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 한국·독일전 외신 반응 “”한국인 투지 세계에 과시””
“한국 축구의 꿈은 멈췄지만,정말 잘 싸웠다.”“한국의 선전은 아시아인들에게 자신감과 희망을 주었다.”
세계 언론들은 25일 끝날 것 같지 않던 한국의 ‘월드컵 드림’이 결승의 문턱에서 막을 내리는 순간,아쉬움을 감추지 않았다.한국팀이 비록 결승 진출에는 실패했지만 아시아 역사상 첫 4강 진출이라는 위업을 달성했으며,세계에 던진 충격은 엄청났다고 평가했다.
외신들은 승패에 상관없이 종료 휘슬이 울릴 때까지 경기장에서 죽겠다는 투지로 최선을 다한 한국팀의 플레이가 매우 인상적이었다고 극찬했다.경기를 할수록 강인해지는 한국팀의 4강 신화는 거스 히딩크 감독의 뛰어난 지도력과 용병술,한국 선수들의 강인한 체력과 정신력,전국민의 열성적인 응원이 일궈냈다고 평가했다.
◇한국의 월드컵 꿈은 멈췄지만= “한국의 월드컵 꿈이 멈췄다.”(AFP,DPA,로이터,ITV,USA투데이) “한국의 월드컵 오디세이가 드디어 막을 내렸다.”(BBC방송) “한국,역사적인 성공을 남긴 채 월드컵을 마감하다.한국의 경이적인 선전은 월드컵의판도를 바꿔 놓았지만 결승 문턱에서 끝났다.”(AP)
외신들은 이번 월드컵에서 믿기지 않을 정도로 선전하며 세계 축구사를 새로 쓴 한국 축구의 대장정이 결승 문턱에서 끝난 것을 못내 아쉬워했다.워싱턴 포스트는 한 발 더 나아가 “독일이 (한국의)꿈을 망쳤다.”는 제목을 기사를 내보냈다.
로이터통신은 “한국팀의 결승 진출 꿈이 독일에 의해 좌절됐지만 한국팀은 (독일 전차군단을 맞아)용감하게 싸웠다.”고 보도했다.영국 BBC방송도 “한국의 월드컵 오디세이가 독일에 의해 막을 내렸다.”면서 “그러나 한국은 모든 예상을 뒤엎고 아시아 국가로는 처음으로 4강 진출이라는 쾌거를 달성했다.”고 평가했다.
프랑스 방송 TF1은 “한국 선수들이 잘못해서 패배한 것은 아니다.한국 선수들이 놓친 2번의 기회가 아쉽다.”면서 “독일이 결승에 진출했지만 한국 선수들이 경기를 주도했다.”고 한국 선수들의 플레이를 칭찬했다.
한·독전을 영국 전역에 생중계한 민영 ITV 해설가들은 “한국은 훌륭한 팀”이라고 평가하고 “오는 2006년 독일월드컵에서 선전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독일 경험이 한국의 투지 꺾었다= 외신들은 독일의 경험이 한국의 투지를 꺾었다고 평가했다.
영국 ITV는 “한국팀이 전반에 강한 수비와 함께 속공으로 역습해 독일을 괴롭히는 등 잘 싸웠으며 마지막까지 분투했지만 오늘은 한국의 날이 아니었다.”고 평가했다.일본의 축구 전문가들은 대체로 한국이 선전했으나 월드컵과 같은 큰 경기를 많이 치른 독일의 경험이 이날의 승부를 갈랐다고 평가했다.
프랑스 르 파리지앵은 전반적으로 한국팀의 수비는 강했지만 냉정하게 경기를 풀어간 독일에 결승 티켓을 내줬다고 보도했다.
한국에 패한 이탈리아와 스페인 언론들은 한국의 결승 진출 좌절에 안도하는 반응을 보였다.한국·이탈리아전 때 심판의 편파판정을 가장 많이 문제삼았던 이탈리아의 국영 라이방송은 “흠잡을 데 없이 완벽했던 마이어 주심은 떨어진 심판의 권위를 살려줬다.덕분에 독일은 결승에 진출하게 됐고,우승까지 넘보고 있다.”고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스페인의 엘 파스는 “독일이 이성을 세계에 되돌려줬다.”며한국의 패배를 은근히 기뻐했다.
김균미 김유영 채수범기자 kmkim@
(베이징 김규환특파원) 중국 최대의 국영TV인 CCTV(中國中央電視臺)는 25일 한국-독일간 준결승을 실황중계하면서 한국팀을 깎아내리는 방송을 계속했다.
CCTV는 한국 선수들이 반칙하는 장면을 아나운서가 고의적으로 아주 세밀하게 묘사하거나 TV 카메라도 그같은 장면을 주로 부각시켰으며 독일팀에 대해서는 비판적이거나 불리한 방송은 거의 하지 않았다.
그러나 경기가 끝난 뒤 CCTV는 4강에 오른 한국팀의 선전은 축구의 본산지인 유럽의 축구 강호들에 아시아의 축구를 재평가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고 밝혔다.
신화통신(新華通訊)도 한국팀이 독일팀에 1대 0으로 패해 ‘월드컵의 기적’을 이어가지 못해 아쉽지만,한국팀은 이날 실제 행동으로 그들의 능력과 실력을 유감없이 발휘함으로써 심판의 편파판정 시비를 일소했다고 보도했다.
k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