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정치 ‘칭화대 인맥’ 뜬다
중국 정치에 ‘칭화방(淸華幇)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을 계기로 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의 후계자 지위가 기정사실화됨에 따라 그동안 중국 정치에서 ‘상하이방(幇)’세력이 위축되는 대신 칭화대의 인맥으로 구성된 ‘칭화방의 시대’가 도래할 가능성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홍콩 경제일보는 23일 후 부주석이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으로부터 미국 방문 ‘허락’을 얻은 것은 차기 국가주석자리를 사실상 확보한 것으로 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또한 후 부주석이 부시 대통령의 칭화대 연설장에 동행,‘10분 연설’로 대내외에 깊은 인상을 남김에 따라 ‘후진타오시대’를 눈 앞에 뒀다고 23일 논평했다.
경제일보는 특히 ‘칭화방의 칼끝이 상하이방을 위협한다’는 제목의 분석기사를 통해 주룽지(朱鎔基) 총리가 90년대중반 총리로 임명되면서 일어나기 시작한 ‘칭화대 신드롬’이 후 부주석의 지위 공고화로 본격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중국 정계내 칭화대 출신 대표주자들인 주 총리와 후 부주석은 각각 1947년과 1959년 대학에 입학했으며,92년에 열린제14기 공산당 전국대표대회에서는 7인의 정치국 상무위원으로 나란히 승진해 칭화대 위력을 과시했다.
지난해 4월29일 개교 90주년을 맞이한 칭화대는 지난 1949년 중국 공산정권 수립 이후 부부장(차관급) 이상의 고위 관리를 300명 이상 배출했다.
지금까지 정치국 상무위원 4명,정치국 위원이나 후보위원 11명,중앙위원 및 후보위원 53명,국무원 총리 1명,부총리 6명이 배출됐다.
대표적인 칭화대 인맥으로는 우방궈(吳邦國) 부총리,쩡페이옌(曾培炎) 국가계획발전위원회 주임,저우샤오촨(周小川) 증권감독위원회 주석,톈청핑(田成平) 산시(山西)성 당서기,예쉬안핑(葉選平) 정협(政協) 부주석,자춘왕(賈春王) 공안부장,쉬룽카이(徐榮凱) 윈난(雲南)성장,우관정(吳官正) 산둥(山東)성 당서기,시진핑(習近平) 푸젠(福建)성장,쑹바오루이(宋寶瑞) 경제체제개혁 판공실 부주임,장푸선(張福森) 인사부장,천위안(陳元) 국가개발은행장 등.과거의 인물로는 정치국상무위원 출신의 야오이린(姚依林)과 쑹핑(宋平),정치국원을 지낸 후차오무(胡喬木)·리시밍(李錫銘) 등이 있다.
반면 장 주석 등 상하이를 정치적 기반으로 삼고 있는 정치세력인 ‘상하이방’에는 리란칭(李嵐淸) 부총리,황쥐 서기,쩡칭훙(曾慶紅) 당 조직부장,원자바오(溫家寶) 부총리,천즈리(陳至立) 전 교육부장 등이 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