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수군친척 2명 駐中 日영사관 진입 中공안, 강제로 끌어내
[베이징 김규환·도쿄 황성기특파원·김수정기자] 지난해 6월 말 북한을 탈출한 장길수(18)군의 친척 5명이 8일 오후 2시(한국시간 오후 3시)쯤 중국 선양(瀋陽)의 일본 총영사관에 진입하려다 실패,전원 중국 공안에 의해 연행됐다.
그러나 거의 같은 시간,길수군 친척이 아닌 송용범(38)·정범철(41)씨 등 탈북자 2명은 일본 총영사관 근처에 있는 미국 총영사관에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탈북자 7명은 모두 난민지위 인정과 미국 망명을 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양의 한 소식통은 이날 길수군 친척 5명 가운데 2명이랴오닝(遼寧)성 선양시 허핑(和平)구 일본 총영사관 민원대기실로 들이닥쳤으나 곧 끌려나와 공안에게 인계됐고,다른 가족 3명은 공안의 저지로 아예 들어가지조차 못했다고 밝혔다.
이 과정에서 중국 공안들이 국제적으로 불가침성이 인정되는 일본 총영사관 안으로 들어간 것으로 확인돼 중·일간 외교마찰 등 국제적 파장이 예상된다.이와 관련,일본정부는 이날 오후 다카하시 구니오(高橋邦夫) 주중 공사를 중국 외교부에 보내 공식 항의하고 영사관 내에 들어왔던 2명에 대한 신병인도를 요구했다.
다카하시 공사는 “일본은 대응방안을 검토할 때까지 ‘비자발급자 대기실’에 들어온 탈북자 2명의 신병을 옮기지 말라고 요구했으나 중국 무장경찰이 이들을 강제로 데려갔다.”면서 “명백한 ‘영사관계에 관한 빈 협약’ 위반”이라고 유감을 표시했다.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郞) 총리는 사실관계를 정확히 파악하라고 외무성에 지시했다.고이즈미 총리는 “일본에는 일본 입장이 있고,중국에는 중국 입장이 있는 만큼외무성은 냉정히 대처해야 할 것”이라며 “중·일 관계를 저해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목격자들은 “탈북자 2명이 강제 체포되기 직전 일본 총영사관 관계자와 중국 공안들이 서로 얘기한 뒤 중국 공안이 탈북자들을 끌어갔다.”며 일본측의 방조를주장했다.
이번 사건에 개입한 것으로 알려진 ‘길수가족 구명운동본부’측은 5명의 신원에 대해 “길수군의 외고모 할머니인 정경숙(52)씨와 정씨의 맏아들 김광철(27)·이성희(25·여)씨 부부,손녀 김한미(2)양,그리고 정씨의 둘째아들김성국(25)씨”라고 밝혔다.이성희씨는 임신 5개월째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베이징 대사관 및 선양 영사관 등을 통해 정확한사건 경위를 파악하는 한편,미·일·중 3국과 탈북자 처리 문제에 대한 협의를 시작했다.외교부 관계자는 “‘인도적인 원칙에서 본인의 의사를 무시한 곳으로 강제 송환하는 것을 반대한다.’는 입장을 전달했다.”고 말했다.
k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