로 대면했다.부시 대통령은 이날 오전 열린 칭화(淸華)대 연설에칭화대 출신인 후 부주석의 직접 영접을 받으며 많은 얘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후 부주석은 또한 이날 세계 TV시청자들을 상대로 사상 첫 공개 연설을 해 주목을 끌었다. 올 가을 장 국가주석으로부터 당중앙 총서기직을 물려받을 것으로 확실시 되는 후 부주석은 이날 오전 부시 미대통령을 안내해 본관 앞 건물에 마련된 연설장에 함께 입장,약 10분간 중·미관계 전반에 대해 연설했다. 후 부주석은 지난 80년대 초반 공산주의청년단(共靑團)중앙서기처 서기 시절 미국을 방문한 이후 미국 지도자들과 공식적으로 만날 기회가 없어 미국측은 그에 대한 인적 정보를 얻고 싶어하고 있다.딕 체니 미 부통령의 명의로오는 4∼5월쯤 워싱턴을 방문해 줄 것을 요청,승낙을 얻어낸 것도 이 때문이다. 후 부주석은 연설에서 21일 개최된“정상회담의 성공적인 개최는 양국간 정치 경제 등 제반 분야 발전을 예고하는 것”이라고 강조하고 “양국 인민 상호간 대등한 관계에서 서로 존중하며 공통의 이익을 위해 우호협력을 견지해 나가자.”고 제의했다. 1965년 칭화대 수리공정과를 졸업한 그는 공청단 중앙서기처 서기,구이저우(貴州)성과 시창(西藏) 티베트 자치구당서기 등을 거치며 순탄한 길을 걸어왔다.1992년 최연소최고 지도부인 정치국 상무위원에 오르며 차세대 후계자로 떠올라 서방을 놀라게 했다. khkim@
  • 부시, 中에 종교자유 촉구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22일미국은 “희망과 기회의 등대”라고 말하고,중국이 두려움을 갖지 말고 자유와 민주와 종교자유를 수용하라고 촉구했다. 부시 대통령은 아시아 순방 마지막 날인 이날 베이징의칭화대(淸華大)에서 약 400명의 학생들과 교수들에게 행한 연설에서 “다양성은 혼란이 아니며,토론이 투쟁은 아니고,반대 역시 혁명이 아니다.”고 지적했다. TV로 중국 전역에 생중계된 이 연설에서 부시 대통령은또 중국이 민주화되고 민주 선거가 지방에서 중앙으로까지 확대되기를 바란다면서 미국은 강력하고 평화롭고 번영하는 중국의 등장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이날 연설은 부시 대통령이 20분간 ‘미국적 가치’를 강연한 뒤 40분동안 학생들의 질문을 받는 순서로 진행됐다. 부시 대통령의 연설은 예상대로 중국의 민주화에 초점을맞췄다. 부시 대통령은 이어 “종교의 신념은 환영받아야지 결코두려워해서는 안된다.”는 등 미국적 가치를 강조하는데대부분의 시간을 할애했다.그는 특히 “세계 도처에서 많은 사람들이미국에 정착하기를 꿈꾸는 데는 이유가 있다. ”며 이는 미국인들이 자유를 즐기고 법을 준수하며,지도자의 권력을 제한하고,다른 사람의 종교를 가질 권리를 존중하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이날 참석자들의 질문 수준은 최고의 명문이라는칭화대의 명성에 걸맞지 않아 실망시켰다.학생들은 부시대통령이 ‘하나의 중국’정책을 견지할 것이라고 한 답변에는 열렬한 박수를 보낸 반면, 인권·종교 등의 내용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주룽지(朱鎔基) 총리와 조찬을 함께했다. 오후에 만리장성을 둘러본 다음 17일 시작된 한중일 3개국 순방일정을 끝내고 미국으로 돌아갔다.
  • 가슴 쓸어내린 타이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초조하게 부시 대통령의 방중 행보에 촉각을 곤두세우던 타이완 정부는 21일 조지 W 부시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장쩌민(江澤民)주석에게 타이완의 안전을 보장해준다는 타이완 관계법을 견지해 나가겠다고 재확인한 데 대해 안도하는 분위기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장 주석과의 정상회담에서 “타이완문제에 대한 미국의 입장은 변한 게 없다.미국은 앞으로도 타이완 관계법을 견지해 나갈 것이다.”고 밝혔다. 젠유신(簡又新) 외교부장은 이날 성명을 통해 부시 대통령이 타이완에 대한 무기공급을 약속한 타이완 관계법의견지를 천명한 데 환영을 표시했다.성명은 “부시 대통령이 타이완해협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지지한 것을 평가한다.”고 강조했다.
  • 中·美 정상 무슨 얘기했나/ 한반도문제 ‘동반자적 협력’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21일 열린 장쩌민(江澤民) 중국국가주석과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간의 정상회담은 지난해 군용기 충돌사고로 냉각됐던 양국관계를 완전히 ‘복원’하고 전략적 동반자 관계를 한층 강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두 나라 정상이 한반도 문제에 관해서 지지와 협력을 다짐,양국간 공감대를 넓힌 것은 주요한 성과로 꼽을 수 있다.특히 부시대통령은 장주석에게 김정일 위원장에게 북미대화에 응하도록 압력행사를 부탁했다는 부분은 우리의 관심을 끄는 부분이다.장주석도 이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히지 않을 것으로 알려져 앞으로 남북 및 북미관계에 중국이할 역할에 벌써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양국 정상은 또한 대(對)테러전쟁 등과 같이 이견이 없는사안은 물론, 타이완(臺灣) 및 인권 문제 등의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도 매끄럽게 주고받으며 ‘지지’와 ‘협력’를 강조한 점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두 정상이 양국관계의 발전을 위해 가장 노력한 대목은테러전쟁의 대한 공조체제의 구축이다.지난해 9월 테러사건을 응징하기 위한대테러전에 양국이 적극 협조함으로써군용기 충돌사건으로 냉각됐던 양국 관계가 급격히 회복된만큼, 이번 회담에서도 이 문제에 관해서만은 ‘지지’와‘협력’이란 말 이외에는 다른 말이 나오지 않을 정도로신뢰감과 공감대를 형성했다. 경제·무역협력 부문도 양국관계를 한단계 발전시킨 것으로 평가된다.부시 대통령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시 한약속의 이행을 촉구했으나 그냥 거론하는 수준이었는데 반해,양국은 경제·무역협력의 비중을 높이는데 공동 노력하고 중국의 낙후한 금융산업을 지원하기 위해 첨단 금융기법과 금융감독 노하우의 전수를 약속하는 등 경제협력을강화하는데 의견을 같이 했다. 특히 양국 정상이 타이완 문제와 인권 문제,무기 확산 등의 민감한 사안을 정면 돌파하지 않고 원론 수준에서 거론하면서 살짝 비켜간 것도 두 나라 관계가 ‘전략적 동반자관계’로 한층 강화됐다는 점을 보여준다. 한편 부시 대통령은 이날 장주석과의 회담을 끝으로 한중일 3국 순방 일정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이번 순방의가장 큰 목적은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전세계적인 대 테러연대에 아시아의 핵심 3국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이런 점에서 부시 대통령은 방문 목적을 충분히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 khkim@
  • 中·美관계 30년/ 71년 핑퐁외교로 출발 30년동안 부침의 연속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미·중 정상회담이 열린 21일은리처드 닉슨 전 대통령이 ‘죽(竹)의 장막’이던 중국을방문한 지 꼭 30년 되는 날.1972년 이날 당시 닉슨 대통령은 헨리 키신저 보좌관과 함께 비밀리에 베이징을 방문,굳게 닫혀진 미·중관계의 빗장을 열었다.1971년 ‘핑퐁 외교’로 시작돼 79년 역사적인 중·미 수교를 이룩한 뒤에도 수없이 부침을 거듭한 중·미관계 30년을 정리해 본다. ▲1971년=미 탁구대표팀 중국 방문,핑퐁 외교 ▲1972년 2월=닉슨 대통령,키신저와 방중.상하이 코뮈니케 발표 ▲1975년 12월=제럴드 포드 미 대통령 방중 ▲1978년 12월=중·미 수교 코뮈니케(2차 공동성명)발표 ▲1979년 1월=중·미 수교.미·타이완 단교 ▲1984년 4월=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방중 ▲1985년 7월=리셴녠(李先念) 국가주석 중국 국가 원수로 최초로 방미 ▲1989년 6월=6·4톈안먼 사태로미,대중 제재 ▲1997년 10월=장쩌민 주석 방미,중·미 공동성명 ▲1998년 6월=클린턴 대통령 방중 ▲2001년 4월=하이난다오(海南島)상공에서 미 해군 정찰기 중국군기와 충돌 후 하이난다오 비상착륙 후 승무원 억류.
  • 부시, 北美대화 中지원 요청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을 방문한 조지 W 부시 미국대통령은 21일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과의 회담에서 미국이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는 데 중국이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장 주석과 공동 기자회견에서 북한과 대화를 재개하겠다고 약속한 사실을 상기시키면서 “어제 서울에서 한 제의는 진심이며 김정일 위원장에게 이같은 메시지를 전하는 데 장 주석의 도움을 요청했다”고 말했다.부시 대통령은 또한 북한이 대량파괴무기 개발을 중단하도록중국이 압력을 행사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밝혔다. khkim@
  • 빨라지는 中민주화 행보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방문은 중국의 민주화 행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부시 대통령이 21일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통해 인권·종교 등 민주화 문제를 집중 거론한 데다,민주화를 외면하고서는 국제무대에서 2008년 올림픽 유치와 세계무역기구(WTO) 가입 등으로 높아진 국제적 위상에걸맞은 영향력을 발휘하기가 어렵다고 중국 정부가 판단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가까운 시일내 저명한 반체제 인사와 정치범등의 수감자들을 석방하는 한편 인권 개선조치와 지하교회 등록규정 완화방안을 입안할 방침이다.지난 1983년 중국 당국에 체포된 티베트 출신의 수도자 지그메 상포와 97년 검거된 뒤 실종된 것으로 알려졌던 중국 지하 가톨릭교회의 수즈민 주교 등 일부 인사들이 주요 석방대상자로 입에 오르내리고 있다. 민주화의 움직임이 이미 가시화되는 측면도 있다.부시 대통령의 방문을 의식한 점을 감안하더라도 인권문제 등에대해 이전보다 훨씬 전향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중국인권연구회가 12일 창간한 격월간지 ‘인권(人權)’이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잡지 ‘인권’은 여러 한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중국인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다.그중 가장 큰 문제는 ▲아직 3000만명 이상의 절대적 빈곤층이 상존하고 있으며 ▲15살 이상 사람들 중 8500만명 이상이 문맹이거나 반문맹의 상태이고 ▲법제도가 불충분한 데다 법집행마저 엄격하지 않아 인권침해의 소지가 많다는 등이다.
  • 中 예금금리 0.25%P 인하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인민은행(중앙은행)은 중국경제의 성장을 촉진하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21일부터 각종 인민폐 예금들의 이자율을 평균 0.25%포인트인하하기로 결정했다고 20일 밤 전격 발표했다. 이에 따라 21일부터 보통예금 연이자율은 현행 0.99%에서0.72%로, 1년짜리 정기예금 이자율은 2.25%에서 1.98%로각각 낮아졌다. 중국 인민은행은 각종 대출의 연이자율은 평균 0.5%포인트나 인하했다고 덧붙였다.
  • 정상회담 이모저모/ 中·美정상 “현안 견해차 극복 가능”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과 장쩌민 (江澤民) 중국 주석은 21일 정상회담과 공동기자회견 내내 우호적인 모습을 보여줬다. 대 테러전과 경제협력 등에서 상당한 의견일치를 보여 9·11테러 이후 호전되고 있는 양국 관계를 한 단계 발전시키려는 양국 정상들의 의도가 엿보였다. ■부시는 중국의 무기수출, 인권문제 등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되도록 직접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러나 “”중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모든 국민들이 자유롭게 사는 방식과 종교, 직업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며 부드러운 일침을 가하는 여유를 보였다. ■장 주석은 공동기자회견 도중 가톨릭 주교들의 구금 등 종교의 자유와 이라크에 대한 견해를 묻는 미국 기자들 질문에 즉답을 피해 침묵이 흐르기도 했다. 장 주석은 나중에 “”중국에는 카톨릭 기독교 회교 도교 등 많은 종교가 있으며 구속된 사람들은 종교적 신념 때문이 아니라 법을 어겼기 때문””이라고 말하고 “”중국이 강대국이 되더라도 다른 나라에 위협을 주지는 않을 것””이라고 부시 대통령을 은근히 꼬집었다. 뒤늦은 답변에 앞서 장 주석은 “기자회견에 있어서는 부시 대통령이 한수 위”라고 농담을 던지는 등 능숙한 모습을 보였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오전 베이징(北京)에 도착,인민해방군 의장대를 사열했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저녁 런민다후이당에서 장 주석이 주최하는 환영만찬에 참석한 뒤 미국계 세인트 레지스 호텔에 여장을 풀었다. 22일 주룽지(朱鎔基) 총리와 조찬을 한 뒤 후진타오(胡錦濤) 국가 부주석 안내로 주 총리의 모교인 칭화대(淸華大)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설한다. 이어 장 주석 부부와 오찬을 한 뒤 만리장성을 둘러보고 30시간 만에 중국을 떠난다. ■중국 정부는 21일 부시 대통령의 방문에 맞춰 톈안먼(天安門) 광장을 봉쇄하는 등 철통경계에 돌입했다. 부시의 숙소인 세인트 레지스 호텔 주변에는 수백명의 경찰과 군인들이 ‘인(人)의 장막’을 치는 등 물샐틈없는 경계를 펼쳤다. 호텔측은 수일 전부터 양해를 얻어 투숙객들을 다른 호텔로 이동시켰고,레스토랑·연회장 등의 약속들을 취소해 달라고 요청했다. ■중국 정부는부시 대통령 방문 후 ‘호의적 제스처’로 정치범들을 석방할 수 있다고 존 캄 변호사가 밝혔다. 캄 변호사는 “부시 대통령 방중 이후 4∼6주 안에 주요 정치범들이 석방될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 관계자들과 12∼24건의 사안을 논의 중이라고 덧붙였다. ■중국의 신문들과 TV들 및 인터넷뉴스 사이트들은 21일 부시 대통령의 기자회견 생중계 사실 자체를 일체 언급하지 않았다. 타이완과 인권·종교 문제 등에 대해 언급할 부시의 기자회견이 미칠 여파를 차단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 khkim@
  • “타이완 안보공약 부시 발언은 對中 도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홍콩 연합]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이 베이징 방문 이틀 전인 19일 일본 의회 연설에서타이완 안보 공약을 천명한 것은 중국에 또 다시 도전장을 던진 것이라고 홍콩 일간 명보(明報)가 20일 논평했다. 명보는 부시 대통령이 ‘미국은 중국을 위대한 국가로 존중한다.’고 치켜세우면서도 미·중간 가치관 차이를 유독 강조했다면서 “결국 부시 대통령이 중국인들에게 던지고자 한 메시지는 양국 사이에 가치관 차이가 존재한다는 점이었음은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고 논평했다. 명보는 부시가 특히 방중을 코앞에 둔 시점에서 타이완방위 공약 및 미·일 안보관계 등 중국측에 민감한 주제들을 연계해 다시 꺼낸 것은 부시 방문 환영 준비에 나선 중국 지도자들에 대한 결례이자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신문은 이어 부시 대통령이 중국을 무시하는 이같은 도발적인 발언으로 자신의 베이징 방문 의미가 퇴색될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관영 신화통신이 부시 발언 중 민감한 부분은 보도하지 않았지만 인터넷등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민다수가 발언 내용과 여기에 담긴 뜻,또 패권국가로 인식되고 있는 미국의 중국에 대한 시각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이라고 논평했다. 부시 대통령은 일본 의회 연설에서 “미국은 타이완인들에 대해 한 공약들을 기억하고 있다.”며 방위 공약을 재천명했으며 중국 관측통들은 부시 대통령이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이틀 앞두고 이같은 발언을 한 배경을 주목하고 있다.
  • 부시 맞는 中전략/ 中 “”줄 것 주고 받을 건 받는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은 21일 열릴 중·미 정상회담에서 철저한 ‘주고받기’ 전략을 구사함으로써 실리를극대화한다는 방침이다.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역사적인 중·미 정상회담 30주년에 맞춰 방문하는 손님인 만큼 극진한 대접과 함께 줄 것은 주고 챙길 것은 챙긴다는 복안이다. 중국의 대미(對美)전략의 핵심은 급속히 발전하고 있는중국 대륙이 결코 미국 등 서방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는점을 확실히 인식시킨다는 것이다. 미국 등 서방이 고도성장을 지속하는 중국에 대해 위협감을 느낄 경우 이들이 군비 확장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그러면 중국도 자연히 군비확장에 나서야 하는 탓에 경제발전에 대한 투자 여력이 줄어들고 현대화를 통해 초강국을지향하는 중국의 목표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 따라서 중국 정부는 대(對)테러 전쟁에 대한 공동 협력과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시 합의사항 이행,한반도 문제 등에서의 미국에 협력을 약속하는 대신,경제협력과 인권·종교문제 등의 부문에서는 미국 정부의 지지를 이끌어내는데 전력 투구한다는 전략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미국의 대테러전을 전폭 지원한다는 입장이다.지난해 9월11일 테러 발생 이후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이 곧바로 부시 대통령에게 대테러전에 공동 협력을 약속하고 두 나라간에 테러정보 교환 등 긴밀한 협의를계속하며 공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대 테러전쟁에 적극 협력하는 대가로 신장(新疆)위구르 자치구의 분리·독립 움직임에 쐐기를 박는데 대한 미국측의 지지를 얻어낸다는 방침이다. WTO 가입시 약속한 이행사항의 준수도 확약함으로써 미국의 ‘환심’을 살 예정이다.부시 대통령이 “나는 우리(중·미)가 협상했던 합의사항들을 우리가 완수한다는 것을보장받기를 바란다.”고 거듭 촉구한 탓이다.한반도 문제와 관련해서는 두 나라가 한반도의 평화 유지를 위해 노력한다는 데는 이견이 없는 만큼 대량파괴무기 확산 포기 등 미국측의 입장을 북한측에 성실히 전달하겠다는 역할을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중국은 타이완 문제와 인권·종교문제 등에 대해서는 ‘지지’와 ‘양보’를 얻어내는데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중국은 타이완(臺灣)문제와 관련,미국에 대해 ‘하나의 중국’정책 준수와 무기판매 문제 등을 집중 거론할 예정이다.인권·종교 문제에 대해서는 미국이 요구한 간첩혐의로 구금 중이던 티베트 출신의 미국 음악학자를 석방하고 경제발전과 함께 인권상황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을부각시켜 미국을 설득한다는 것이다. khkim@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