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시각] 책을 내동댕이치고 싶을 때/김규환 문화부 부장급
문학·출판을 담당하다 보니 한 주일동안 수십권의 신간을 받아본다. 하지만 지면이 한정된 만큼 한두 문장의 짧은 책 소개를 포함해 기껏해야 10권 정도를 지면에 내보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나머지 여러 책들은 제대로 읽어보지도 못한 채 뒷전으로 밀어내야 하는 까닭에 마치 생떼 같은 자식을 밖으로 내돌리는 것처럼 안타깝기만 하다.
지난 한해동안 발간된 신간은 모두 1억 3250만 3119권. 하루 36만권꼴로 펴내 출판시장 규모로는 세계 9위권이다. 출판 대국이지만 책을 보면 허탈하게 하는 경우가 더러 있다. 어떤 책은 오·탈자가 많아 내동댕이치게 만들고, 어떤 책은 수많은 오역이 담겨 있는가 하면, 또 어떤 책은 한 문장이 수백자나 돼 절망 속으로 빠뜨린다. 한마디로 ‘악서(惡書)’가 춤을 추고 있는 셈이다. 먼저 책의 가장 기본인 오·탈자 문제를 짚어보자.‘킬리만자로의 눈꽃’(세계사 펴냄)은 1992년 ‘잃은 꿈 남은 시간’이라는 제목으로 첫선을 보인 이후 부분 개작해 1997년에 개정판이 나왔고, 최근 또다시 손질을 해 재개정판으로 펴낸 작품이다.
그런데도 ‘생각’이 ‘행각’(14쪽),‘방송국’이 ‘방속국’(35쪽),‘미 달러’가 ‘미 달’(127쪽)로 오·탈자가 난무하고 있다. 책에 몰입하다 보면 웬만한 오·탈자가 눈에 잘 들어오지 않는다는 점을 감안하면, 무슨 생각을 갖고 이 책을 만들었는지 도무지 이해가 안 된다.
다음은 오역 문제.‘소설 십팔사략’(자음과모음 펴냄)’에서는 오역들을 너무 자주 만난다. 중국 중부 ‘섬서(陝西)성’을 ‘협서성’(1권,220쪽), 중국 전국시대 시인 굴원이 몸을 던져 죽은 곳인 ‘멱라(汨羅)수’를 ‘골라수’(1권,280쪽), 한비자의 ‘세난(說難)’을 ‘설난’(1권,291쪽), 중국 전국시대 조(趙)나라의 수도 ‘한단(邯鄲)’(1권,300쪽)을 ‘감단’, 삼황오제의 ‘복희(伏羲)’를 ‘복의’(1권, 역자 서문)로 오역해 아연실색케 한다.
마지막으로 문장의 길이. 짧을수록 좋다는 게 기본임에도 문장이 너무 길어 요령부득인 경우가 많다.‘북한 외교정책’(서울프레스 펴냄)은 한 문장의 길이가 얼마나 긴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두번째의 어려움은…(중략)…전파될 수 있다.”(424쪽) 이 문장은 1개의 인용문을 포함해 6개의 쉼표가 들어 있는 등 무려 400자를 넘는 만큼 사실상 독해가 불가능하다.
무성의하고 졸속으로 만들어지는 책이 나오는 것은 ‘양서’를 펴내겠다는 책임감보다 출판을 ‘돈벌이’수단으로만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들에겐 무엇보다 돈이 중요하지, 꿈을 키우고 재미를 주거나 교양을 쌓는 ‘양서’를 만든다는 것은 강 건너 남의 얘기인 것이다.
물론 모든 출판사들이 그런 것은 아니다. 대부분의 출판사들은 열악한 경영사정에도 좋은 책을 만들어내기 위해 연구·노력한다.‘궁핍한 날의 벗’(박제가 지음) 등 태학사 산문선시리즈,‘말똥구슬’(유금 지음) 등 돌베개 고전 100선,‘슬픈 열대’(C 레비 스트로스 지음) 등 한길 그레이트북스 등이 대표적이다.
중국 사기(史記)에는 ‘일자천금(一字千金)’이라는 고사성어가 나온다. 진나라 재상 여불위는 천지·만물·고금에 관한 모든 것을 망라한 ‘여씨춘추(呂氏春秋)’(26권,20만자)를 지었다. 그는 이 책을 수도 함양(咸陽)에 내걸고 “여기에 한 글자라도 덧붙이거나 줄이는 사람에게 상금으로 천금을 주겠다.”고 큰소리쳤다. 그 누구도 고치지 못해 그의 말은 괜한 허튼 소리가 아니었다. 무리한 주문인지는 몰라도, 책을 내는 이들은 모름지기 이 정도의 자신감은 갖고 있어야 하지 않을까.
고전은 인류의 정신과 지식의 정수를 담고 있기에 수백년, 수천년이 흘러도 필독서로 남아 있다. 출판인들이 한번쯤 ‘일자천금’의 고사를 새겨봤으면 ‘악서’가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올해는 ‘악서’가 추방되는 원년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규환 문화부 부장급 khkim@seoul.co.kr