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영사부 진입’배경/ 中, 脫北통로 차단 ‘초강수’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정부가 13일 베이징(北京) 주재 한국대사관 영사부에 진입한 탈북자를 강제로 끌어내 연행하는 초강경 대응을 함으로써 한·중간에 뜨거운 외교적 마찰로 비화됐다.
중국 공안(경찰)이 이날 오후 중국 경비원들에 의해 한국대사관 영사부의 외곽 경비초로 끌려가 조사를 받던 탈북자 원모씨를 강제 연행하는 과정에서 이를 막기 위해 대치하던 한국 영사부 직원 6명에게 폭력을 휘둘러 다치게 하는 등 초강수를 뒀기 때문이다.중국 정부가 이처럼 ‘상상을 뛰어넘는 초강수’를 둘 것이라는 예상은 이전부터 감지됐다.지난달 23,24,27일 등 탈북자의 한국대사관 영사부 진입이잇따르자,쿵취안(孔泉) 외교부 대변인이 28일 “(베이징의 모든 외교공관들에)탈북자들의 신병 인도를 요구한다.”고 강경한 입장을 표명한 것이다.
이같이 악화된 상황에서 지난 1일과 9일 탈북자가 진입하고 11일 9명이 무더기로 들어간 데 이어,이날 또다시 2명이 진입하는 등 탈북자의 한국대사관 영사부 진입러시가 이뤄져 중국 당국을 크게 자극,이를 더이상 방치할 수 없다는 생각을 갖게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당국이 초강수를 둔 배경이 중국 정부의 공식적 반응인지,아니면 ‘탈북자들에게 놀아나고 있다고 생각하는’ 중국 공안당국의 단순한 강경 반응인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분명한 사실은 11일 9명이 진입한 뒤 외곽 철제 담 위에 철조망을 치는 등 경비를 강화했는데도 탈북자가 진입하자 중국이 이를 중국 공권력에 대한 도전으로 보고있다는 것이다.이와 함께 이 기회에 본때를 보여줘야 한다는 주장이 힘을 얻어 강경 대응이 나온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 입장에서는 한국대사관 영사부 밖에 있는 탈북자를 강제로 끌고가는 것은 정당한 법집행이라고 주장하고 있다.중국 공안이 탈북자 원씨를 연행할 때 “중국인민공화국 법률에 의해 연행한다.”고 주장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번 중국 정부의 탈북자 원모씨의 강제연행 사건은 한·중간의 외교적 마찰의 불씨가 됐다.한국 정부로서는 강제연행 사건은 3월 이후 외국공관에 진입했던 탈북자를 모두 제3국 추방형식으로 통해 서울로 보냈던사례와 정면 배치될 뿐 아니라,연행과정에서 외교관에게 폭행을 휘둘렀다는 점에서 강경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는 입장이다.
이번 사건은 한·중 양국이 단기간 내 이견을 좁히기는 어려운 외교사안인 만큼 해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중국 정부가 탈북자 인권 문제를 외면할 수 없는데다,오는 8월24일 수교 10주년을 앞둔 시점이어서 한·중 양국이 선례에 따른 해결을 위해 신중한 노력을 기울이면 의외로 빨리 해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