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보고 싶은 뉴스가 있다면, 검색
검색
최근검색어
  • 김규환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 강신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 이영준
    2025-10-15
    검색기록 지우기
저장된 검색어가 없습니다.
검색어 저장 기능이 꺼져 있습니다.
검색어 저장 끄기
전체삭제
4,979
  • 월드컵 D-30/ 중국 표정은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월드컵 개막일이 30일 앞으로 다가오면서 중국에도 ‘2002 한·일 월드컵’의 바람이 본격적으로 불고 있다.지난 27일 벌어진 한국팀과 중국팀과의평가전에 대해서는 “공한증(恐韓症)을 갖고 있는 중국팀이 경기의 주도권을 장악했으나 한국팀 골키퍼의 선방으로 아쉽게 무승부를 기록했을 정도로 중국팀의 전력이 크게향상됐다.”고 평가했다. 이와 함께 월드컵 축구 관련기사를 1∼2개면씩 할애,보도한 데 이어 월드컵 관련 특집면을 본격적으로 제작,발행함으로써 중국 대륙의 월드컵 축구 열기를 반영하고 있다. 축구가 중국 대륙에서 가장 인기있는 스포츠인 데다 사상 처음 월드컵 본선 출전 티켓을 거머쥔 후 축구 열기는 더욱 폭발적으로 확산되고 있다.월드컵 축구에 대한 폭발적인기는 한국에서 열리는 월드컵 축구 중국 경기를 보기 위해 한국 관광을 나서겠다고 신청한 중국인들이 폭증하고중국 여행사들이 월드컵 경기의 입장권 확보에 비상이 걸린 게 대표적인 사례다. 중국의 국영여행사인 ‘중국여행사(CTS)'는 2만명 이상의중국인들이 월드컵 중국전을 보기 위해 한국에 가겠다고신청했으나 입장권을 확보하지 못해 절반도 수용할 수 없는 입장이라고 안타까워했다.국제축구연맹(FIFA)이 중국전체에 1만747장의 입장권만 배정한 탓에 중국 전역의 한국 관광상품 취급 64개 지정 여행사들이 입장권 확보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이 때문에 한국 월드컵 축구 관광상품 가격이 베이징 시민의 평균 월급의 4∼10배인 5000위안(元·약 80만원)∼2만위안(320만원)인 데도 월드컵 입장권 확보난은 지속되고 있다.최근 중국과 경기를 벌일 브라질·코스타리카·터키에 팔릴 표들이 중국 쪽에 할당된다는 얘기가 나오자 중국 여행사들은 열렬히 환영하고 있다. 월드컵 축구 열풍은 한국의 ‘붉은 악마’에 비견되는 ‘룽훈(龍魂)’이라는 국가 차원의 월드컵 응원단의 결성으로 이어졌다.그동안 중국 전역에서 산발적으로 활동을 펴오던 추미(球迷·축구팬)들이 지난해 11월 ‘중국 전국 축구팬클럽 연맹'을 결성한 데 이어 중국 축구협회와 한국의 LG전자가 합동으로 17명의 ‘룽훈’리더를 선발,월드컵응원을 위한 출정 준비를 마쳤다.중국의 재계도 월드컵 열기의 조성에 한몫을 하고 있다. 중국 최대 보험업체인 중궈런서우(中國人壽)는 월드컵 축구 경기 중 중국팀의 부상이나 사고 등에 지급할 보험금 2억위안(320억원)을 책정,축구협회와 지급약속을 체결했다.가전회사인 메이디(美的)는 중국팀의 월드컵 경기중 한골당 10만위안(1600만원)의 축구발전 기금을 출연할 예정이다. 이같은 월드컵 바람에 힘입어 사상 처음으로 본선에 출전하는 중국팀은 브라질·터키·코스타리카와 함께 C조에 속해 어려운 경기가 예상되지만 ‘첫 출전 1승'이라는 목표를 내세웠다.퉁화(董華) 중국축구협회 신문판공실 주임은 C조내 다른 팀들의 실력이 강해 한 경기를 이길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브라질이 가장 강한 팀이고 터키와 코스타리카도 우리보다 한수위다.그러나 이긴다는 각오로 경기에 임하겠다.”고 말했다. khkim@
  • 베이징 한국대사관 진입시도, 탈북자 3명 中경찰에 붙잡혀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탈북자 가족 3명이 29일 베이징(北京)의 한국 대사관에 진입하려다 중국 무장경찰들에게체포됐다. 유엔난민고등판무관실(UNHCR) 베이징 사무소나 서방의 외교공관이 아닌 한국대사관에 진입을 시도한 것은 이번이처음이다. 베이징 주재 한국대사관의 고위 당국자에 따르면 이들은이날 오전 11시(한국시간 낮 12시)쯤 베이징의 동3환(東三環) 순환도로변의 한국대사관에 진입하려다 현장에서 무장경찰대에 붙잡혔다.이들 탈북자 일행은 당초 5명이었으며,그중 3명이 현장에서 붙잡히고 2명은 달아났다. 중국 공안당국은 현재 이들의 신병을 확보하고 경위를 조사중이며,한국대사관측도 중국 당국과 접촉하면서 이들의체포 경위 등 진상을 파악하고 있다.중국 당국이 이들의한국행을 허용할지는 알려지지 않고 있으나,이들을 북한으로 송환할 경우 국제여론의 거센 비난에 직면할 것으로 보인다. khkim@
  • 2200년전 前漢시대 미라 컴퓨터로 얼굴 완전 복원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의 고대시대인 전한(前漢)시대의 미라 얼굴이 복원됐다.중국 후난(湖南)성 박물관은창사(長沙) 교외의 2200년 전 전한시대의 마왕퇴(馬王堆)한묘(漢墓)에 매장된 미라의 발굴 30주년을 기념해 미라의 얼굴을 컴퓨터 그래픽으로 복원해 28일 공개했다. 지난 72년 한묘가 발굴될 당시의 미라는 온몸에 윤기가흐르고 피하지방이 있는 피부가 탄력을 유지한 상태로 발견돼 세계 고고학계를 놀라게 했다.미라의 주인공은 장사국(長沙國) 승상인 이창(利蒼)의 부인으로 이름은 신추(辛追)이며,50살 전후에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미라얼굴의 복원은 랴오닝(遼寧)성 선양(瀋陽)에 소재한 중국형사경찰학원 법의학팀의 차오청원(趙成文) 교수가 맡았다. 이번에는 사망 당시의 얼굴 외에도 7세와 18세,30세의 모습 등도 함께 복원됐다.
  • 中 ‘서방에 얼굴알리기’ 경쟁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의 대표적인 정치적 라이벌’로 중국 차세대 지도자 가운데 선두경쟁을 벌이고 있는 후진타오(胡錦濤) 국가부주석과 쩡칭훙(曾慶紅) 공산당 조직부장이 ‘서방에 대한 얼굴 알리기’에서도 치열한 경쟁을벌이고 있다. 올가을 제16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16차 당대회)에서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으로부터 권력을 승계할 것이 확실시되는 후 부주석이 동남아를 거쳐 미국 방문길에 오르자 장주석의 최측근 핵심인물인 쩡 부장이 뒤질세라 일본 방문에나선 것. 이를 놓고 쩡 부장의 일본 방문은 후 부주석을 정치적으로견제하기 위한 의도에서 비롯된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되고있다. 두 사람 모두 외부세계에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이번 방문은 그들의 외교적 역량을 시험하는 무대가 될 것이다. 말레이시아·싱가포르를 거쳐 27일 미국 하와이에 도착한후 부주석은 5월1일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과 딕 체니 부통령과의 연쇄회담으로 첫 시험을 치른다.온화한 이미지의 그가 ‘매파’들로 이뤄진 부시 행정부를 상대로 타이완문제에 대해 어떤 결과를 이끌어낼 지가 주목거리다. 신중하고 조심성 있게 처신해야 하는 후 부주석과는 달리쩡 부장의 일본 방문은 훨씬 부담이 적은 편이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 참배로 일본에 대한 국제적 여론이 나빠져 있는 만큼 일본에 공세를 펼만한 여건을 갖추고 있는 데다 시급히 해결해야 할 현안도 없는 탓이다. khkim@
  • 탈북1명 獨대사관 진입…오늘 한국행

    25일 밤 담을 넘어 중국 베이징(北京) 주재 독일 대사관에 진입, 한국으로 망명을 요청한 탈북자 1명이 빠르면 27일 필리핀 마닐라를 경유해 서울에 도착한다고 26일 중국 소식통이 전했다. 필리핀 외교부의 빅토리아노 레카로스 대변인도 이날 이탈북자가 마닐라를 거쳐 한국으로 가도록 허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그는 독일 정부의 공식 요청으로 필리핀 정부가 인도주의적인 결정을 내렸다면서,탈북자가 필리핀 도착 후 한국행첫 비행기로 서울로 떠날 것이라고 밝혔다. 독일 대사관의 한 관리는 “중국 정부 관리들이 이번 사건 협상 과정에서 대단히 건설적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다.”고 밝혀 조기 해결 가능성을 시사했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獨대사관 탈북자 처리 안팎/ 中 ‘탈북자 25명’ 선례따라

    중국정부가 26일 베이징(北京) 주재 독일대사관에 진입한 탈북자를 빠르면 27일 필리핀 마닐라를 경유,한국으로 가도록 허용한 것은 인도주의적 입장과 남북관계를 고려해 내린 결정이다. 중국 정부가 이처럼 탈북자 신병을 조기 처리한 것은 지난해 6월 장길수군 일가족 및 지난 3월 스페인대사관에 진입한 탈북자 25명의 한국행 사건 때 적용된 선례 때문인것으로 보인다.특히 북한으로 되돌려 보내지 못할 바에야재빨리 사건을 매듭지어 중국의 대외 이미지를 개선하고서방 언론들의 화살도 피하겠다는 계산도 깔고 있는 것이다. 사건 발생 직후 중국 정부는 곧바로 독일대사관과 접촉에 나서 양측이 긴밀하게 사건 처리방식을 협의한 것으로 전해졌다.지난달 탈북자 25명의 한국행을 허용할 때와 마찬가지로 중국 정부의 탈북자 처리는 일관되고 분명한 원칙아래 진행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칙은 탈북자들에게 난민지위는 부여하지 않지만 인도주의 정신과 국제관례,국제법과 중국법에 따라 처리한다는 것이다.중국 정부는 지난달 탈북자 25명의대거 한국행이후 탈북자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는 등 사건 재발 방지에 고심해왔다. 중국이 이번에도 탈북자의 한국행을 조기 허용한 것은 향후 유사사건 발생시 ‘제3국 경유 한국행’이 중국 당국의 탈북자 처리 관례로 자리잡을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다는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베이징은 지금] 中 ‘스촨농대 본받기’ 열풍

    중국 대륙에 ‘스촨(四川) 농업대학을 본받자’는 바람이불고 있다.스촨성 중부의 조그마한 도시인 야안(雅安)시에있는 스촨농대는 베이징(北京)대와 칭화(淸華)대처럼 중국최고의 명문대학도 아니다. 다만 스촨농대 출신 해외 유학생들의 귀국률이 다른 대학출신들보다 훨씬 높다는 점이 유일한 자랑거리라면 자랑거리라고 할 수 있다.그런데 세계무역기구(WTO) 가입과 오는2008년 베이징 올림픽 유치 등으로 국제화된 전문 인력을대거 필요로 하는 중국 정부가 이 점을 중시,대대적으로 선전하면서 ‘스촨농대를 본받자.’는 바람이 중국 전역에 불고 있는 것이다. 지난 1978년 중국이 개혁·개방정책을 실시한 이후 스촨농대 출신으로 해외로 유학간 사람은 모두 388명.이중 333명이 유학을 마치고 돌아와 귀국률이 무려 85%에 이른다.중국전체의 유학생 귀국률이 33%에 불과하다는 점을 감안하면매우 높은 수치다.이같이 스촨농대 출신의 귀국률이 높은이유중 하나는 해외 유학에 필요한 교육 및 경비 등을 아낌없이 전력 지원해주고 있는데다 이학교에서는 유달리 조국에 대한 봉사정신을 강조하고 있는 덕택이다. 최근 귀국한 장위엔성(蔣遠勝) 박사는 학교가 아낌없이 지원해준데 대한 고마움으로 표시로 학교를 위해 일하기 위해귀국한 케이스. 장 박사는 당초 해외 유학시험에 합격하고도 경비가 없어 쩔쩔매고 있을 때 학교에서 아무런 조건 없이 모든 경비를 지원해줬다. 스촨농대 명예총장인 양펑(楊鳳) 교수는 순수하게 조국에대해 봉사해야 한다는 생각에서 귀국했다.양 교수는 저우언라이(周恩來) 전 총리의 열정적인 강연에 감동을 받아 오직중국의 현대화 사업에 동참한다는 취지로 ‘중국 미사일의아버지’인 첸쉐산(錢學森) 박사와 함께 돌아왔다. 지금 중국에 부는 ‘스촨농대를 본받자’는 바람은 중국 정부가 유도하는 측면이 다분한 것도 사실이다.하지만 날마다 진흙탕싸움으로 일관하는 국내 정치에 대한 혐오증, ‘반인간적’교육에 대한 실망감 등으로 해외로 떠나는 우리 실정과 비교하면 신선한 느낌을 주고 있다. 중국은 이제 정부가 자신감 있게 해외 유학생들을 불러들일 만큼 ‘무한한 가능성’이라는 매력을 가진 곳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김규환특파원 khkim@
  • ‘고이즈미 신사참배’보복/ 中해군함정 訪日 연기

    중국 정부는 23일 나카타니 겐(中谷元) 일본 방위청장관의 베이징(北京) 방문과 중국 해군 함정의 일본 방문을 각각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의 야스쿠니(靖國) 신사참배와 관련,중국 정부가 구체적인 대응조치를 통해항의의 뜻을 전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쿵취안(孔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23일밤 고이즈미 총리의 야스쿠니 신사참배에 대해 “중국 인민들의 감정을 손상시킴으로써 중·일관계를 상처나게 했다.”며 “현 상황에서는 나카타니 방위청장관의 방중과 중국 해군 함정의 방일이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나카타니 방위청장관의 방중은 27일로 예정돼 있으며,중국해군 함정은 오는 5월14∼17일 일본을 방문할 계획이었다. 중국 정부는 그러나 쩡칭훙(曾慶紅) 공산당 조직부장의 일본 오이타현 방문(25일)과 일본 공명당 대표단의 베이징 방문(27일)은 예정대로 이뤄질 것이라고 전했다. 중국 정부의 강경대응 방침은 지난해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농산물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 조치발동 등 중·일관계가 급랭됐으나,고이즈미 총리가 지난해 10월 방중때 과거에 대한 ‘반성의 뜻’을 전달하면서 점차 회복돼오는 와중에 발생,중국측이 극도의 ‘배신감’을 느낀 데서 비롯된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 정부의 강경대응 방침은 그리 오래 지속되지않을 것이라는 게 베이징 외교소식통들의 일반적인 전망이다.고이즈미 총리가 야스쿠니 신사참배는 단행했지만 패전일인 8월15일 참배를 배제한 데다,오는 9월 중·일 수교 30주년을 맞는다는 점을 들어 중·일관계가 크게 악화되지는 않을것이라는 분석이다. 특히 중·일간의 교류 중단이 지난해와는 달리 일본 군국주의를 상징하는 나카타니 장관의 방중과 중국 군함의 일본 방문을 연기하는 군사 부문에만 한정됐다는 것도 이같은 분석을 뒷받침하고 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후진타오 외교력’ 첫 시험대에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 부주석이 23일부터 미국·말레이시아·싱가포르 등 3개국 공식방문길에 올랐다. 올 가을 제16차 공산당 전국대표대회(당대회)에서 이뤄질 장쩌민(江澤民) 국가주석의 후계자로 가장 유력한 후 부주석의 미국 방문은 ‘차세대 지도자’로서 외교적 역량을 시험받는 첫 무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월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군용기 충돌사건 등으로 급랭됐던 중·미관계는 9·11 테러사건에 대한 협력과 올 2월 부시 대통령의 베이징 방문으로 ‘동반자관계’ 수준으로 회복됐다.하지만 지난 3월 탕야오밍(湯曜明) 타이완 국방부장이 미국을 방문하고 미 정부 관리들의타이완 방위에 대한 발언이 잇따르며 또 다시 냉각기에 접어든 상황이다. 후 부주석이 미국 방문길에서 직면할 가장큰 이슈는 ‘타이완문제’이다.그는 부시 대통령을 비롯해딕 체니 미 부통령과 친타이완파로 구성된 그의 측근들을상대해야 한다.부시 행정부가 타이완에 대해 군사교류의 확대나 무기 판매를 못하도록 견제하는 임무를 띠고 ‘적진’인 워싱턴으로 들어가는 셈이다. 이와 함께 자신이 내년 3월 국가주석에 취임한 이후에도 보다 안정적인 중·미관계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이들과 인간적인 유대관계도 맺어야 한다.이를 위해 자신의 신중하고 온화한 이미지를 십분발휘,미국민들의 중국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를 개선하는계기로 만들어야 한다. 후 부주석의 이번 방미길이 순탄한 것만은 아니다.워싱턴·뉴욕·샌프란시스코 등 가는 곳마다 인권·티베트 독립·파룬궁(法輪功)문제를 제기하는 시위대를 만날 가능성이 있다. 후 부주석은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를 거쳐 27일부터 6박7일 일정으로 미국을 방문하며,5월1일 워싱턴에서 부시 대통령·체니 부통령과 연쇄 회동할 예정이다. khkim@
  • 中 채소산업 국제화 노린다

    중국 대륙이 채소산업의 국제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지난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으로 농업이 무한 경쟁시대에 접어듦에 따라 채소산업의 대외수출을 늘려 중국 농업의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해서다. 산둥(山東)성의 인구 100여만의 조그마한 도시인 서우광시는 ‘중국 채소의 실리콘 밸리’로 불린다.중국 채소생산의 15%를 담당하는 산둥성의 ‘무공해·고품질’ 채소생산의 핵심기지일 뿐 아니라,중국 채소산업 수출의 교두보역할을 하고 있다.20일 서우광시의 국제회의 전람센터.중국 채소산업의 국제화를 겨냥한 ‘제3회 중국 국제 채소과학기술 박람회’가 열려 3만여명의 국내 관계자들과 60여개국 300여명의 외국 관계자로 발디딜 틈이 없었다.국제회의 전람센터의 전시회장은 1만여평의 거대한 유리 온실로 변해 800여개의 국내외 기업들이 육성·재배한 각종 고품질·무공해 채소가 참관객들을 유혹하고 있다. 이같은 중국 채소산업의 경쟁력은 채소산업 구조조정이 가장 큰 원동력이다.중국 정부가 시스템 개선을 통해 완벽한 채소전문 시장체계를 구축한 것이다. 과학기술을 이용한 채소의 신품종 개발에 주력한 점도 일조했다.정부가 중국 전역에 채소산업 과학기술개발 연구센터 9곳을 설립해 신품종 연구개발을 하고 있으며,방울토마토 등 세계 20여개국 400여개 신품종의 채소를 보급함으로써 고품질의 채소 생산에 기여하고 있다. 서우광(壽光·중국 산둥성)김규환특파원 khkim@
  • 타이완 “영어는 제2공용어”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타이완(臺灣) 정부가 영어를 제2의공용어로 선포할 방침이다. 국제화 시대에 걸맞은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다. 타이완 교육부는 국제화 시대를 맞아 국민들의 영어실력을 높이고 경쟁시대에 적응력을 갖춘 전문적인 인재를 육성하기 위해 영어를 제2의 공용어로 하는 ‘6개년 국가건설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타이완의 중국시보(中國時報)가 15일 보도했다. 황룽춘(黃榮村) 교육부장(장관)은 지난해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으로 무한 경쟁시대에 돌입함에 따라 전문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우선 영어 수업시간을 늘리고 네이티브 스피커(원어민) 영어교사들을 대거 교사로 채용하는 한편, 여름·겨울방학 동안 공·민영기관에서 각종 영어회화 학습강좌를 개설토록 해 기초 영어교육을 강화하는데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를 위해 외국 국적을 가진 사람도 영어교사로 임용하는 등 영어교사 자격기준의 제한을 없애기로 했다. 초등학교 때부터 외국 국적의 영어교사들을 초빙,영어로 듣기와 말하기 등 영어회화훈련을 대폭 강화한다는 것이다. 더욱이 국·공립학교들이 개별적으로 외국 국적의 영어교사들을 초빙할 경우 문제가 많다고 보고,교육부가 직접 나서서 원어민 영어교사를 초빙해 각급 학교에 배정키로 했다. 초등학교의 영어회화 수업을 시작하는 학년도 다양화하기로 했다. 교육부는 도.농간의 영어 학습 차이가 크다는 점을 감안해 영어 수업을 각급 학교 사정에 맞게 1~3학년 가운데 아무 때난 시작할 수 있도록 했다. 영어 교재도 학년에 관계없이 채택토록 교재 선택의 자유도 부여할 방침이다.
  • 中경제 1분기도 잘나갔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경제가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있다. 경제성장률이 수출증가세와 재정지출 정책에 힘입어당초 예상보다 훨씬 높은 7.6%를 기록한 덕분이다. 샹화이청(項懷誠) 중국 재정부장은 16일 기자회견을 통해올 1·4분기(1∼3월) 국내총생산(GDP)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7.6% 증가했다고 밝혔다.2001년 같은 기간(6.6%)보다1%포인트가 높아졌다. 샹 부장은 “중국 경제의 고도 성장률은 세계경제 회복에힘입어 수출이 전년 같은 기간보다 9.9% 증가한데다 적극적인 재정지출 정책을 통해 공공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내수확대 정책이 실효를 거뒀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따라서 올해 성장률 목표치인 7%의 성장률 달성은 무난할것으로 전망된다. 중국 경제가 고도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은 수출증가세와내수확대 외에도 올해부터 세계무역기구(WTO) 정식 회원국이 됨에 따라 시장개방과 각종 규제 철폐로 외국인들의 투자가 크게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올해 외국인 투자는 지난해(460억달러)보다 훨씬 많은 500억 달러를 무난히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2008년 베이징 올림픽 개최를 위한 사회간접자본(SOC) 시설투자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됨에 따라 건설·관광·교통·광고업이 활기를 띠며 성장을 부축하고 있다.산업구조가 전통 제조업 위주에서 정보기술(IT)산업 등 첨단산업의 비중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점도 성장의 견인차 역할을 하고 있다.핸드폰·인터넷 보급률이 각각 10%,5% 미만인 점도 내수확대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경제의 불안요인도 적지 않다.1·4분기 재정지출이전년 같은 기간보다 23.9% 늘어난 3511억위안(약 56조1760억원)에 이르러 재정적자가 심화되고 있다.WTO 가입으로 인한 관세인하와 금융기관에 대한 영업세 인하 등으로 재정수입은 3.4% 늘어나는데 그친 탓이다. 적극적인 재정지출에도 불구,아직 디플레이션에 가까울 정도의 빈곤한 구매력과 높은 실업률 등 체제의 비효율성도언제든지 성장의 발목을 잡을 가능성이 있다.산매매출 증가율이 2001년 같은 기간(10%)보다 떨어진 8.5%에 그쳐 여전히 구매력이 늘어나지 않고 있는데다,샤강(下崗·일시 해고) 노동자 515만명을 제외한 공식 실업자만도 680만명이 넘는다.언제 경제성장의 발목을 잡을지 모르는 시한폭탄이라할 수 있다. khkim@ ■“中 IT 향후 4년간 25% 성장” [베이징 연합] 중국의 정보기술(IT)시장은 앞으로 4년간 25%에 달하는 고성장세를 구가할 것이라고 시장조사기관인 IDC가 16일 전망했다. IDC는 올해 중국 IT시장은 지난해보다는 소폭 줄어든 18.2%의 성장률을 기록하면서 220억달러의 규모를 형성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IDC는 이와함께 중국 소프트웨어 및 IT서비스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도 현재 16%에서 2006년 30%로 늘어나며 PC 출하규모도 지난해 말 880만대에서 2004년 2배인 1600만대로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장쩌민, 김대통령에 조의

    장쩌민(江澤民) 중국 국가주석과 주룽지(朱鎔基) 총리는중국 국제항공공사의 보잉 767기 추락사고와 관련,김대중(金大中) 대통령에게 애도의 뜻을 전달했다고 장치웨(章啓月) 중국 외교부대변인이 16일 밝혔다. 장 대변인은 이날 정례 뉴스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히고 “중국 정부는 이번 사건을 매우 중요시하고 있으며 현재이 사건을 조사중에 있다.”고 말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여객기 참사/ 中 조종사 양성과정-면허따고 실무2년뒤 부기장

    김해공항에 추락한 중국 국제항공공사(CA)소속 보잉 767기 기장이 일반의 예상보다 훨씬 젊은 30대 초반으로 밝혀져 중국의 조종사 양성제도가 관심을 끌고 있다. 기장인 우신루(吳新祿)는 71년생으로 올해 만31세이며, 부기장 2명도 27세와 29세로 아주 젊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에서는 기장이 되려면 적어도 40세가 넘어야 하고,안전운항 경력이 13년 이상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우리 기준으로 볼 때 우 기장은 신뢰할 수 없는 기장인 셈이다. 그러나 우 기장은 지난해 말까지 6386시간을 비행했고 사고기종을 6000시간 이상 조종한 경험이 있다. 중국에서 조종사가 되는 길은 크게 ▲인민해방군 조종사출신 ▲4년제 비행훈련학교 졸업 ▲항공사 훈련생 과정 이수 등 세 가지 갈래이다. 비행 훈련학교는 청두(成都)와 뤄양(洛陽) 등 6곳에 있으며 고교 졸업생들을 선발, 3년간 이론교육과 1년 이상 비행훈련을 실시한다. 항공사가 직접 관리하는 훈련생 교육은 고교 졸업자를 실습생으로 선발,미국에서의 위탁교육을 통해 미국 조종사면허를 취득하게 한 뒤 항공기 운항에 투입한다. CA는 인민해방군 출신이나 훈련생을 뽑아 조종사 요원을 양성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종사 면허를 받은 비행 훈련학교나 훈련생 출신의 조종사들은 2년의 실무훈련을 거친 뒤 부기장,대리 기장,기장등으로 승진한다. 전원 공산당원인 기장의 자격은 항공사마다 내규가 달라 일률적으로 규정하기 어렵다. 기장은 비행시간이 3150시간을 넘어야 하고 조종 시뮬레이션 등의 승급시험을 통과해야 한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美상품 수입 잠정중단 추진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정부가 ‘미국·타이완(臺灣)의 밀월관계’에 보복하는 강력한 ‘처방전’을 내놓을방침이다.보잉 여객기를 비롯한 미국 주요 상품들에 대한수입을 잠정 중단하는 등 보복 방안을 마련,미국을 ‘압박’해 나간다는 것이다. 홍콩의 일간 명보(明報)는 13일 중국 대외무역경제합작부 고위 관계자의 말을 인용,중국 당국이 보잉 여객기·대두(大豆) 등 미국의 대(對)중 주요 수출상품들에 대한 수입을 잠정 중단하는 강력한 보복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중국 당국이 마련중인 잠정 구매중단 품목에는 보잉 여객기 등 공산품 외에도 소맥·대두·옥수수 등 농산품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특히 유전자 조작 식품으로 알려진 대두에 대해서는 수입통관 때 보다 엄격한 기준의 검역을 실시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미국은 오는 21∼25일 부시 미 행정부로서는처음으로 돈 에번스 상무장관을 단장으로 한 무역대표단을 급파,‘사건’의 조기 진화에 주력할 것으로 알려졌다. khkim@
  • 中 전력산업 구조개편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정부가 전력산업의 경쟁력을강화하기 위해 대대적인 전력산업 구조개편을 단행한다. 중국 국가계획위원회는 11일 세계무역기구(WTO) 가입으로경쟁이 격화됨에 따라 전력산업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올해 안으로 크게 발전소와 송전망을 분리하는 등 독점체제를유지하고 있는 국가전력공사를 5∼6개의 기업으로 분할할방침이라고 밝혔다. 국가계획위는 이를 위해 우선 국가전력공사의 발전소와 송전망을 분리할 계획이다.송전망과 분리된 발전소는 다시 3∼4개의 전국적인 독립 발전기업으로 개편한 뒤 이들 발전기업에 대해 자율적인 경영권을 부여할 방침이다. khkim@
  • 주룽지 “위안화 절하 없을것”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아시아지역의 경제협력을 모색하는‘보아오(博鰲) 아시아경제 포럼’ 제1차 연차총회가 12일중국 남부의 하이난(海南)성 휴양지 보아오에서 이틀간의일정으로 개막됐다. 지난해 창립총회를 개최한 ‘보아오 아시아경제 포럼’은스위스의 다보스에서 열리는 ‘다보스 세계경제 포럼’의아시아판으로,비정부·비영리의 민간 지역경제 논단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이번 행사를 위해 800만위안(약 12억8000만원)을 지원하고 있을 정도로 관심을 쏟았다.급속한경제발전을 배경으로 중국이 아시아 경제를 주도하겠다는의도가 깔려 있는 것이다. 이날 개막식에서 주룽지(朱鎔基) 중국 총리는 ‘아시아 경제의 장래와 중국의 역할’이라는 기조연설을 통해 중국이아시아 경제질서를 주도하겠다는 의지를 강력히 피력했다. 주 총리는 위안(元)화 평가절하 문제와 관련,“아시아·태평양지역의 이익을 위해 위안화 평가절하 정책은 없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이 정책을 변함없이 지속시키겠다.”고강조했다. 첫날 회의에서는 아시아 자유무역협정(AFTA)과 에너지정책에 대한 논의가 중점적으로 이뤄졌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일본 총리는 “아시아 지역의 경제협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아시아 국가들간의 관세를 철폐하는 AFTA의 체결이 필요하고 세계무역기구(WTO)체제와 AFTA를 병용한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khkim@
  • 中대륙 기상이변 ‘몸살’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대륙이 기상이변으로 홍역을치르고 있다.4월 들어 중국 전역에서 최악의 황사폭풍이 발생하는 것은 물론,때아닌 폭우·우박이 쏟아지는 바람에 인명피해가 생기고 나무가 뿌리째 뽑혀나가는 등 피해가 크게늘어나고 있다. 중국 지린(吉林)성과 허베이(河北)성,랴오닝(遼寧)성 등 동북부지역에서는 6일 밤부터 9일까지 몽골에서 발달한 차가운 공기의 영향을 받아 기온이 6도로 크게 떨어지고 초속 10∼13m의 6급 강풍을 동반한 사상 최악의 강력한 황사폭풍이 발생했다.이때문에 항공기 결항사태가 빚어지고 나무들이 뿌리째 뽑혀 나갔으며,목의 통증을 호소하는 호흡기 환자들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 앞서 6일 오전 중국 동남부 저장(浙江)성 항저우(杭州)에서는 강한 돌풍과 우뢰를 동반한 우박이 쏟아져 신축 건물 2동이 무너지는 바람에 공사장 인부를 비롯해 주민 42명이 건물 더미에 깔려 4명이 사망하고 8명이 크게 다쳤다. 이날 후난(湖南)성에서도 11급의 초강풍을 동반한 우박과 폭우가 뒤섞여 쏟아져 1명이 숨지고 33명이 중상을 입었다. 중국 남부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시에서는 갑자기 먹구름이 끼면서 강한 돌풍과 함께 우박·폭우가 쏟아지면서 30도를 크게 웃돌던 기온이 10도로 크게 떨어져 시설채소 등농작물이 큰 한해(寒害)를 입었다. 중국 중서부의 스촨(四川)성과 충칭(重慶)에서도 강한 돌풍을 동반한 폭우가 쏟아지는 바람에 농작물 생산량이 10%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 전문가들은 중국 전역에서 기상이변이 일어나는 것은지구의 온난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며 중국 대륙의 경우 연평균 기온이 0.5도 정도가 더 높아져 앞으로도 기상이변이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中경제 매년 7%대 성장”

    중국 경제가 2010년까지 7%대의 안정적 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중국 정부 산하의 국무원 발전연구센터가 8일 밝혔다. 국무원 발전연구센터는 중국 경제가 2005년까지는 해마다 7∼8% 성장하며,2006∼2010년까지는 6.4∼7.8% 정도 성장할것으로 전망했다. 이같은 전망치는 1995∼2000년간의 평균 8.3% 성장과 비교할 때 성장세가 둔화되긴 하지만,안정적 성장은 지속될 것임을 보여준다.지난해에는 7.3%의 성장을 기록했다. 발전연구센터는 중국 경제가 지속적으로 안정적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정부가 지난 5년 동안 실시해온 재정팽창정책을 서서히 줄여나가고 ▲국유기업 개혁을 가속화해야 하며▲민간경제를 더욱 활성화시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발전연구센터는 경제성장의 둔화를 막기 위해 재정팽창정책을 장기적으로 실시한다면 중국 경제의 구조적 모순을 심화시킬 것이라고 경고했다.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khkim@
  • 中 최고권위자에 듣는다/ 취안하오 황사硏 박사

    ***””이번 황사는 돌연변이형””.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국가환경보호총국 중·일우호환경보호센터 황사(黃沙)연구소의 취안하오(全浩·63) 박사는 8일 “황사폭풍의 피해를 줄이려면 한국과 중국 두나라정부가 하루 빨리 황사폭풍에 대한 공동 연구·협력을 통해피해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취안박사는중국 최고의 황사문제 전문가로 지난 1월25일 중국의 황사폭풍에 대한 최초의 보고서인 ‘사천바오(沙塵暴)와 황사(黃沙)가 베이징지역 일대의 대기(大氣)입자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 주목을 받았다. 다음은 일문일답. [황사폭풍이 해마다 봄철에 주로 발생하는 원인은.] 동북아시아에는 매년 11월∼그 이듬해 5월까지 강력한 계절풍이분다.이 계절풍 때문에 황사폭풍이 발생한다.중국 서부·북부지역과 시베리아 상공의 차가운 공기가 남쪽에서 형성된따뜻한 공기와 만나는 과정에서 커다란 기압차가 발생,강력한 황사폭풍을 만들어내고 있다. [올해는 유달리 황사폭풍이 자주 발생할 뿐 아니라 강력한데.] 지난 3∼4년동안 황사폭풍의 주요 발생지인 중국 북부와 서부,몽골·카자흐스탄 등의 지역에 가뭄이 계속되고 있는데다 지구 온난화로 기온까지 상승,지표면이 메마른 상태에서 강력한 바람이 불기 때문이다. 여기에다 최근 5년동안무분별한 남벌로 중국 대륙의 80만㏊의 삼림과 초지가 사라지는 등 인위적인 요인도 작용하고 있다. [황사폭풍의 주요 발생지는.] 황사폭풍은 중국 대륙에서만발생하는 것이 아니다.지난해 발생한 32차례의 황사폭풍 가운데 중국 내에서 발생한 것은 그 절반에도 못미치는 14차례에 불과하다.나머지 18차례는 몽골 동남부의 고비사막과카자흐스탄의 사막지대에서 발생했다. 중국 대륙의 경우 신장(新疆)위구르자치구 남부의 타클라마칸 사막과 중국과 몽골의 접경지역인 파단지린 사막,네이멍구(內蒙古)자치구 동부의 수니터 분지 등이다. [중국과 몽골,카자흐스탄 등지에서 발생한 황사폭풍은 어떤경로로 이동하나.] 황사폭풍의 이동경로는 크게 3가지다. 첫째는 네이멍구 자치구 북부의 얼롄하오터(二連浩特)·훈산다커사막 서부지역과 주르허지역에서 화더·장자커우(張家口) 등을 거쳐 베이징으로 이어지는 북쪽 루트가 있다.두번째는 중국 ·몽골 접경지역인 아라산에서 장자커우를 거쳐베이징에 이르는 동북쪽 루트이다.세번째는 신장(新疆) 위구르자치구의 하미지역에서 타이위안(太原) 등을 거쳐 베이징에 도착하는 서북쪽 루트다.베이징지역 일원에 도착한 황사폭풍 가운데 고공에 뜬 가는 모래입자가 제트기류를 타고한국으로 날아간다. [황사폭풍의 관측을 어떻게 하나.] 중국 대륙내에는 25개의황사폭풍 전문 관측소와 10개의 일반 관측소가 있다.황사폭풍에 관한 데이타는 중국 국가환경보호총국 중일우호환경보호센터의 황사연구소가 중심이 돼 25개의 전문 관측소와 일반 관측소에서 관측한 관련 자료를 건네받아 국가환경보호총국의 위성(FY-2B,FY-1C)관측 및 레이저 레이다 관측자료,미국 노아위성과 일본의 GMS위성 등의 자료를 종합 분석해작성한다. [중국 정부는 황사폭풍을 방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있나.] 황사폭풍 발생의 지원지인 사막화 방지를 위해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중국 정부는 대륙의 북부인시베이(西北)·화베이(華北)·둥베이(東北)지역 등의 산베이(三北) 방호림(防護林)벨트에 삼림과 초지를 조성하고,베이징과 톈진(天津)지역 일대에는 징진(京津)생태환경 벨트를 구축하고있다. [한국과 중국의 황사폭풍에 대한 공동연구 방안은.] 아직까지 구체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것은 없다.하지만 한국이나중국이 황사폭풍에 대해 큰 피해를 입고 있는 만큼 공동연구나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지난해 중국 국가환경보호총국장이 한국을 방문,김대중(金大中) 대통령을 예방했을때 김 대통령이 황사폭풍에 대해 큰 관심을 보였다.조만간구체적인 공동협력 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문제는 중국의 황사폭풍 연구는 주로 베이징을 중심으로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따라서 이번처럼 베이징을 거치지 않고 직접 한국으로 날아간 황사폭풍에 대한 데이터는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에서 황사폭풍에 대한 연구를강화하려면 지린성 일대의 선양·창춘(長春) 등 중국 동북부지역의 황사폭풍 관측소와 긴밀한 연계가 필요하다. [황사폭풍으로 큰 피해를 입고 있는 한국·중국·일본 동북아 3개국의 공동협력 방안은.] 오는 19∼20일 서울에서 한·중·일 3개국 환경장관회의가 열릴 예정이다.이때 황사폭풍에 대한 대비책이 논의가 활발하게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khkim@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